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이함의 자 이인상의 장인 김홍은 익원공 5대손이시다.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8-05-21 13:09 조회1,530회 댓글0건

본문

 어제(2008. 5. 20) 대구의 봉석님(충렬공 소설 <김방경 일본을 정벌하라>의 저자)으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몸도 많이 쾌차해 지셨다는 반가운 인사말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일요일 임시 탁본대회를 실시하려 했던 게시판 글을 보시고 이함의 자인 이인상의 장인이 안동김씨 김홍(金洪)이란 글을 보셨는데, 판관공 김홍님은 우리 안김의 익원공 5대손이시며, 그 묘가 대구에 있다는 말씀과 함께 여러가지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이에 그 내용을 아래와 같이 알려 드립니다.

 아울러 심각한 위기에 있는 판관공 묘소와 관련하여 판관공(휘 洪) 후손 여러분들의 빠른 출현과 조치를 기다린다고 합니다. 후손분들은 저에게 빨리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이인상(덕수인, 덕안군)의 장인 판관공(휘 洪)에 대한 김봉석님의 談>

1. 대담 일시 : 2008. 5. 20. 오전 전화

2. 내용

 1)이인상의 배위 안동김씨의 부친은 익원공파 김홍이다.

 2)판관공 김홍은 익원공의 5대손으로 효소공(휘 碏)의 막내 손자이다.

   세계 : 사형(士衡)翼元公-승(陞)密直司使公-종숙(宗淑)同樞公-작(碏)孝昭公-맹함(孟言咸)贊儀公-6子 홍(洪)判官公

    *김봉석님은 판관공의 형님(맹함의 5子)인 형(泂)正言公의 14대손이심.

    *판관공의 후손들은 4대를 이어서 문과에 급제한 집안으로 유명함.

 3)판관공의 손자대에서 평안북도 박천으로 이사간 후 박천에서 오래도록 세거함. 따라서 남한에는 후손들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음.

 4)판관공의 묘소는 현재 대구에 있는데 후손들이 없어 배위인 현풍곽씨(곽재우 집안) 후손들이 관리하고 있는 상태임. 묘소의 석물들도 사위인 이인상(이 함의 아들) 6세손으로 청도군수를 지낸 분이 만들어 놓았다고 함. 

 5)묘소를 관리하고 있는 현 현풍곽씨 집안에서는 묘소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빨리 묘소 관리를 판관공 후손들이 맡아 달라고 주문하고 있는 상태임.

 6)현풍곽씨들이 익원공파종회로 문의하여 오래 전부터 판관공 후손들을 찾고 있으나 아직 못찾고 있다고 함. 판관공 묘소와 관련한 위토도 약간은 있는 듯하다고 함.

 7)우리 모두 판관공 후손을 찾는 캠페인을 벌이자는 김봉석님의 제안이 있었음.

----------------------

다시 보는 이함 신도비 및 이인상 묘비와 관련한 본 홈 자료

동고공(東皐公) 휘 노(諱 魯) 선조님이 서(書)하신 이함(李函)의 신도비가  성남시 고등동에 있다는 태영종친으로 부터의 전화입니다. 성남 지역은 향토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선조님들의 필적이 존재치 않는다고 생각했었는데 여간 기쁜 소식이 아닙니다. 일요일 답사를 계획하고 일요일 아침 태영(군), 은회(익), 진회(밀), 발용(군)은 답사에 올랐습니다.

 

이함(1470∼1534)은 조선초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德水(덕수)이다. 공은 나면서부터 재주와 슬기가 남보다 달랐다. 中宗反正(중종반정) (1506)시 공을 세워 靖國功臣(정국공신) 이 되고 이 일로 折衝將軍(절충장군) 에 제수되었다. 1507년(중종 2) 嘉善(가선) 에 오르고 다음 해 嘉善大夫朔州府使兼兵馬僉節制使 海豊君(가선대부삭주부사겸병마첨절제사 해풍군) 에 봉해졌다. 1532년(중종 27) 順天府使(순천부사) 재임 중 1534년(중종 29) 병으로 관사에서 壽(수)65세로 卒(졸)하였다. 그의 부음에 중종은 예조좌랑 金璣(김기)에게 제문을 보내어 애도를 표하였다.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이라는 주소만 가지고 신도비를 찾아 나서는 무모한(?) 답사가 시작됩니다. 맑은 날씨라는 예보와는 달리 가랑비가 내리는가 싶더니 해풍군 이함의 묘소를 찾았을 때쯤에는 제법 굵은 빗줄기로 변하여 답사일행을 비에 젖은 생쥐가 따로 없습니다.

이함의 묘소는 배위 정부인 밀양박씨와의 원형 쌍분으로, 각 봉분은 용미와 활개를 갖추고 있으며, 묘역에는 봉분 중앙에 묘표, 혼유석, 상석, 4각향로석, 장명등이 있고, 상석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등의 석물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버지 이함의 묘소 아래에는 아들인 덕안군(德安君) 이인상(李麟祥)의 묘소가 있는데 그 묘표에는 배증정부인안동김씨(配贈貞夫人安東金氏)라 쓰여 있어 일행의 눈길을 끕니다. 미리 준비해간 자료에는 안동김씨 판관 김홍(金洪)의 따님이라 하는데 김홍(金洪)이란 분이 누구신지....

sungnam001.jpg

 ▲  위는 해풍군 이함의 묘소. 아래는 해풍군의 아들인 덕안군 이인상의 묘소

sungnam002.jpg

 ▲  해풍군 이함의 묘표

sungnam003.jpg

▲  덕안군 이인상의 묘표. 배증정부인안동김씨지묘(配贈貞夫人安東金氏之墓)

   기록에 의하면 신도비는 묘소에서 4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하는데 빗줄기에 쫓겨 하산 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산하는 길에 항상 그러했듯이 보이지 않는 힘이 일행의 시선을 잡아끕니다.

그곳 수풀 속에 동고공(東皐公)께서 쓰신 신도비가 서있습니다.

sungnam004.jpg

sungnam005.jpg

sungnam006.jpg


 ▲  해풍군 이함 신도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