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 5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0-09-08 17:37 조회2,893회 댓글0건본문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안동김씨를 위주로 주변 성씨들은 성씨, 본관별 가나다 순으로 고찰]
김후 - 칠우, 칠림, 칠양, 녀 ♡ 박거실, 녀 ♡ 김군정, 녀 ♡ 노숭
김칠우(七祐, 判密直司使, 밀직사사공파 파조)
김칠림(七霖, 開城尹, 개성윤공파 파조)
김칠양(七陽, 遂安郡事, 군사공파 파조)
김칠양 - 김돈(1385-1440, 문과) - 김계로 - 김석정(文科 1483년)
김돈(墩) ♡ 광주 노상의(尙義, 工曹參議)의 녀 - 김계로(季老)
김돈 - 직제학, 승지를 거쳐 인순부윤(仁順府尹)에 이르렀다, 어머니 봉양을 위해 여러 차례 외직을 구하였으며 특별히 어머니를 서울로 모셔 봉양을 편하게 하였다. 의상(儀象)에 정통하여 간의대(簡儀臺)와 보루각(報漏閣)을 만들 때 참여하였고 말이 상세하고 분명하여 승지의 직에 7년이나 있었다.
광주 노준경(俊卿, 감찰지평 監察持平) - 노숭(盧崇, 1337-1414, 시 敬平)
노숭 ♡ 낙성군부인(洛城郡夫人 - 金先致의 딸) - 상인(尙仁), 노상의(尙義 , 工曹參議), 상례(尙禮), 상지(尙智), 상신(尙信). 五常 - 仁義禮智信
노숭 ♡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 - 상락군 안동 김후의 딸) - 女 ♡ 정곤
동래 정곤(坤, 大司成)
김계로(季老) ♡ 함부림의 녀 - 김석정(石精)
함부림(咸傅霖, 1360-1410, 대사헌, 시 定平) - 이성계를 도와 개국공신 3등에 책록, 명성군(溟城君)에 봉했다가 후에 동원군(東原君)으로 개봉(改封)되었으며 형조 판서에 올랐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곧 경기, 충청, 경상, 전라, 황해 등 각 도의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默陟使)를 역임했다.
김방경- 선- 승용- 후- 칠양- 돈(1385-1440)- 계로 - 석정 ♡ (吉再)의 녀
김현경- 전- 영성- 격(激) ♡ 야은 길재의 녀,
야은 길재(吉再, 1353-1419) - 여말선초의 학자로 이색, 정몽주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이라 한다. 생몰년과 활동시기로 보아 안동 김석정의 배위인 길재는 야은이 아닌 다른 인물이거나 길재의 후계로 볼 수 있다.
박거실(朴居實, 함양) - 녀 ♡ 이지유(之柔) - 녀 ♡ 의성 김영명(永命)
의성 김태권(台權 - 안동 김승고의 사위) - 居斗 - 천(洊) - 永命 - 漢啓
김태권의 아들 김거두가 외가(外家)를 따라 안동으로 낙향하였으며 태권의 증손 김영명(永命)은 광주 이지유(之柔)의 딸과 장가.
김군정(金君鼎, 1336-1368) - 본관은 선산(선천)이며 홍건적의 침입 때 복주(안동)로 몽진한 공민왕을 호종하였다.
선산 김우유(右謬) - 달상(達祥) - 군정(君鼎) - 가행(可行 - 동래현령)
김가행(可行) - 고려왕조의 복위충절(復位忠節)로 순절하였다.
노숭(盧崇, 1337-1414, 시 敬平) - 광주인, 여말선초의 문신, 상주 옥연사
(玉淵祠)에 제향 되었다.
광주 노준경(俊卿, 감찰지평 監察持平) - 노숭(盧崇, 1337-1414, 시 敬平)
노숭 ♡ 낙성군부인(洛城郡夫人) - 노상의(尙義) - 녀 ♡ 안동 김돈(金墩)
김구 - 성목(成牧), 천순(天順)
김성목(成牧, 工曹典書, 전서공파 파조)
성목 - 휴(休) - 익렴(益濂) - 한(漢) - 복수(福壽, 光酉, 정산김씨 시조)
김휴(休) - 녀 ♡ 순천 박안생
박안생(安生) ♡ 안동 김휴(休)의 女 - 중림(仲林) ♡ 김익생의 女 - 팽년
박팽년(사육신) - 女 ♡ 영풍군(천 - 세종의 자)
태종 ♡ 신빈 신씨(信嬪 辛氏) - 온녕군(정) ♡ 순천박씨(박안명의 女)
세종 ♡ 혜빈양씨(단종의 유모) - 영풍군(천) ♡ 순천박씨(박팽년의 女)
순천 박숙정(중시조) - 원룡 - 천상 - 가실 - 안명 - 녀 ♡ 온녕군
원상 - 안생 - 중림 - 팽년 - 녀 ♡ 영풍군
사육신(1456년 몰) -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박팽년, 유응부
김천순(天順, 密直副使, 부사공파 파조)
김천순 - - - 8세손 김응하(金應河, 1580-1619, 증영의정, 시 忠武)
김묘 - 구용, 제안, 구덕, 녀 ♡ 김사안, 녀 ♡ 이창로(彰路), 녀 ♡ 최유경, 녀 ♡ 허호(許灝), 녀 ♡ 허의(許誼), 녀 ♡ 이존사(李存斯), 녀 ♡ 김첨(金瞻), 녀 ♡ 김수천(壽千), 녀 ♡ 최자하(自河)
김구용(九容, 1338-1384, 대사성, 시 文溫, 문온공파 파조) - 정몽주, 이숭인 등과 더불어 성리학을 일으키고 숭유억불의 선봉으로 사장(詞章)을 잘하였다. 문집으로 『척약재집(惕若齋集)』이 있으며 예천 물계서원(勿溪書院)과 남원 용장서원(龍章書院)에 배향되었다.
구용 - 명리 - 맹헌 ♡ 양성 이사검(思儉)의 녀 - 자정(自埥) - 연수(延壽)
김명리(金明理) ♡ 경주 이달충(達衷)의 녀 - 녀 ♡ 광산 김철산
이핵(翮) - 이진(瑱, 1244-1321 - 김방경 묘지명 찬자), 세기(世基)
이진 - 이제현 - 창로(김묘의 사위), 녀 ♡ 박동생(東生) - 녀 ♡ 김익달
이세기(世基) - 이천(蒨) - 이달충(達衷) ♡ 횡천 조文瑾의 녀
횡천 조변(趙忭) ♡ 김방경의 녀 - 문간(文簡), 문근(文瑾), 녀 ♡ 유자우
유자우(유금필 후손) ♡ 조변의 녀 - 녀 ♡ 이임종(이승휴의 자)
이승휴(承休, 1224-1300) - 『동안거사집 - 단모부(旦暮賦)』
김사원 ♡ 안향의 녀 - 진(稹) ♡ 안동권씨(김방경 외손녀, 권윤명의 女)
광산 김진 - 영리(英利)-정(鼎)-약채(若采)-문(問)-철산(鐵山)-국광(國光)
김국광 - 서거정, 강희맹, 최항, 노사신 등과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
김자정(自埥) ♡ 순천 김종서(宗瑞, 1390~1453, 시 忠翼)의 녀
순천 김승주(承霔, 1354~1424, 平陽君, 시 襄景) - 김종서와 동항(同行).
김승주 - 차녀 ♡ 여산(익산) 송복원
송복원(세종의 8남 영응대군의 빙장) - 송현수 - 녀(단종비 정순왕후)
김대섭(大涉)
김대섭 - 확(矱), 녀 ♡ 이수광(1563-1628, 지봉), 녀 ♡ 허균(교산)
허공(珙) - 관(冠) - 백(伯) - 경(絅) - 금(錦) - 기(愭) - 추(樞) - 창
(菖) - 담(聃) - 한(澣) - 허엽(許曄) - 성(筬), 봉(篈), 초희, 균(筠)
김제안(齊顔, 몰년 1368, 知制敎) - 김부(사천김씨 시조)
김구덕(九德, 몰년 1428, 判敦寧, 시 安靖, 안정공파 파조)
김구덕(九德) - 김오문(五文), 女[明嬪金氏] ♡ 태종(이방원)
태종 ♡ 명빈김씨(김구덕의 녀) - 숙안옹주(淑安翁主) ♡ 황유(黃裕)
김오문 - 김중엄 ♡ 평양조씨(조대림의 녀), 女[문종 세자빈 徽嬪]
조영(瑩) - 조인규 - 조련(璉) ♡ 김흔의 次女 - 덕유 - 준 - 조대림
조대림 ♡ 경정공주(慶貞公主 - 태종의 2녀) - 女 ♡ 안동 김중엄
김중엄 - 김뉴(紐, 雙溪齋公), 女 ♡ 청주 한충인(韓忠仁, 1433~1504)
거창 신승선 ♡ 임영대군의 녀 - 신수근, 女(폐비신씨) ♡ 연산군
한충인 - 次女 ♡ 거창 신수근(愼守勤) - 녀(중종비 단경왕후)
신수근 ♡ (권람의 女)-무후, ♡ 청주한씨[김중엄의 외손녀] - 녀(중종비)
권람 - 女 ♡ 남이, 女 ♡ 김수형(양녕대군의 외손), 女 ♡ 신수근
신수근(1450-1506) - 임영대군 외손, 연산의 처남, 중종의 빙장, 권람의 사위, 한충인의 사위, 남이(태종의 외손)와 안동 김수형의 손아래 동서.
김사안(졸년 1391, 시 忠康) ♡ 안동 김묘(昴)의 녀
김사안은 김구용, 김제안, 김구덕과 8촌 형제로 처남 매부지간이며, 동서인 광산 김첨은 조카 김간과 처남매부간.
민종유 - 민적 ♡ 영가군부인[김흔의 女] - 민사평 - 녀 ♡ 안동 김묘(昴)
김묘 - 구용, 제안, 구덕, 녀 ♡ 김사안, 녀 ♡김첨, 녀 ♡ 창로(彰路)
광산 김회조 - 첨(瞻) ♡ 안동 김묘의 女, 녀 ♡ 김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