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렬공 영정 제작을 위한 수집 자료(3)-현지 답사, 전화를 통한 정보 수집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8-06-05 10:55 조회2,106회 댓글0건본문
*일시 : 2008. 5. 20--5. 25
*방법 : 직접 방문, 전화, 인터넷
*내용
(1)직접 방문 조사
(가)삼각지 <그린아트>(5. 21일. 17:00시)
*대담자 : 이민원 (삼각지역 1번 출구 앞)
*내용 : 삼각지에 초상화 그리는 곳은 모두 없어지고 이곳 1곳뿐임. 유인촌 문화부장관 영정을 그리고 있었음
(나)인사동 <허산 개인화랑>(인사동 입구 좌측, 가판 임시 화실) (5. 21일. 18:00시)
*대담자 : 허산
*내용 : 파스텔화 초상화 3만원, 유화는 호당 15만원, 6-12호는 168만원.
대부분의 초상화 대가들은 일종의 영업가임. 오더를 받아 자신의 제자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함.
(다)인사동 <멋쟁이(인물화실)>(인사동 37번지) (5. 21일. 18:20시)
*대담자 : 이영순(여성)
*내용 : 파주의 유씨문중의 영정 2점을 그린 바 있음. 실크에 유화로 서양화법으로 그리기, 동양화법으로 그리기가 모두 가능. 40호(130×70cm)에 실크 동양화 그리기-약 1-2천만원. 1개월 필요.
(라)인사동 <한국 초상화 협회> (인사동 156) (5. 21일. 18:50시)
*대담자 : 박영길(지산화실). 숙대와 영등포 경방빌딩에서 강의 중.
*고려시대 영정, 약 70호, 비단에 한국화풍은 약 3천만원 받음
(마)인사동 <미상의 화랑>(인사동 2/3지점) (5. 21일. 19:00시)
*충남대 윤여한 교수에게 문의할 것. 유관순 영정을 그린 바 있음.
(바)인사동 <아주화랑>(인사동 골목 중앙) (5. 21일. 19:20시)
*대담자 : 이기웅
*내용 : 화가를 소개해 주겠음.
(2)전화 통화
(가)충남대 미술과(회화과) 윤여환 교수(5. 22일). 홈페이지-http://www.cnu.ac.kr/~yhyun/
*최근의 표준영정 3점 그림-논개, 유관순, 정문부.
*학자요 화가로는 자신이 유일. 기존의 논개(장우성 작)와 유관순(김인후 작) 영정의 오류로 인해 재제작 공모, 이에 응모, 당선함.
*논개는 2억원(2년 걸림), 유관순은 1억원 받음.
*표준영정이 아닌 경우는 대체로 5천만원을 받음.
*고려시대 복식은 현재 우리나라의 출토 유물이 없어 정확한 고증이 불가능함. 다만, 현재까지의 자료를 종합하여 제작한 고려시대 표준 영정만이 유일한 표본이 됨.
*인물은 과학적 방법(유전자 분석 합성, 후손들의 사진 종합 합성)과 행장(인물 서술, 묘사) 등의 문헌을 참고하여 그리는 것이 좋음.
(나)단국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석주선기념박물관> (5. 22일)
*대담자 : 이명은 연구사
*고려시대 공복(公服) 영정은 현재 국내에는 발견된 것이 없음
*유일하게 참고할 것은 <한국의 초상화>(문화재청, 눌와, 20007)가 있음-고려시대 공복 영정은 없음
*고려시대 복장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수덕사 근역성보관>의 불복장 유물 도록인 <지심귀명래>임
*복식 관련 서적 <명선(名選)> 3권을 보내주겠음 (도착함)
(3)원거리 현장 확인 답사.
(가)유관순 영정-충남 병천(2008. 5. 24(토). 오후 2-4시)
1)영정의 덧집 제작을 하기 위한 윤여환 작 유관순 영정 답사
<영정 덧집>
<윤여환 교수가 작년(2007년)에 다시 그려 봉안한 유관순열사의 표준영정>
나)수덕사-충남 예산(2008. 5. 24. 오후 5시--7시).이선용님과 대담.
1)수덕사 근역성보관의 <지심귀명래>를 직접 보았으나 복장유물의 섬유 조직 관련 내용일 뿐 고려시대 공복 복식 자료는 없었음.
2)싱가폴 <ACM박물관>에서 2006년 전시한 ‘크리스홀 콜렉션’ 전시회에서 중국, 티벳의 유물을 전시한 바 있는데 이 도록을 국립 중앙도서관, 인터넷으로 확인해 보는 방법을 제시 받음.
*확인 결과 : 없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