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척약재따라 풍류여행(5) 삼척 죽서루- 죽서루 팔영-서거정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8-01-14 14:53 조회1,604회 댓글0건

본문

 

**삼척(三陟)의 죽서루 팔영(竹西樓八詠). 가정(稼亭)의 운에 차하다   사가정 서거정


                                   대숲에 감춰진 옛 절〔竹藏古寺〕
                            뒤얽힌 만 그루 대가 푸르게 둘리었는데 / 摐摐萬竹翠成圍
                            황량한 옛 절은 세월이 많이도 흘렀으리 / 古寺荒涼歲月非
                            날 저물고 구름 깊어 곳을 알 수 없는데 / 日暮雲深不知處
                            중은 어디서 쌀을 보시받아 돌아오는고 / 居僧何處化糧歸

                                  바위가 끌어들인 맑은 못〔巖控淸潭〕
                            깊은 못은 양이 커서 냇물을 삼킬 듯해라 / 潭如有量欲呑川
                            굽어보면 새파랗고 쳐다보면 아득하구려 / 下視蒼茫上渺然
                            알건대 교룡이 깊은 곳에 숨었을 터인데 / 知有蛟龍泓處隱
                            언제나 한 번 비구름을 쫓아 올라갈런고 / 何曾一逐雨雲遷

                                  산에 의지한 촌사〔依山村舍〕
                            풍년이라 쌀과 기장 마을마다 풍족한데 / 豐年禾黍足村村
                            온 마을이 서로 친해 문도 닫지를 않고 / 里閈相從不閉門
                            닭 잡아 막걸리 마시며 담소를 즐기다가 / 白酒黃鷄饒笑語
                            취하여 황혼 달 아래 부축해서 돌아가네 / 歸來扶醉月黃昏

                                  물 위에 누운 나무다리〔臥水木橋〕
                            한 여울 다 지나면 또 한 여울 나오거늘 / 過盡一灘又一灘
                            누가 큰 물결 위에 외나무다릴 놓게 했나 / 誰敎獨木跨驚瀾
                            이 사이엔 다리 말고는 발 디딜 틈 없거니 / 此間容足無多地
                            평범한 탄탄대로로 간주하지 말지어다 / 莫作尋常搭看

                                 소의 등에 앉은 목동〔牛背牧童〕
                            먼 봉우리는 파란 눈썹처럼 공중에 떴는데 / 遠岫浮空翠似眉
                            비낀 바람 가랑비 속에 한 도롱이 걸치고 / 斜風細雨一蓑衣
                            평생에 영욕일랑 도무지 관섭지 아니하고 / 平生榮辱都無管
                            소 등을 배처럼 평온하게 타고 돌아오누나 / 牛背如船穩跨歸

                                 밭두둑 머리에 들밥 내오는 부인〔隴頭饁婦〕
                            아침밥 내가자마자 또 낮밥을 내가는데 / 纔饁晨飧又午飧
                            들나물과 산고사리가 중간에 섞이었네 / 野蔬山蕨雜中間
                            반쯤 터진 베적삼에 형차는 구부정한데
/ 布衫半綻荊釵曲
                            날마다 밭머리만 왕래할 줄을 아는구나 / 日日田頭解往還

                                  물가에 서서 물고기를 세다.〔臨流數魚〕
                            한 냇물이 하도 맑아 깨끗한 거울 같아라 / 一水澄澄鏡面空
                            활발히 노니는 고기는 지느러미가 빨간데 / 游魚潑剌錦鬐紅
                            분명히 셀 만했다가 다시 셀 수가 없어라 / 分明可數還無數
                            앞 대열 광대하고 뒷 대열도 그와 같구려 / 前隊洋洋後隊同

                                  담장 너머로 중을 부르다.〔隔壁呼僧〕
                            산승은 그윽한 처소의 밖을 나오지 않고 / 山僧不出水雲窟
                            속객은 번잡한 문서 속에 길이 묻혔다가 / 俗客長昏簿領叢
                            산승을 불러 서로 마주하여 앉았노라니 / 喚得歸來坐相對
                            차 연기가 맑은 바람에 실실 날아오르네 / 茶煙細細颺淸風


[주D-001]반쯤 …… 구부정한데 : 형차(荊釵)는 가시나무로 만든 비녀를 말한다. 한(漢) 나라 때 은사(隱士)인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에 베치마〔布裙〕만 입었던 데서, 전하여 부인(婦人)의 검소한 복장을 의미한다.

서거정(徐居正);1420(세종 2)∼1488(성종 19).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강중(剛中), 초자는 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