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갈(瓜葛)의 신분 소고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0-10-15 14:55 조회1,998회 댓글0건본문
충렬공 묘지명 찬자(撰者) 동암공 경주 이진(瑱) 선생과의 인연(존칭생략)
경주 이진(1244-1321) - 익재 이제현(1287-1367)의 아버지
1300년, 동암공 이진은 충렬공 묘지명을 찬하며 충렬공과 과갈(瓜葛)의 신분이라고 밝혔다.
과갈(瓜葛)의 신분 - 한자는 뜻(의미)을 전달하는 글자(표의문자)이기 때문에 의역(意譯)을 해야 한다. 단어의 형성은 오이와 칡으로 덩굴식물의 조합이다. 따라서 사전적 풀이는 오이와 칡의 덩굴(넝쿨)이 서로 엉클어져 벋으므로 인척(姻戚)관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인척(姻戚) - 혈족의 배우자나 배우자의 혈족, 혈족의 배우자의 혈족, 배우자 혈족의 배우자 등, 혈연관계는 없으나 혼인으로 맺어진 친족을 의미.
혈족(血族) - 혈통으로 이어진 겨레붙이로 자연혈족과 법정혈족을 말하는데 고려조 1300년 당시의 법정혈족이라 함은 양자로 출계(出系)한 경우다.
친족(親族) - 촌수가 가까운 친속(親屬 = 親族)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충렬공(1212-1300)과 이진(1244-1321)은 생몰년으로 보면 아들이나 조카 항렬이다. 위 용어들로 보아 동암공 이진선생과 충렬공은 찬자 본인(이진)의 선대로부터 본인과 사돈이거나 아들의 배우자, 손자의 배우자 등 혈족 배우자의 혈족(배우자의 친정)과 혼인으로 맺어진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래에서 당시 안동김씨와 경주이씨의 혼맥을 통해 과갈의 신분임을 밝히고 나서 이후로도 계속해서 이어지는 양가의 혼맥과 아울러 두터운 교분을 살피고자 한다.
충렬공과 경주이씨 이진 家의 혼인으로 형성된 인척관계 일람(존칭 생략)
충렬공(묘지명 주인공) -(과갈의 신분)- 경주 이진(묘지명 지은이)
- : 세대(父子, 父女, 빙장, 사위), ♡ : 배우자(배위)
이핵(李翮, 시조 50세) - 이진(瑱), 이세기(世基)
이진(瑱, 1244-1321) - 이제현(1287-1367)
이제현 ♡ 안동 권부의 女 - 이달존 ♡ 백이정의 녀, 녀 ♡ 김희조(希祖)
이진의 사돈 안동 권부(溥, 1262~1346)와 충렬공
안동 권부(溥, 1262~1346) ♡ 문화 유승의 녀
문화 유승(陞) - 인기 - 보발(1304-1340) - 녀 ♡ 안동 김진 - 김익달
이진의 손서 언양 김희조의 조부 김변(賆, 김방경의 아들 김순의 동서)의 사위가 원주 원선지(1281~1330)고 원선지의 사위가 유보발이다.
안동 김방경(시 충렬) - 김순(시 문영) - 김영돈(시 문숙) - 김진(상락백)
유승(陞) ♡ 홍진(縉)의 녀 - 女 ♡ 안동 권부 - 녀 ♡ 이제현
남양 홍진 ♡ 동주 최황(이장용 처남)의 녀
동주 최유청 - 최선(詵) - 최종준, 최종재, 녀 ♡ 횡천 조충
최종준(宗峻) - 최영(英), 최황(貺), 녀 ♡ 이장용(1201~1272)
경원 이장용(1201~1272) - 女 ♡ 죽주 박휘(김방경 처남) - 박전지
죽주 박전지(全之) - 박원(遠) - 덕룡(德龍, 광산 김진 사위)
광산 김진(稹, 안동 권윤명의 사위), 안동 권윤명은 김방경 사위
최종재(宗榟) - 온 - 문본(文本, 1233-1276, 김방경의 매부), 문립(文立)
남양 홍진 - 녀 ♡ 유승, 녀 ♡ 신진, 녀 ♡ 최념(恬), 녀 ♡ 최문립
이천 신진(申瑱) - 신여강(申汝岡) - 녀 ♡ 안동 김영돈(김방경 손자)
해주 최념(崔恬) - 녀 ♡ 죽산 박전지(1250-1325, 김방경 처조카)
이진의 아들 이제현의 사돈 백이정(白頣正)과 충렬공
남포 백문절 - 백이정 ♡ 안동 김순의 녀 - 女 ♡ 경주 이달존
안동 김방경(1212-1300) - 김순(恂, 1258-1321) - 김영돈(永暾, 1285-1348)
이진의 손서 언양 김희조(希祖)와 충렬공
언양 김취려 - 전 - 변(賆) ♡ 허공(김방경 사돈)의 녀 - 륜 - 희조
김전(佺) ♡ 동주 최종재(김방경의 매부인 최문본의 조부)의 녀
김전(佺) - 녀 ♡ 김혼(琿, 1239-1311) - 녀 ♡ 안동 김승택(김방경 손자)
경주 김혼의 형 김신(信)은 원주 원관(김방경의 장자 김선과 사돈)의 장인
김변(賆) - 녀 ♡ 원선지(元善之, 1281-1330)
원주 원경(元卿, 김방경의 손자 김승용의 장인인 원관의 아우) - 원선지
해주(안서) 최서(瑞) - 녀 ♡ 언양 김륜(김변의 자), 녀 ♡ 횡천 조문근
김륜(倫)은 횡천 조문근(이진의 아우 이세기의 아들 이천과 사돈)과 동서
횡천 조충(趙冲) - 조계순 - 조변(김방경 사위) - 조문근(文瑾)
이제현 ♡ 박거실(원관 사위)의 녀 - 창로(彰路), 녀 ♡ 박동생(朴東生),
녀(공민왕비 혜비 惠妃)
이진의 사돈 춘천 박거실과 충렬공
원관 ♡ 곽여필의 女 - 女 ♡ 안동 김승용(承用)
원관 ♡ 金信의 女 - 원충, 女 ♡ 박거실, 女 ♡ 민적, 女 ♡ 광산 金光轍
박거실은 김방경의 아들 흔(忻, 1251-1309)의 사위인 민적(頔, 1270~1336)과 동서, 김방경의 손자 김승용(承用, 1268~1329)과 동서다.
또한, 장모의 친정 아버지 경주 김신(信)은 동서 김승용(김방경의 손자)의 아우 김승택의 빙장 김혼(琿, 1239-1311)의 형님이다.
광산 김광철(1284~1349) - 회조 - 첨(瞻) ♡ 안동 김묘(김방경 증손)의 女
김회조 - 녀 ♡ 안동 김간(侃, 김방경의 현손 김사렴의 자)
이창로(彰路) ♡ 청주 한공의(公義)의 녀, ♡ 안동 김묘의 녀
이진의 손자 이창로(彰路)와 충렬공(1300년 묘지명 찬 후)
청주 한공의(公義) - 녀 ♡ 안동 김사겸(士謙), 녀 ♡ 경주 이창로
안동 김묘(昴) - 녀 ♡ 김사안(士安, 졸년 1391), 녀 ♡ 경주 이창로
안동 김묘 - 녀 ♡ 경주 이창로(彰路), 녀 ♡ 경주 이존사(存斯)
안동 김방경 - 순 - 영후(永煦, 1292-1361) - 천(蕆) - 사겸, 사안
이진의 손자 이창로는 김방경의 현손 김사겸과 김사안의 동서다.
이진의 손서 영해 박동생(朴東生)과 충렬공(1300년 묘지명 찬 후)
안동 김익달 ♡ 영해 박동생(朴東生)의 녀
안동 김방경 - 순 - 영돈(1285-1348) - 진 - 김익달 - 김고(顧, 1389-1431)
안동김씨 족보에 김고(문과, 좌사간)의 묘가 장단 소남면 우봉 도리촌 자좌(子坐)로 이제현 묘하 수회촌 자좌(子坐)로 기록되어 있다.
예를 올리고 묘소를 수호할 길이 끊겨 산청 생초에 설단(1987)함.
이 진(瑱, 1244-1321) 묘 - 장단군 소남 우봉 도리촌, 묘갈 찬자 조간
이제현(齊賢, 1287-1367) 묘 - 장단군 소남면 우봉 도리촌 자좌(子坐)
안동 김고(1389-1431) 묘 - 우봉 도리촌 익재 묘하 수회촌 자좌(子坐)
음택인 장지를 같은 산록에 쓴 걸로 보아 두 가문은 아주 각별한 인연임
이핵(李翮, 시조 50세) - 이진(瑱), 이세기(世基)
이세기(世基) - 이천(蒨, 1274-1349) - 이달충(達衷, 1309-1385)
이진의 아우 이세기 후대와 충렬공(1300년 묘지명 찬 후)
이달충(안동 김방경의 사위 조변의 손서, 이진의 아우 이세기의 손자)
이달충 ♡ 횡천 조文瑾의 녀 - 녀 ♡ 안동 김명리 - 녀 ♡ 광산 김철산
안동 김방경 - 선 - 승택 - 묘 - 구용(九容, 1338-1384) - 김명리(明理)
횡천 조충(趙冲) - 조계순 - 조변(김방경의 사위) - 조문근(文瑾)
해주(안서) 최서(瑞) - 녀 ♡ 언양 김륜(김변의 자), 녀 ♡ 횡천 조문근
언양 김변(賆) ♡ 양천 허공(김방경 사돈)의 장녀 - 김륜(倫) - 희조
김희조는 이진의 손서가 됨
이진의 문중 동항 이예 후대와 충렬공(1300년 묘지명 찬 후)
이예(李芮, 시조 51세) - 손보 - 길상 - 존사(存斯, 안동 김묘의 사위)
안동 김묘 - 녀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