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 헌관의 헌작에 대한 문의 및 성균관 전례원 답변 ***

페이지 정보

대종회 작성일14-06-23 21:24 조회3,306회 댓글0건

본문

                             

                         祭祀時 헌관의 헌작 에 대한 문의

                                                                      < 질문 작성자 송군호. 작성일 2014/06/20/>

              제례에 대하여 항상 연구하시는 선생님께 부족함이 많은 사람이 제사에 대한 모르는 것을 여쭈어봅니다. 
                     수고가 많겠습니다만 하교를 바랍니다 .

              제사 절차중 헌작시 잔에 술을 채워서 헌작전에 향로위에 돌린 후에 잔을 신위전에 올리는데

              첫째: 잔을 향로위에 돌리는 절차는 무슨 뜻으로 하는 것인지요 ?

              둘째: 돌리는 회수는 몇번을 하는것이 옳은지요? 행사에 따라 돌리는 회수가 다른지요 ?

              셋째: 돌리는 방법은 오른쪽(시계방향)으로 돌리는지 아니면 반대로 왼쪽으로 돌리는지요?

                     상세하고 좋은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

                                                                                      성균관 전례원 답변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집작헌작(執爵獻爵) 또는 집잔헌잔(執盞獻盞)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는 “작을 잡아서 신위 전에 작을 올린다.” 또는 “잔을 잡아서 신위
전에 잔을 올린다.”의 뜻입니다.

                           ■ 즉, 헌(獻)이란 “드리다”, “올리다”, “바치다”의 뜻인데, 이 글자를 파자하면 솥 권(鬳) + 개 견(犬)을 
                 합친 글자로 “옛날에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개를 잡아
솥에 삶아서 희생으로 바치다”의 뜻이 되었습니다.
                 또는“신에게 제사를 올리다”
“받들다”“임금에게 드리다”로 쓰여집니다.

                           ■ 따라서 유가의 예법에는 질문자의 말씀처럼 잔을 향로위에 빙빙 돌리는 행위는 단연코 없습니다. 
                 당연히 횟수나 돌리는 방향도 결코 없습니다. 다만, 지방의 풍습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대체로 
                 향로위에 술잔을 돌리는 행위는
토테미즘이나 샤머니즘의 무속신앙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아도 무리는 아니라고 
                         사료됩니다.

                           ■ 국가제사인 원구대제, 종묘대제, 사직대제, 조선왕릉제향, 문묘의 석전대제에서는 헌작 또는 헌잔할 때 두 손으로 
                 받든 술잔(작)을 제안(齊眼)이라 하여 눈 아랫부분과
나란하게 하는 높이까지 공경히 받들었다가 신위 전에 올립니다.

 

          [成均館 典禮委員 李大孝 謹拜] - 2014-06-22 오전 12:06: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