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 조선시대 관직의 행수법[行守法]***

페이지 정보

김상근 작성일13-07-19 16:44 조회4,073회 댓글1건

본문

                                                                                                
                                                     첨부이미지      *** 조선시대 관직의 행수법[行守法]*** 

조선시대 관직의 표기는 품계사직(品階司職)의 기준이 적용되었다. 품은 정.종1품에서 9품까지 18품이고, 계는 "대광보국숭록대부"에서 "장사랑"까지 30계를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사는 소속된 기관이고, 직은 보직(직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관직인 영의정을 품계사직의 기준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여기서 정1품은 품, 대광보국숭록대부는 계, 의정부는 사, 영의정은 직이 되는 것이다.그런데 간혹 사(소속기관)앞에 "行이나 守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행수법"이라 한다. 예를 들어 "가선대부 행승정원 도승지"라고 하면, 가선대부는 종2품의 계이고 도승지는 통정대부인 정3품으로 임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단계 높은 품계인 가선대부를 도승지로 임명하게 될때 기관명인 승정원 앞에 "행"자를 붙여서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가선대부 수홍문관 대제학"이라고하면, 대제학은 본래 정2품(정헌대부)인데 종2품(가선대부)으로 임명하였으므로 기관명인 홍문관 앞에 "수"자를 붙인 것이다.이를 행수법이라 하는데 알기쉽게 다시 말하면 높은 품계로서 낮은 직위에 임명되는 것은 "행직"이고, 낮은 품계로서 높은 직위에 임명되는 것을 "수직"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그러면 왜 조선시대에는 행수법이 필요했던 것일까? 행직의 경우는 품계를 받은 사람은 많고 직위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인사의 정체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된 것이고, 수직의 경우는 품계가 낮은 사람중에서 유능한 사람을 발탁하고자 하는 깊은 뜻이 있는 것이다. 아무튼 행수법은 인사제도의 탄력적인 운영을 위해서 실시한 제도라는 것을 유념해둘 필요가 있다 하겠다.
1449년 6월부터는 행수직의 제수 범위를 1계에 국한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송제(宋制)에 관직이 품관보다 1품 이상 낮은 것은 ‘행’, 1품 높은 것은 ‘수’, 2품 이상 높은 것은 ‘시(試)’, 품관과 관직이 동품인 것은 ‘부(否)’라고 한 것 중에 ‘행’과 ‘수’만을 채택한 것이었다.
그러나 세조의 집권 과정에서 고질자가 많이 나타나 이 제한 규정도 곧 무너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성종조에는 당상관이 8, 9품 군직(軍職)을 행직(行職)으로 받는 경우가 많게 되었다. 이에 ≪경국대전≫에는 7품 이하는 2계, 6품 이상은 3계 이상을 수직으로 올려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였다.

                                                                                         

                                                        < 18품 30계 >

                                     - 18품 : 정.종 1품부터 정.종 9품까지로 18개의 품이다.

                                     - 30계 : 정1품에서 종6품(참상관 이상) 까지는 각 품별로 상.하의 2계가 있으며, 정7품 이하는 각 품별로 하나 

                                                   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1품에서 6품까지는 품별로 4개의 계가 있으므로 24계가 되고, 7품에서 9품까

                                                   지는 품별로 2개의 계가 있으므로 6계가 되니 도합 30계가 되는 것이다. 

 

                               -------------------------------------------------------------------------------------

                                                                                    교지[敎旨] 

                    통정대부[通政大夫] 행[行] 안악군수[安岳郡守] 김계종[金繼宗] 증가선대부이조참판[贈嘉善大夫吏曺參判]겸[兼]

                    동지[同知] 의금부사義禁府事] 자[者]           만력사십사년[萬曆四十四年]십일월초육[十一月初六] 형난원종공신

                     [亨難原從功臣] 일등[一等] 의승[依承]전추증[傳追贈]                   **萬歷44年은 1616年 光海8年 丙辰年입니다.

                     가선대부[嘉善大夫]는 從2品階이며 의금부[義金府] 동지사[同知事]도 從2品 입니다.위로는 正2品인 지사[知事]

                     從1品인 판사[判事]가있읍니다. 차자[次子]이신 극재공[克齋公]휘호 [諱 ]께서 형난원종공신1등[亨難原從功臣

                    1等]에 오르시면서 의승전추증된[依承傳追贈] 교지[敎旨]인듯합니다. 

                    金繼宗은 忠烈公 諱方慶의12代孫입니다.필자는 諱 繼宗의 11代孫입니다.                             相根







                       #교지 사진은 첨부 파일로 보세요 .

                                                         
        

댓글목록

김발용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발용
작성일

공부 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