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렬공 영정 제작을 위한 수집 자료(4)-고려시대 표준영정(13점) 사진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8-06-05 11:23 조회3,813회 댓글0건본문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13점의 영정입니다.
복식과 인물 제작 방법을 관심있게 살필 자료들입니다.
1. 안향(1243-1306) 1986지정. 작자미상. 67×136. 영풍 소수서원 소장
1318년(충숙5) 왕명으로 미상의 작가가 그려 문묘에 봉안했다가 1559년(명종14) 이불해(李不害)가 모사한 것이다. 상반신 모습이며 복두를 하고 있으며 공복이 아닌 질손(평상복)을 입고 있음.
2. 최무선(1325-1388). 1987년 지정. 신영상. 88×135.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3. 최영(1315-1388). 1991년 지정. 우심 최대영. 66×130. 강릉 덕봉사 소장.
4. 의천(1055-1101). 1998년 지정. 석영 최광수. 80×117.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5. 일연(1206-?. 1259). 1985년 지정. 정탁영. 90×114.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6. 정몽주(1337-1392). 1981년 지정. 월전 장우성. 83×120. 한국은행 소장
7. 강감찬(948-1031). 1974년작. 월전 장우성. 120×210. 낙성대 소장
8. 김부식(1075-1151). 1993년. 동강 권오창. 91×117.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9. 김윤후(미상, 고려후기 무장. 1232 몽고군 격퇴, 1263 우복야 치사) . 2003년. 동강 권오창. 충주시립미술관 소장
10. 이제현(1287-1367). 1986년 지정(고려시대 영정, 조선 후기 개작). 진감여(中). 93×177.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1. 이규보(1168-1241). 1989년 지정. 석영 최광수. 110×175. 강화 여주이씨문순공파대종회 소장
12. 왕건(877-943). 1999년 지정. 이길범. 국립현대미술관
13. 윤관(?-1111). 1979년 지정. 일광 이종상. 115×180. 파주 윤관장군 묘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