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약재학음집] 척약재학음집 판본 비교 자료
페이지 정보
김윤식 작성일11-11-14 01:33 조회2,541회 댓글6건본문
척약재학음집 판본 비교 자료
구분 |
간행 연도 |
간행자/필사자 |
소장자/소장처 |
비고 |
|
1 |
초간본 (初刊本) |
1400년 (정종2) |
아들 金明理 |
尙州 趙誠穆 |
• 2권 2책 목판본 • 보물 제1004호 • 본집 卷首尾와 외집 落張 • 유재집의 <惕若齋先生學吟集重刊序>에는 1399년으로 기록됨. |
2 |
중간본 (重刊本) |
1884년경 (고종21) |
16세손 金秉湜 17세손 金相元 |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 중앙도서관 등 |
• 저본 : 초간본 • 2권 2책 활자본 • 從叔 金秉湜 등과 함께 문집 개간 • 17세손 金相元의 序, 許傳의 跋을 권수에 추가 • 여지승람 등의 문헌과 對校한 小註가 붙어 있음. |
3 |
삼간본 (三刊本) |
1964년 |
永川 藥隱亭 |
성균관대 중앙도서관 등 |
• 저자의 후손 집성촌 • 저본 : 중간본 • 3권 1책 石印本 |
4 |
사간본 (四刊本) |
미확인 |
미확인 |
미확인 |
• 石印本 • 1884년 이후 저자의 후손 간행(전라도 지역 거주) • 유재집의 <惕若齋先生學吟集重刊序>에 의하면 金良黙, 金榮淳 등이 주관함. |
5 |
오간본 (五刊本) |
1973년 |
大東文化硏究院 |
大東文化硏究院 등 |
• 성균관대학교 大東文化硏究院 간행 • 『高麗名賢集』 4에 야은일고, 유항집, 석탄집, 제정집, 포은집, 도은집, 둔촌유고, 야은집, 기우집 등과 함께 수록. • 저본 : 성균관대 중앙도서관 소장본으로 추정됨. |
6 |
육간본 (六刊本) |
1989년 |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 등 |
• 저본 : 초간본 • 落張된 卷首의 序, 世係行事要略, 卷上 제1~22板 및 外集은 重刊本인 국립중앙도서관장본(한45-가206)으로 대치 •卷下 제37~41板은 行數 차이로 중간본에서 補寫하여 대치 |
7 |
국역본 (國譯本) |
1997년 |
成範重 |
울산대 출판부 등 |
• 울산대학교 출판부 간행 • 『惕若齋 金九容의 文學世界』 제2부에 譯註本으로 수록됨. • 저본이 밝혀져 있지 않음. • 참고문헌에 『惕若齋學吟集』 (高麗名賢集 4)와 『惕若齋學吟集』 (韓國文集叢刊 6)이 수록돼 있음. 이 둘 중 하나가 저본인 듯함. |
8 |
필사본 |
1710년 (숙종36) |
南叔燾 |
국립중앙도서관 |
• 1710년(숙종 36년)에 南叔燾가 金翼海에게서 낙질 1권을 얻은 뒤 金始慶(1659년∼1735년) 家藏本과 같은 판본임을 확인하여 이 두 本을 비교하여 落張과 탈락된 글자를 보사해서 완질본을 만듦. • 발문에 公之後裔金承宣始慶氏舊藏同一鐵字刊本이라 하여 활자본인 듯도 하나 현재로서는 알 수 없음. • 또한 金翼海와 金始慶 소장본이 목판본이라고 가정할 때, 초간본인지 여부도 현재로서는 알 수 없음. |
댓글목록
김윤식님의 댓글
![]() |
김윤식 |
---|---|
작성일 |
짬나는 대로 조금씩 학음집 판본을 비교하고자 합니다.
2번, 5번~8번 확보,
1번, 3번, 4번은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1번은 6번으로 대체하면 될 것 같고요.
3번, 4번은 소장하신 분 도와 주시기 바랍니다.
중간본은 문온공파 직제학공계에서,
3간본은 문온공파 사인공계에서,
4간본은 문온공파 참의공계에서 발간하였습니다.
김영환님의 댓글
![]() |
김영환 |
---|---|
작성일 |
1번(초간본;보물1004호),4번(전라도 간)만 없습니다.
규장각에 또다른 필사본(서문이나 발문이 없고, 2번중간본을 필사한 것임)이 있어 복사 확보했습니다.
김영환님의 댓글
![]() |
김영환 |
---|---|
작성일 |
4간(참의공계 간행) 원본 갖고 계신분(재홍 고문님)께서 제게 보내 주신다고 했습니다.
복사하여 한권 드릴께요.
김영환님의 댓글
![]() |
김영환 |
---|---|
작성일 |
8번 필사본을 보니 그때 김시경. 김익해의 소장본은 아마도 초간본이 아닐까 합니다. 왜냐하면 초간본 이후 중간한 기록이 없기도 하거니와, 필사본도 전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혹시 초간본을 필사한 것 일 수도 있지만 희박합니다.
김윤식님의 댓글
![]() |
김윤식 |
---|---|
작성일 |
대부님, 감사합니다.
날이 갈수록 한글 번역본이 중요해질 텐데
성 교수의 역주본이 판본을 모두 검토한 것 같지 않아서요.
8번 필사본 내용은 대부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승지공(휘 시경) 소장본은 초간본이 분명해 보입니다.
또한 유재집에 초간본이 1399년에 간행되었다 했는데,
초간본에 부사공께서 세계를 적으신 해가 1400년이므로
초간본은 이때가 맞는 것 같습니다.
대부님, 여러 모로 감사합니다.
김영환님의 댓글
![]() |
김영환 |
---|---|
작성일 |
저두 대걍 1,2,3,7,8.을 서로 대조하며 수박겉을 핥아 보았는데요. 제 눈에도 서로 다른 곳이 여러 곳 있더라구요. 좀더 세밀히 검토해봐야 할 사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