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답변]부사공의 생원시 등과 년도는 1389년입니다.

페이지 정보

김영환 작성일14-05-12 16:33 조회2,359회 댓글1건

본문


부사공의 생원시 등과 년도는 1389년입니다.
 
근거자료
 
 황현(黃鉉)
[고려사마] 창왕(昌王) 1년(1389) 기사(己巳) 생원시(生員試) 1등(一等) 1[壯元]위
생년 임자(壬子)(주1) 생년 1372년(공민왕 21)
합격연령 18세
본관 평해(平海)(주2) 본관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사전
[문과] 태조(太祖) 2년(139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동진사(同進士) 15위(25/33)
[문과] 태종(太宗) 7년(1407) 정해(丁亥) 중시(重試) 병과(丙科) 5위(8/10)
 
[이력사항]
타과 태조(太祖) 2년(139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동진사(同進士) 15위
타과2 태종(太宗) 7년(1407) 정해(丁亥) 중시(重試) 병과(丙科) 5위
 
[가족사항][부] 성명 : 황유정(黃有定)(주3)
 
[주 1] 생년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하버드옌칭도서관[K 2291.7 1747.4a])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2] 본관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하버드옌칭도서관[K 2291.7 1747.4a])을 참고하여 본관을 평해(平海)로 추가.
[주 3] 부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하버드옌칭도서관[K 2291.7 1747.4a])을 참고하여 부를 추가.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하버드옌칭도서관[K 2291.7 1747.4a])





김윤식 님의 글입니다. > > >

최초로 밝혀지는 1386년(고려 우왕 12년) 승보시

>

부사공(휘 명리) 묘지명에 적혀 있는 아래 구절은
>아직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자
>고려사 선거지나 고려사절요에도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고려조 승보시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될 것입니다.

>

  公間喪哀毁動遵礼則服闋中黃鉉榜生員第四人
>  공은 상중(喪中)에 애훼(哀毁)하면서도 예법을 준수하였고,
>  복(服)을 마치자
황현(黃鉉)과 함께 생원시(生員試)에 응시하여 제4인으로 급제하였다.

>

고려조 승보시는 고려사 선거지에 간략하게 기술돼 있으며,
>우왕 이후 조선 개국 전까지 승보시 기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우왕 3년(1377년) 5월. 문경(文褧) 등을 선발했다.
>  우왕 6년(1380년) 6월. 좨주(祭酒) 권근(權近)이 홍상빈(洪尙彬) 등 110명을 선발했다.
>  우왕 8년(1382년) 5월. 정구진(鄭龜晉) 등 1백명을 선발했다.
>  우왕 9년(1383년) 4월. 왕비(王畀) 등 109명을 선발했다.
>  우왕 11년(1385년) 5월. 사예(司藝) 정총(鄭摠)이 최견(崔蠲) 등 60여 명을 선발했다.
>  공양왕 4년(1392년) 5월. 허적(許逷) 등 120명을 선발했다.

>

문온공(휘 구용)께서 돌아가신 해가 1384년(우왕 10년)이므로
>부사공께서 복을 벗고 승보시에 합격하신 해는 1386년(우왕 12년)으로 추정됩니다.
>고려사 선거지 기록에서 보듯이 우왕 12년부터 공양양 3년 사이에 실시된 승보시 기록이 없고,
>승보시 장원 황현 선생의 기록도 없습니다.
>이처럼 기초사료인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서 찾아볼 수 없는
>승보시 기록이 부사공 묘지명에 기록됨으로써
>여말선초의 과거제도와 급제자 연구에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댓글목록

김윤식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윤식
작성일

대부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정확한 연도를 알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