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충렬공 시제
페이지 정보
김영윤 작성일08-11-07 20:08 조회2,443회 댓글3건본문
충렬공 시제에 다녀왔습니다
금년 시제 후기는 홀기에 따라 사진을 배치하는방식으로 대신하겠습니다
시제 봉행전 충렬공 신.구 묘비에 관하여 설명중
경청하는 총친 여러분
분정표
1. 諸參祀者序庭入就拜位(제참사자서정입취배위) : 모든 참사자들은 차례로 묘정으로 들어와
절할 위치에 서시오
2. 贊引引祝及諸執事者盥洗位盥水洗手(찬인인축급제집사자관세위관수세수) : 찬인은 축관 및 제 집사를 세수기로 인도하고 모두 손을 씻으시오
3. 各就位(각취위) : 각자 자리로 가시오
4. 陳設(진설) : 제수를 놓으시오
5. 贊引引初獻官詣占(點)視陳設(찬인인초헌관초헌관예점시진설)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진설물을 점검하시오
6. 仍降復位(잉강복위) : 다시 원자리로 가 서시오
7. 行焚香禮(행분향례) : 분향례를 올리겠습니다.
8. 贊引引初獻官詣盥洗位盥水洗手(찬인인초헌관예관세위관수세수) : 찬인은 초헌관을 세수기로 인도하고 초헌관은 손을 씻으시오
9. 引詣香案前跪(인예향안전궤) : 초헌관은 향안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으시오
10. 奉爐奉香爐奠于香案上(봉로봉향로전우향안상) : 봉로는 향로를 받들어 향안전에 올리시오
11. 初獻官進三上香(초헌관진삼상향) : 초헌관은 나아가 향을 세 번 사르시오
12. 俛 伏 興(면 복 흥) : 머리를 숙여 엎드린 뒤 일어서시오
13. 初獻官小退再拜(초헌관소퇴재배) : 초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14. 仍降復位(잉강복위) : 다시 원자리로 가시오
15. 行降神禮(행강신례) : 강싱례를 행하겠습니다.
16. 贊引引初獻官詣神位前跪(찬인인초헌관예신위전궤)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신위전에 꿇어앉으시오
17. 奉酌以酌授獻官(봉작이작수헌관) : 봉작은 술잔을 헌관에게 주시오
18. 獻官以受(授?)奉酌(?)(헌관이수봉작) : 헌관은 봉작(?)을 받으시오
19. 司樽斟酒(사준침주) : 사준은 술을 따르시오
20. 奠酌奠于神位前三除于(전작전우신위전삼제우) : 전작은 신위전에 세 번 나누어 부으시오
21. 俛 伏 興(면 복 흥) : 머리를 숙여 엎드린 뒤 일어서시오
22. 初獻官小退再拜(초헌관소퇴재배) : 초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23. 仍降復位(잉강복위) : 다시 원자리로 가시오
24. 行參神禮(행참신례) : 참신례를 올리겠습니다.
25. (諸參祀者)再拜參神(參神再拜) : 모든 참사자들은 재배하시오
26. 行初獻禮(행초헌례) : 초헌례를 올리겠습니다.
27. 贊引引初獻官詣神位前跪(찬인인초헌관예신위전궤)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신위전에 꿇어 앉으시오
28. 奉酌以酌授獻官(봉작이작수헌관) : 봉작은 술잔을 헌관에게 주시오
29. 獻官以受(授?)奉酌(헌관이수봉작) : 헌관은 잔을 받으시오
30. 司樽斟酒(사준침주) : 사준은 술을 따르시오
31. 奠酌奠于神位前(전작전우신위전) :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32. 進毛炙(진모적) : 모적(육적)을 올리시오
33. 正匙箸啓飯蓋(정시저계반개) : 젓가락을 가지런히 하고 메 뚜껑을 여시오
34. 諸參祀者皆俯伏(제참사자게부복) : 참사자들은 모두 엎드리시오
35. 大祝詣神位前初獻官之左東向跪(대축예신위전초헌관지좌동향궤) : 대축은 신위전에 나아가 초헌관 좌측에 동쪽을 바라보고 꿇어앉으시오
36.讀祝(독축) : 축문을 읽으시오
37. 興(흥) : 일어서시오
38. 初獻官小退再拜(초헌관소퇴재배) : 초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39. 仍降復位(잉강복위) : 다시 원자리로 가시오
40. 行亞獻禮(행아헌례) : 아헌례를 올리겠습니다.
41. 贊引引亞獻官詣盥洗位盥水洗手(찬인인아헌관예관세위관수세수) : 찬인은 아헌관을 세수기로 인도하고 아헌관은 손을 씻으시오
42. 引詣神位前跪(인예신위전궤) : 신위전에 나아가 꿇어앉으시오
43. 奉酌以酌授獻官(봉작이작수헌관) : 봉작은 술잔을 헌관에게 주시오
44. 獻官以受(授?)奉酌(헌관이수봉작) : 헌관은 잔을 받으시오
45. 司樽斟酒(사준침주) : 사준은 술을 따르시오
46. 奠酌奠于神位前(전작전우신위전) :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47. 進羽炙(진우적) : 우적(계적)을 올리시오
48. 俛 伏 興(면 복 흥) : 머리를 숙여 엎드린 뒤 일어서시오
49. 亞獻官小退再拜(아헌관소퇴재배) : 아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50. 仍降復位(잉강복위) : 다시 원자리로 가시오
51. 行終獻禮(행종헌례) : 종헌례를 올리겠습니다
贊引引終獻官詣盥洗位盥水洗手(찬인인종헌관예관세위관수세수) : 찬인은 종헌관을 세수기로 인도하고 종헌관은 손을 씻으시오
52. 引詣神位前跪(인예신위전궤) : 신위전에 나아가 꿇어앉으시오
53. 奉酌以酌授獻官(봉작이작수헌관) : 봉작은 술잔을 헌관에게 주시오
54. 獻官以受(授?)奉酌(헌관이수봉작) : 헌관은 잔을 받으시오
55. 司樽斟酒(사준침주) : 사준은 술을 따르시오
56. 奠酌奠于神位前(전작전우신위전) :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57. 進鱗炙(진인적) : 인적(어적)을 올리시오
58. 俛 伏 興(면 복 흥) : 머리를 숙여 엎드린 뒤 일어서시오
59. 終獻官小退再拜(종헌관소퇴재배) : 종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60. 仍降復位(잉강복위) : 다시 원자리로 가시오
61. 行侑食禮(행유식례) : 유식례를 올리겠습니다.
62. 贊引引初獻官詣神位前跪(찬인인초헌관예신위전궤)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신위전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63. 左右執事揷匙飯中(좌우집사삽시반중) : 좌우집사는 메에 쑫가락을 꽂으시오
64. 諸參祀者皆俯伏(제참사자개부복) : 모든 참사자들은 엎드리시오
65. 肅俟小頃(숙사소경) : 잠시 엄숙하게 기다리시오
66. 祝三噫歆(축삼희흠) : 축관은 세 번 기침하시오
噫(기침, 하품) 희. 흠 歆(혼령이 제사를 받을)흠
67. 興(흥) : 일어서시오
68. 左右執事撤羹(좌우집사철갱) : 좌우집사들은 국을 거두시오
69. 進熟水(진숙수) : 숭늉을 올리시오
70. 抄飯三匙(초반삼시) : 메를 세 번 떠서 말으시오
71. 獻官以下執事及參祀者皆歆格俯侑(헌관이하집사급참사자개흠격부유) : 헌관 이하 모든 참사자들은 혼령께서 제사 음식을 더 드시도록 허리를 구부리시오. 侑(도울, 권할, 너그러울)유
72. 行辭神禮(행사신례) : 사신례를 올리겠습니다.
73. 獻官以下執事及參祀者皆再拜辭神(辭神再拜)(헌관이하집사급참사자개사신재배) : 헌관 이하 집사 및 참사자들은 재배하시오
74. 興(흥) : 일어서시오
75. 行飮福禮(행음복례) : 음복례를 올리겠습니다.
76. 贊引引詣導(詣導-삭제?) 初獻官進神位前 西向跪坐(坐-삭제?)(찬인인예도초헌관진신위전서향궤좌)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신위전에 서쪽을 향하여 꿇어 앉으시오
77. 執事進受祚盞盤于初獻官前(집사진수조잔반우초헌관전) : 집사는 음복잔반을 들고 초헌관 앞에 나아가시오
78. 大祝進獻官前東向跪坐(대축진초헌관전동향궤좌) : 대축은 헌관 앞에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꿇어앉으시오
79. 擧盞盤進獻官(거잔반진헌관) : 잔반을 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80. 獻官受祚飮卒(헌관수조음졸) : 헌관은 음복잔을 받아 마시시오
81. 初獻官降復位(초헌관강복위) : 초헌관은 원자리로 가시오
82. 行焚祝禮(행분축례) : 분축례를 행하겠습니다.
83, 簒引引初獻官詣西庭北向立(跪)(찬인인초헌관예서정북향립(궤)) :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고 초헌관은 뜰 서쪽으로 나아가 북쪽을 향해 서시오(꿇어 앉으시오)
84. 大祝執祝文初獻官之坐(左)(대축 집축문) : 대축은 축문을 집으시오
85. 焚祝訖(분축흘) : 축문을 사르시오
86. 初獻官及大祝官仍降復位(초헌관급대축관이강복위) : 초헌관과 대축관은 다시 원자리로 가시오
87. 贊引(祝官)進獻官前告順成(찬인(축관)진헌관전고순성) : 찬인은 헌관에게 나아가 ‘순성’이라 고하시오
88. 撤饌(철찬) : 제수를 거두시오
直日評-직일께서는 평해주십시오
댓글목록
김영윤님의 댓글
![]() |
김영윤 |
---|---|
작성일 |
사진의 인물 설명은 생략하오니 분정표 내용을 참조하십시오
김발용님의 댓글
![]() |
김발용 |
---|---|
작성일 |
대부님! 감사합니다.
생생한 시제 후기 잘 보았습니다.
사진이 홀기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으니 시제 교본을 보는 듯 합니다.
김항용님의 댓글
![]() |
김항용 |
---|---|
작성일 |
즉각적인 후기 작성에 감사합니다. 보지 않아도 더 잘 본 것 같습니다.
시제 홀기에 따른 사진 배열이 아주 보기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