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제학공파 비안공 종중 임원회 후기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10-07-27 13:07 조회2,267회 댓글3건

본문

연간 계획에 의거하여 비안공 종중 임원 모임이 다음과 같이 있었다.

1. 일시 : 2010. 7. 24(토). 10:00시--16:00시.

2. 장소 : 1)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하담 김시양 신도비 및 개향산 비안공 묘소

             2)괴산읍 동부리 402번지, 세덕사 내

             3)수진리 수진산

3. 참석자(8) : 태섭고문님, 상천제학공파종회장님, 영회비안공종회장님, 태호부회장님, 규동부회장님, 상석총무님, 항용(부회장-필자), 태옥제학공파총무님. 

4. 활동 내용

   1)10:00-11:00 : 하담 신도비 중간 벌초

   2)11:00-12:00 : 비안공 묘소 중간 벌초 및 성묘

   3)12:00-13:00 : 하담 신도비 비각 건립을 위한 기초회의

   4)13:00-14:00 : 중식

   5)14:00-15:00 : 세덕사 마당 제례소 깔판 정리

   6)15:00-16:00 : 수진산 양덕공 묘소 성묘 및 안렴사공파 휘 공걸(公傑) 후손 묘역 성묘

   7)16:00 : 해산

 

 08시, 서울 송파 장지동의 서울 외곽순환도로 송파 IC에서 상석대부님 차를 만나 승차하여 중부고속도로를 쉼없이 내달린 차는 09시 40분, 괴산 터미널에 도착, 다시 아침 6시 30분에 제천에서 출발해 오신 상천 제학공파회장님을 태우고 세덕사로 향했다.

 상천회장님은 부친(태섭 고문님)께 드린다며 소주 1박스를 사셨다. 세덕사에는 태호부회장님이 아침 8시 30분에 이미 와 계셨다. 예초기를 차에 싣고 이내 괴산 능촌리로 향했다. 약속한 10시다. 능촌리 동네를 벗어나 방아재 고개를 넘자 하담 신도비 쪽에서 예초기 모터소리가 요란하다. 벌써 규동 부회장님이 작업을 시작하셨다.

 일행은 즉각 작업에 들어 갔다. 상천회장님은 신도비 비각 건립 문제를 상의하러 태옥 총무님 집으로 갔다.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비가 되어 온 몸에 흘렀다. 2대의 예초기가 돌아가고 갈퀴로 긁고, 낫으로 마무리 하고--  무섭던 풀이 잘려 나가며 신도비 주변이 잘 정돈된 모습으로 바뀌자 금새 일의 보람이 묻어났다. 그리고 우리의 이 행사가 참 잘 계획된 것이라 재확인했다.

11시쯤 되자 영회 회장님이 도착하셨다.

 이어 개향산으로 올라가 비안공 선조님 묘소를 벌초했다. 예초기 3대가 요란하다. 다른 묘소는 이미 호미로 잡초를 뽑아 단정했다. 비안공 선조님 묘소만 풀이 무성했다. 오늘의 행사가 천만 다행이었다. 이렇게 중간 벌초 1번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또 확인했다.

 

10biansum001.jpg

  제일 먼저 도착하여 작업 하시는 규동부회장님

 

10biansum002.jpg

  낫으로 작업중인 상석총무님

 

10biansum003.jpg

 태호부회장님 

 10biansum004.jpg

  작업 모습

10biansum005.jpg

  갈퀴로 긁는 필자(항용)

 

10biansum006.jpg

 잠시 휴식하며

 

10biansum007.jpg

 작업을 마치고  

 

10biansum008.jpg

  신도비에 누가 정으로 파서 낙서하는 심각한 훼손을 했다.(上자). 근접을 통제하는 비각이 시급하다.

 

 일을 끝내니 신도비 주변은 말끔했다. 빨리 비각을 세워야 하는데, 추진 중인 신도비 비각 사업이 잘 진행된다면 내년 쯤엔 예쁜 비각이 세워져 있으리라.

10biansum023.jpg

  벌초 후 깨끗해진 신도비

10biansum024.jpg

 신도비

 

10biansum026.jpg

 신도비

 

10biansum027.jpg

 신도비

 

  이어서 신도비 바로 위 산에 합동 묘역으로 모셔져 있는 비안공(휘 仁甲) 묘소로 향했다.

 

10biansum010.jpg

 비안공(휘 仁甲) 묘소. 백현능원의 다른 묘소들은 모두 중간 벌초를 했다. 그런데 비안공 묘소만 풀이 무성하다.

 

10biansum011.jpg

 벌초작업이 시작되었다. 영회 회장님

 

10biansum012.jpg

 벌초 작업을 끝내고 잔을 올렸다.  

 

10biansum013.jpg

 재배-할아버지 시원하십니까 

 

10biansum015.jpg

 작업을 끝내고  

 

10biansum016.jpg

 작업을 끝내고

 

10biansum017.jpg

 중간 벌초를 마친 비안공 묘소

 

10biansum018.jpg

 백현능원 상단에 모셔져 있는 참판공(휘 彦默) 묘소

 

10biansum019.jpg

 2단에 있는 영상공(휘 錫) 묘소

 

10biansum020.jpg

 2단에 있는 구암공(휘 忠甲), 아산공(휘 孝甲) 묘소

 

10biansum021.jpg

  비안공 묘소 뒤에서 본 백현능원 모습-깔끔하다.

 

10biansum022.jpg

  비안공 묘소 앞 좌측 동자석이 기울어져 있어 이날 바로 세웠다. -잠시 졸았나 보다.

 작업을 마치고 백현능원 아래에 있는 정자로 모였다. 이 자리는 미륵불상 자리였는데 백현능원을 조성하면서 앞으로 약간 옮기고 그 자리에 정자를 세웠다. 그때 마침 상천회장님이 태옥총무님과 회담을 마치고 오셨다. 그리고 회장님은 하담 김시양 선조님 신도비 비각 건립문제에 대해 그 필요성과 회담 내용을 말씀하셨다. 이때 태옥 제학공파 총무님께서 오시자, 필자는 어제(2010. 7. 23)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서울에서 본 신도비 건립을 위한 추진회 유림 대표 공동 회장으로 괴산이 유림 대표이신 박온섭님을 추대하기 위해 박선생님을 만난 일과 그 과정에서 있었던 여러가지 문제점과 난제, 앞으로의 과제 등을 말씀드렸다. 

 이어 괴산읍내로 이동하여 한 식당으로 가서 식사를 했다. 이때 신도비 비각 건립을 위한 기본 회의를 가졌는데, 기본 계획서를 점검하고, 비각 건립을 촉구하는 연명서의 취지문을 검토하고 연명서 용지를 나눠 드렸다.

 이때, 필자가 제작한 졸작 소책 <진흙 속에서 핀 연꽃>을 부끄럽게 나누어 드렸다. 작년 3월 모친께서 돌아가시고 나서 1년동안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님의 일생을 엮어 본 행장이다. 불효자로서 부끄럽기 이를 데 없지만 조문해 주신데 대한 감사의 뜻으로 전해 드렸다.

 다시 일행은 세덕사로 가서 지난 5월 세덕사 앞에 깔았던 깔판을 다시 정리 정돈했다. 그리고 모두 해산하고 상석대부와 필자는 비가 오는 상황에도 다시 동네 뒷산의 양덕공 산소에 성묘하고 그 위에 있는 안렴시공파 공걸(公傑) 선조님 후손들의 묘소도 살펴 보았다. 산 전체를 모두 벌목했다. 그리고 무슨 나무를 새로 심기도 했다.

 부친께서 주시는 오이를 받고 요리 방법까지 익혀 4시 30분, 서울로 향했다. 저녁6시 30분, 막힘 없이 무사히 서울에 도착했다. 

 모든 것이 잘 끝맺어져서 참으로 다행이었다. 그리고 보람과 행복감이 부듯하게 밀려 왔다.  

10biansum032.jpg

 점심 식사 

 

10biansum033.jpg

 세덕사 앞 깔판 정리

 

10biansum035.jpg

 세덕사 참배

 

10biansum036.jpg

 잘 정비된 사당 앞

10biansum054.jpg

  사당 앞

10biansum055.jpg

  재실 입구

10biansum056.jpg

  대문 앞의 소나무들- 많이 자랐다.

10biansum057.jpg

  대문 입구. 향나무가 많이 자랐다. 1993년 4그루를 심었는데 2그루는 죽었고 1그루는 이렇게 크게, 또 하나는 좀 작다.

 

10biansum058.jpg

 사당 입구의 소나무들 

 

수진산 양덕공 묘소 위에 있는 안렴사공파 휘 공걸 후손 합동 묘역이다.

10biansum037.jpg

  묘역 일대. 벌목하여 훤하다.

10biansum040.jpg

 상단 부분

 

10biansum038.jpg

  맨 상단에 모셔져 있는 종사랑 묘소

 

10biansum039.jpg

    종사랑 묘소

  

10biansum041.jpg

  휘 계안 묘소

 

10biansum042.jpg

 휘 공걸 묘소

   

10biansum043.jpg

  

10biansum044.jpg

   도호부사 묘소

 

10biansum045.jpg

   매끝의 휘 양중(養中) 묘소

 

10biansum046.jpg

  양중 묘비

 

10biansum048.jpg

 양덕공 묘소 주변에 피어 있는 꽃들

 

10biansum053.jpg

  묘소 주변엔 패랭이꽃이 많이 피었다.

 

댓글목록

김종태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종태
작성일

  절기를 떠나 중간 벌초는 겨건이 허락한다면 꼭 필요할 듯 합니다. 그러나 모두 원거리에 거주하고 고향을 증진 경우가 많고 또 지식이 모자라고 체력이 부족하여 마음만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해 내는 행정력? 과 리더쉽에 감탄 합니다. 괴산이 경상도 사는 제게는 어디메인지 감도 오지 않지만 이제는 한 획 음각으로 역사가 되신 선대 어르신들의 평안하신 영면을 빕니다.

김정중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정중
작성일

  눈에 익은 곳. 그리고 반가운 어른들과 소식 감사합니다

김상석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상석
작성일

  무더운 가운데 벌초를 마치고 항상 종사를 위해 애써주시는 임원 여러분과 식사를 하면서 문중 현안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제부터는 [충익공 신도비각 건립]을 위하여 다방면으로 애를 써야할 것입니다. 후기 올려주신데 대하여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