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언공(휘 김익)공덕비문에 대한 오해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10-05-19 16:27 조회2,536회 댓글1건본문
정언공의 공덕비가 제막되어 소개되어 감상을 적어봅니다.
무릇 금석문은 오랫동안 전해지므로 그 내용에 정확하여야 후학에게 오해가 없게 마련입니다.
비문은 현지에 가서 읽어보거나 탁본해 오지 않으면 알 수 없어서 전파력이 약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에서는
영상시스템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있습니다.
하물며 그 내용이 홈페지를 통해 공개되고 나면 훗날 잘못된 부분이 있더라도 그대로 이해하거나 정설로 굳어지기 쉬어서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공개된 비문이 원문과 일치하리라 믿고 정언공의 공덕비문에대한 오해를 지적하고자 합니다.
安東金公司諫院正言諱釴功德碑
<비음기>
公의 諱는 釴이요 字는 君擧이며 本貫은 安東이다.
중략---
公은 淳厚 方正하고 學識과 才行이 높았는데 특히 최초의 安東金氏 족보인 庚辰譜를 편집하는 大偉業을 이루어낸 功이 크시도다. 一五00年경 착오 많은 개인적 譜牒만이 전수되어 그 폐단이 매우 컸으나 방대하고 至難한 大同譜 편집작업을 아무도 시도하지 못하고 있을 때 평소 우리 門中에 깊은 愛情을 지니고 계시던 공께서는 굳은 의지와 용기를 발휘하여 一五一九年부터 약 三十여년동안 혼란한 정치상황과 유배생활 중에서도 모든 譜牒과 각종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大同譜 草稿를 편찬해내는 큰 업적을 이루셨다. 그러나 이를 책자로 발간하지 못하고 별세하고 마셨으니 안타깝기 이를 데 없도다. 이에 아우이신 通川公 諱 钁께서 이 과업을 이어받아 七권의 보완 草稿를 완성하셨고 二十七年 뒤인 一五七七年에는 正言公의 조카인 經歷公 諱 齊賢께서 여러 宗長들을 설득하여 發刊 작업을 추진하셨다
하략...--
위의 글만 보면 경진보의 초고는 정언공(휘 김익)께서 만드신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경진보의 초고는 문온공의 5대손이신 김윤선공께서 만드셔서 정언공께 위탁하신것이다 이는 정언공의 조카이신 김제현공께서 경진보에 직접 쓰신 발문에서 밝히고 있다.
자료; 홈페지 경진보 자료 11. 발문(2002.7.4. 주회(안)제공)
김씨의 세대는 비록 오해 되었어도 일찍이 족보가 없었는데, 김상사(생원) 胤先공(문온공5대손)이 草稿를 돌아가신 백부(정언공 김익(제))에게 위탁하였던바, 공이 미처 끝내지 못하고 돌아가시니, 후에 선친(제현공의 부친 김곽)께서.....후략
예손 조봉대부행호조좌랑 제현 발
비석에 새겨져 있는 것이야 어찌 쉽게 고칠 수 있겠습니까만 이렇게 비문이 인터넷에 공개되고 보면 이에 대한 바른 지적이 없는한 정설로 굳어지고 나아가서 널리 펴저 나갈 수 있기에 지적하는 바입니다. 충렬공 묘비문에 새겨진 상락군개국공의 군이라는 글자가 임금군자로 씌어 있어 얼마나 많은 논쟁이 있었으며 부끄러워 했습니까?
또한
정언공공덕비 제막 팜플렛을 보면
Ⅱ. 경진보 발간 과정
*<경진보>(1580)의 서문과 발문, <기미보>(1739), <을유보>(1825), <弘毅齋營建記>(1981)의 기록 내용을 참조하여 요약 작성함.
1. 1500여년 경, 宗人 중 유식한 인사들이 족보가 없음을 개탄하며 개인적으로 보첩을 만들어 자손들에게 전해주곤 하였음. 그런데 이것들은 소홀히 제작하여 착오가 많아 여러 폐단이 있었음.
2. 1519년(기묘년.중종14), 상사공 윤선(上舍公 胤先-문온공 5대손)이 정언공(正言公 釴-제학공 6대손)에게 족보 편집을 부탁함.
위 글에서 보면 김윤선공이 초고를 만들어 정언공에게 위탁했다는 사실을 김윤선공이 정언공에게 족보편집을 부탁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오해의 소지 있으며
Ⅲ. 경진보 제작 관련 선조님 소개(무순)
이곳에는 경진보 초고를 만드신 김윤선공에 대한 소개는 일언반구도 없습니다.
이에 대해 현종 어려분의 지적과 고언을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김영윤님의 댓글
![]() |
김영윤 |
---|---|
작성일 |
胤先공이 누구든간에 경진보 발 원문중 아래 내용의 존재는 움직일수 없는 사실입니다
金上舍 胤先公 以草藁 托之先伯父
托(맡길탁)은 託(부탁할탁)이 될 수도 없고요
金上舍 胤先公 에 관하여는 오래전에 본 홈에서 다루어 졌으므로 소개합니다
본 홈 게시판 게시글중 경진보 발(내용)에 관한여 (2005.5.9-김영윤)및 댓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