구 게시판

경인년 백호의 해 설이라고 밤새 달려 고향으로 갔습니다-천하애-

페이지 정보

김정중 작성일10-03-10 06:44 조회2,572회 댓글3건

본문

1.jpg경인년 백호의 해 설이라고 밤새 달려 고향으로 갔습니다.

 

 

 마을 어귀에 서있는 비석입니다. '유학 연원이 깊은 마을''선비정신이 전해오는 마을''항일의병에 앞장선 마을'이라고 쓰여 있네요. 

 

2.jpg

 이 비는 명성왕후가 일본 낭인들에게 시해된 을미사변 이듬해 1896년 병신년에 전국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병신창의기적비'입니다.

우리 문중에서 운산 김상종 할아버지가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약 3개월간 유격전으로 일본군과 싸웠습니다. 나중에 정부로부터 독립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지요.

 

3.jpg

 새벽에 도착하여 잠깐 눈을 부치고 아침에 일어나보니 온 세상이 서설로 하얗습니다. 고향집 옥상에서 바라본 만취당과 종택의 전경입니다. 저 멀리 보이는 건물은 내가 다녔던 점곡중학교였는데 지금은 폐교가 되었습니다. 당시 남녀공학으로 전교생이 360명정도였는데 천하애가 16회졸업생으로서 총학생회장에 직선으로 당선되어 역임한 바 있습니다. 졸업식때 답사도 했구여.

 

4.jpg

사촌마을 기념관입니다. 1392년 천하애의 21대조께서 입향하신 이후로 지금까지 600년이 훨 넘도록 세거해온 (구)안동김씨 집성촌이랍니다.

 

5.jpg

 돌담옆 쪽대문 지붕에도 하얀 눈이 소복하네여~

 

6.jpg

 여기는 집 바로 뒤에 있는 점곡초등학교입니다. 1920년 개교하여 천하애가 44회 졸업생인데 당시 우리 면에 학교 두 개를 분교시키고도 전교생 1,141명중 전교어린이회장과 졸업식때 답사는 천하애가 했읍죠 ㅎㅎ. 콩나물 시루처럼  한 반에 70명이 넘게 편성되고 심지어 오후반까지 있었는데 지금은 전교생이 38명이라나 어쩐다나. 미국으 원조품ㅇ인 우유가루와 강냉이가루 타먹었던 전후 베이비세대의 원조격인 양띠들도 이젠 환갑이 그리 멀지 않았구려~ 

 

7.jpg

종가에서 일가 어르신들에 대한 합동세배를 드릴려고 여러분들이 종택으로 모이고 있습니다.

 

8.jpg

 종가 사랑에 모이신 문중 어르신들입니다. 한 가운데 회색 두루마기를 입으신 분이 저에게 디 엔 에이 유전자를 물려주신 83세의 아버님이십니다.

9.jpg

 마을앞 덤(단애 절벽)에 빙벽이 생겼습니다.

 

10.jpg 이 미천강 일대가 천하애 어린시절의 영토였습니다. 멱감고, 고기잡고, 소 먹이고, 콩싸리며 밀싸리하고, 감자 삶아먹고,책 읽고 등등

 내 작품 배경의 안태고향입니다.

 

11.jpg

 멀리 대구에서 빙벽타는 동호인들이 와서 몇번이나 빙벽을 오르내리며 즐기고 있네요. 이 얼음벽은 완전 수직으로 높이가 45미터정도 된답니다.

 

12.jpg

 부근의 도끼바쏘에 있는 바위인데 우리는 어릴 적에 어른들이 공알바위라고 부르는 걸 들었답니다.ㅋㅋ

 

13.jpg

 투망을 가지고 물고기를 잡으려고 아재와 형님과 셋이서 냇가로 나갔는데 물고기들이 전부 얼음장 밑으로 들어가 있는 바람에 매운탕은 결국 포기하였습니다..

 

14.jpg

 아재네 집으로 갔습니다. 입식한 안동 한우 랍니다. 이제 중소가 거의 다 되어 그저 유순하게 무럭무럭 잘 자라고 있었습니다.

 

15.jpg

소죽을 끓이는 말 못하는 아재. 눈빛이 소처럼 선해 보이지요?

내 시집 '개코나 말코나'에 실린 작품 '주짜빠'의 실제 주인공이랍니다.

 

댓글목록

솔내영환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영환
작성일

  감명깊게 보았습니다.  저도 어릴쩍 생각나는 그런 글과 ㅣ사진이었네요.
천하애는 한문으로 어떻게 쓰는지요?  정중씨 호인다요.  아니면 진중씨?

김정중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정중
작성일

  天河愛-진중兄 예호  리플 감사드립니다

김남응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남응
작성일

  고향의 맛 그대로 너무나 아름답고 정겨운 풍경이었읍니다. 내가 년전에 만취당과 종택 그리고 기념관을 둘러보고 자랑스럽기도하고 흐믓하기도 하면서 한편 자랑스러운 느낌을 갖고 돌아왔읍니다만 새삼 우리 훌륭한 선조님들의 옛 모습을 감명깊게 되세길수 있는 기회가 되여 고맙게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작품 활동하여 전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