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난 논쟁-문온공 시호와 처부에 대한 -최종 결과-
페이지 정보
김영환 작성일13-05-22 11:32 조회2,634회 댓글2건본문
오늘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최종 결론을 내려 수정하였습니다.
-------------------------------------------
No. 10746 [수정요청] 시호에 대해서
이름 : 민원담당자 등록일 : 2013-05-20 조회수 : 37
안녕하십니까.
늘 관심을 가지고 저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청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을 아래와 같이 드립니다.
시호는 죽은 후에 바로 받은 경우도 있지만,
사후 오랜 기간이 지나서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정약용"은 남인 출신으로 죽은 후에 시호를 받지 못하다가
대한제국 시기에 받습니다.
시호는 '시법'에 따르서 부여됩니다.
"시법해"(사기정의에 수록)에 보면 "文"이란 글자에도 여러 가지 의미(6가지: 經緯天地, 道德博聞, 學勤好問, 慈惠愛民, 愍民惠禮, 賜民爵位)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두 명이 "文成"이란 시호를 받았을 때도 "문"이 같은 의미일 수도 있지만,
다른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부자, 외손이 같은 시호를 가지지 마라는 법은 없습니다.
다른 문의 사항이나 수정요청 사항 등이 있으면 언제든지 자료등록 수정게시판을 통해 문의,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중한 고객님의 의견을 귀담아 듣고 잘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13년 05월 21일
한국학중앙연구원
-------------------------------------------
No. 10759 [수정요청] 김제민. 시호, 처부 확인하였습니다.
이름 : 민원담당자 등록일 : 2013-05-22 조회수 : 8
안녕하십니까.
늘 관심을 가지고 저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청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을 아래와 같이 드립니다.
김제민. 시호, 처부 확인하였습니다.
다른 문의 사항이나 수정요청 사항 등이 있으면 언제든지 자료등록 수정게시판을 통해 문의, 요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중한 고객님의 의견을 귀담아 듣고 잘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13년 05월 22일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시 복원된 자료
김제민(金齊閔)
상세정보 자료수정내역 [ 방목 원문 보기 ].[고려문과] 공민왕(恭愍王) 4년(1355) 을미(乙未) 을미방(乙未榜) 동진사(同進士) 18위(28/33)[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AE40AD6CC6A9B1338X0
개명 김구용(金九容)
자 경지(敬之)
호 척약재(惕若齋)
호 육우당(六友堂)(주1) 호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 世係行事要略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함. "諱九容。字敬之。古諱齊閔。號惕若齋。所居堂曰六友。安東人也。"를 참고함.
시호 문온(文溫)(주2) 시호
『增補文獻備考』직관고 27(시호 2), [역대명신 시호 1]을 참고하여 시호를 확인함.
생년 무인(戊寅)(주3) 생년
졸년(1384)에서 "46"을 역산하여 생년(1338)을 계산함.
1338년(충숙왕 후7)
졸년 갑자(甲子)(주4) 졸년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 世係行事要略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함. "七月十一日。以病卒于旅次。年四十七歲。"를 참고함.
1384년(우왕 10)
합격연령 18세
향년 47세
본관 안동(安東[舊])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사전
[이력사항]
선발인원 33
관직 대사성(大司成)
[가족사항]
[부]
성명 : 김묘(金昴)
[조부]
성명 : 김승택(金承澤)(주5) 조부
시호 양간(良簡).
[증조부]
성명 : 김선(金愃)(주6) 증조부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의 아들이다.
[외조부]
성명 : 민사평(閔思平)(주7) 외조부
호 급암(及菴), 시호 문온(文溫).
본관 : 여흥(驪興)
[처부]
성명 : 윤진(尹珍)(주8) 처부
『목은문고(牧隱文藁)』권17, [윤지표묘지명(尹之彪墓地銘)]을 참고하여 처부를 확인함. 윤지표는 윤진의 아버지이다.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는 처부 윤진이 나오지 않는다. 자손이 없고, 생모가 아니어서 누락된 듯하다. 윤지표묘지명(목은 이색 찬)은 고려 때 찬한 것이다.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은 1386년(우왕 12)에 쓰여진 정도전의 서문, 1399년(정종 1) 9월에 쓰여진 하륜의 서문과 1400년(정종 2) 12월에 쓰여진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子 김명리 찬)으로 추정한 결과 조선 태종 때 간행된 것이다.
본관 : 해평(海平)
[처부2]
성명 : 홍의원(洪義元)
본관 : 남양(南陽[1])
[주 1] 호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 世係行事要略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함. "諱九容。字敬之。古諱齊閔。號惕若齋。所居堂曰六友。安東人也。"를 참고함.
[주 2] 시호 : 『增補文獻備考』직관고 27(시호 2), [역대명신 시호 1]을 참고하여 시호를 확인함.
[주 3] 생년 : 졸년(1384)에서 "46"을 역산하여 생년(1338)을 계산함.
[주 4] 졸년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 世係行事要略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함. "七月十一日。以病卒于旅次。年四十七歲。"를 참고함.
[주 5] 조부 : 시호 양간(良簡).
[주 6] 증조부 :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의 아들이다.
[주 7] 외조부 : 호 급암(及菴), 시호 문온(文溫).
[주 8] 처부 : 『목은문고(牧隱文藁)』권17, [윤지표묘지명(尹之彪墓地銘)]을 참고하여 처부를 확인함. 윤지표는 윤진의 아버지이다.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는 처부 윤진이 나오지 않는다. 자손이 없고, 생모가 아니어서 누락된 듯하다. 윤지표묘지명(목은 이색 찬)은 고려 때 찬한 것이다.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은 1386년(우왕 12)에 쓰여진 정도전의 서문, 1399년(정종 1) 9월에 쓰여진 하륜의 서문과 1400년(정종 2) 12월에 쓰여진 先君惕若齋世係行事要略(子 김명리 찬)으로 추정한 결과 조선 태종 때 간행된 것이다.
[출전]
《대원 지정 15년 을미 급제방(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古文書集成』23(居昌 草溪鄭氏), 韓國精神文化硏究院편,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
댓글목록
김영윤님의 댓글
![]() |
김영윤 |
---|---|
작성일 |
우문에 현답을 주셨습니다
그나 저나 수정요청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충분한 검토없이 너무 쉽게 받아드리는 것 같아 씁쓸합니다
김태우님의 댓글
![]() |
김태우 |
---|---|
작성일 |
앞으로도 이런일이 생길수 있으니 신경 곤두세워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