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宗親間 號稱에 대한 考察

페이지 정보

김상근 작성일13-07-02 16:03 조회2,709회 댓글0건

본문

                                                           


                                                                              儒學에서의 宗親間 號稱에 대한 考察

                                                                                                                                                                       성균관 홈페지 [의례문답] 에서 발췌

                       [질문1]

                               제가 촌수가 높아서 34대손입니다
                               35대 와 36대 37대 손에게 나이를 불문하고 어떻게 호칭해야 하는지?
                               그리고 저보다 아래인 촌수를 가진 사람들은 저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궁굼합니다 .                                                                          질문자  강식

 

                       [성균관 예절원 답변]


                               유복친외(有服親外) 동성(同姓) 원족(遠族)에 대한 속칭(屬稱)은

                               세별로 근친(近親)과 같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이 살펴보건대 宦鄕要則을 참작한다면 두루 칭하기를

                               34世에서 35世는 子代라 하고 36世는 孫代라 하고 37世는 曾孫代라 한다는 것입니다.

                               自稱은 35世 宗愚世姪, 35世 宗愚世孫, 36世 宗愚世曾孫.

                               34세에 대한 호칭은 同姓아저씨. 同姓할아버지(大父). 同姓증조할아버지.

                              (작금의 俗稱이나 方言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宦鄕要則本族前後輩稱呼條

                                  同姓祖宗自稱宗愚世姪孫回用子孫代

                               ○同姓高一輩者自稱宗愚姪回稱宗愚伯叔9與其父序齒)

                               ○同姓平輩自稱宗愚兄弟回稱同
                               ●華語類招親屬條

                               ○伯父(同姓뭇아자비)○伯娘(同姓뭇아자비처)○叔叔(同姓아아자비)○嬸娘(同姓아아자비처)
                               ●蒙喩篇稱號祖孫條

                               ○祖父大父大母王母○尊王爺王大夫人○重侍重慶○孫子世兒鄙孫○令仍賢仍
                               -----------------------------------------------------------------------------------
 

                    [질문2]

                               제가 34세 이기때문에 후손이 저를 부를땐  아저씨  혹은 대부님 혹은 증조할아버지

                               이렇게 부르면 되는것으로 이해 했구요  저는 그럼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
                               나이 많은 분 께  35세 에게는 조카님   그리고 다음 엔 손자님 ?   

                               그리고 또 다음엔  증손자님 ?   이렇게 불러야 합니까 ?

                              

                     [성균관 예절원 답변]

 

                               속간에서의 호칭은 지방에 따라서도 다를 수가 있으니

                               이중 어느 한 사례를 모델로 삼아 운운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이들의 사례는 거의가 상호 상식으로 이해되어 있을

                               보편적 일반상식 수준에 해당되어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그를 운운할 까닭도 없고,

                               혹 속간의 예를 운운함은 덧소리에 불과할 것입니다.

                               까닭에 여기는 유학을 논하는 곳이니 분수에 어울리게

                               학문적 근거로 접근하여 유가의 호칭으로 고찰하여 답함이 당연한 것입니다.

                               다만 학문적 전거 채택의 적중 여부에 따라 당부가 엇갈리게 되는

                               허도 뒤따르게 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나

                               그러나 오류는 즉시 발견되어 수정되어 집니다.

                               이 논제 역시 속간의 속칭이 아니라, 유가에서 그와 같은 족간의 호칭이 어찌되는가.

                               라는 화제로 삼아 고찰 적중한 전거를 채택 답함으로서,

                               새로운 학문으로 업그레이드시키는 기회를 주고자 함이

                               본인이 이곳 관리자로 활동하는 이유 중 첫째가 됩니다.

                               따라서 강식님의 의문은 "[宦鄕要則]"의 가르침을 주 전거로 삼아 답하였던 것입니다

                               그 가르침에 의하면 同姓祖宗間에서 姪行의 自稱은 宗愚世姪, 孫行은 宗愚世孫,

                               그를 부를 때는 姪行은 子代, 孫行은 孫代라 稱하고,

                               一代 사이에서는 自稱으로 宗愚姪이라하고

                               父行의 自稱은 그의 부친 보다 나이가 높으면 宗愚伯, 낮으면 宗愚叔이라 하고,

                                同輩間에서는 나이가 많으면 宗愚兄, 낮으면 宗愚弟라 하는데 상대 역시 같이 칭하게 됩니다.

                                물론 이 외에도 여러 설이 혹 있을 수 있을 것이나,

                                이 시점에서 본인이 채택의 한계가 여기까지입니다.

                               ●宦鄕要則本族前後輩稱呼條     

                                  同姓祖宗自稱宗愚世姪孫回用子孫代

                               ○同姓高一輩者自稱宗愚姪回稱宗愚伯叔(與其父序齒)

                               ○同姓平輩自稱宗愚兄弟回稱同

                                                                                                                                          답변자 草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