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안동김씨 성보[경진보]의 이해 - 1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1-03-04 16:03 조회2,244회 댓글3건

본문

안동김씨 성보[경진보]의 이해(이하 경칭생략) - 1

편찬(발문에 등장) 동참자 류희잠(柳希潛)에 대한 소고(小考)

※최근 성씨에 대한 두음법칙(음운변동) 예외규정에 의해 이하 류로 씀.

●발문 일부 요약 해설 -

정언공[김익(釴, 1486-1548)] 작고 후, 통천공[김곽(钁, 1525 진사)]이 화성원님(佩符花城)으로 재임 중, 귀양살이 하던 지금 선공부정인 류희잠에게 부탁해서 원고를 정리시켜 족보를 완성하니 - 하략.

○발문 찬자 - 김제현(齊賢, 1535 生, 1564 생원, 1570 문과, 곽의 아들)

○류희잠에 대한 단서조항

가. 정언공 작고 후(1548년 이후)

나. 통천공 화성원(경북 하양 현감) - 류희잠 의성유배(지역적 가까움)

다. 류희잠 귀양(1545년부터 1562년 문화류씨 가정보 편찬 당시 귀양 중)

라. 선공부정(지금, 발문 집필 시), 의흥현감(주세붕, 신원록 문집), 첨정(문화류씨 가정보 편찬 당시)

마. 족보완성 - 발간(간행)의 완성은 아니지만 류희잠은 당시 족보편집에 상당한 능력(경력)과 학식을 겸비한 전문가로 드러남.

※본인이 발간의 완성은 아니라는 시각은 뒤이어 2편에서 다루고자 함.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동명이인 전주 류희잠(希潛)

○계보 : 류성(柳城, 학봉 김성일 매부) - 복기 - 류희잠(希潛)

○류복기(復起, 1555-1617) - 외숙 김성일의 문하에서 수학, 정구(鄭逑)와 교유하였으며 조일전쟁 때 광산 김해(金垓)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싸웠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를 따라 화왕산성(火王山城)을 지켰다. 아들은 우잠(右潛), 득잠, 지잠(知潛), 수잠, 의잠(宜潛), 희잠(希潛)이다.

○생몰년 비교표

류우잠[柳友潛, 1575-1635] - 숙(潚, 1600-1684), 직(稷, 1602-1662)

류지잠[柳知潛, 1583-1653] - 호는 용암(龍巖)

류희잠[柳希潛, 1596-1671] - 지(榰, 1626-1701)

※위 생몰년에 따라서 전주 류희잠은 경진보의 초기 편집과정에 참여한 인물이 아님.

 

●유사인물 문화 류희분(希奮), 희발(希發), 희량(希亮)과 조부 류잠(柳潛)

○계보 : 대사헌공 김성동(贖) - 녀 ♡ 류수천(柳壽千) - 잠(潛) - 자신

○류자신(自新, 정유길 사위, 광해군 빙장) - 희분(希), 희발, 희량

※생몰 : 희분(希奮, 1564-1623), 희발(希發), 희량(希亮, 1575-1628)

○선산 김세렴(金世濂, 1593-1646)이 류희발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며 허성(許筬, 1548-1612)의 묘표를 찬함.

○계보: 김효원(金孝元) - 극건(克鍵) ♡ 허봉(許篈)의 녀 - 김세렴

○동인대표 인물 - 김효원, 류성룡, 허엽, 이산해, 우성전, 정유길 등.

※희(希) 字, 잠(潛) 字와 관련하여 이명(異名)인가 살펴보았으나 희는 잠의 손자들이 쓴 돌림자가 확실하고 류씨사적에, 류잠이 귀양가있던 류희잠에게 족보를 부탁하는 기사가 등장하여 경진보의 류희잠과 아무런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경진보] 편찬 참여인물 문화 류희잠(柳希潛) - 시조 류차달의 20세손으로 의흥(義興, 경북 군위 일부)현감, 사복시 첨정(僉正), 족보 편찬의 대가로 알려진 인물로 1562년 문화류씨 가정보[嘉靖譜]를 편찬하였다. 1545년(을사사화)에 숙부 류관(柳灌)이 화를 당하며 연좌되어 의성으로 유배를 감. 어떤 이유인가 모르나 정작 본인의 생몰년은 여러 기록에 남기지 않아 알 수 없다.

○계보 : 류인기-보발(상락백공 김진 빙장)-계조-량(묘지명을 하연이 찬함)-좌(佐)-상영(尙榮, 문종빙장)-주(霔)-정수(廷秀)-환(渙)-류희잠(希潛)

 

●족보와 관련한 류희잠의 다른 기록과 활동시기 고찰

○주세붕(周世鵬, 1495-1554)의「무릉잡고(武陵雜稿)」에 류의흥내외팔성족보발(柳義興內外八姓族譜跋)이 실려 있는데, 1544년 의흥현감(義興縣監) 류희잠(柳希潛)이 본종(本宗)과 외족(外族) 7성(姓)을 포괄한 족보를 만든 것에 대한 발문이라 부연 설명하고 있다.

○신원록(申元祿, 1516-1576)의「회당(悔堂)선생문집」에 ‘送柳義興(希潛)放還京城(二首)- 사면되어 경성으로 돌아가는 의흥 류희잠을 보내며’가 두 수 실려 있고, 신원록 선생이 경북 의성 출신으로 주세붕, 이황, (남명)조식의 문인인 점에서 활동시기를 추측할 수 있다.

○역주「회당(悔堂)선생문집」속의 또 다른 기록인 ‘詠金松隱(光椊)萬年松 - 송은 김광수의 만년송을 읊으며’의 수록을 근거로 당시 의성과 경북지역에서 교유한 문인들의 생몰년을 비교한다.

김광수(1468-1563), 주세붕(1495-1554), 이황(1501-1570), 조식(1501-1572)

신원록(1516-1576), 류희잠(생몰미상, 1545년 의성유배 전 의흥현감 출신),

김곽(1486년 이후 출생, 1525년 진사, 류희잠 유배 시 하양원 재직 중)

○안동 송은공 김광수(光粹) - 녀 ♡ 류중영(仲郢) - 류성룡(1542-1607)

-김광수(의성 사촌), 주세붕(1541년 풍기군수), 이황(안동), 신원록(의성),류희잠[의흥(군위 속현)현감출신, 1545년 의성유배], 김곽[화성(하양)현감] 등의 기록을 살펴보면, [경진보] 편찬 초기에 참여한 류희잠의 활동시기를 추적할 수 있다.

 

●결론 - 족보편찬의 달인 류희잠

위 열거한 교유인물들의 생몰년, 류의흥내외팔성족보발(1544년), 의성유배(1545년), 정언공(김익) 작고(1548년) 후, 주세붕의 문집 수록(1554년 전), 류잠이 귀양지 의성을 찾아가 류희잠에게 족보편찬 의뢰, 귀양지에서의 방면, 문화류씨 가정보(1562년) 편찬 등 여러가지 요소를 감안하여 볼 때, 안동김씨 경진보에 참여한 류희잠은, 문숙공 김영돈의 사돈인 문화 류보발(상락백공 김진 빙장)의 9세손으로 송은공 김광수와 학문적으로 교유한 인물이 확실하다.

 

※참고[문화류씨 영락보] - 우리나라 최초의 족보(1423년 완성)

현재 완질은 전하지 않지만, 대승공(류차달)의 14세손 류영(柳穎, ? -1430)이 편찬하며 쓴 서문과 경기체가 구월산별곡(九月山別曲)이 [가정보]에 남아 전하니, 류희잠이 가정보를 편찬할 당시까지는 실존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댓글목록

관리자님의 댓글

profile_image 관리자
작성일

  그동안 류희잠에 대한 인물 검색이 잘 안되어 궁금했는데
바쁘신데도 이렇게 찾아 정리해 주시니 참으로 고맙습니다.
모두 완성되면 본 홈에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정중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정중
작성일

  그런데 어찌 도평의공파는 누보가 되었는지 왕궁금...??  하여튼 연구 감사!

김상석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상석
작성일

  관리자님께 - 류희잠에 관한 것은 더 이상 없습니다. 2편에서는 [경진보]의 발간시기를 고찰하고자 합니다.

정중님께 - 도평의공파의 누락에 관해 별도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송은공께서 류희잠과 교유하였던 사실에 입각해 볼 때, 당시 [도평의공파계]는 아마도 파보형식으로 진행되지 않았을까? 하는 추정을 조심스럽게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