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충렬공 제주(탐라) 관련 주요 서적, 문집, 시문 外 일람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0-12-24 15:01 조회3,094회 댓글0건

본문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충렬공 제주(탐라) 관련 주요 서적, 문집, 시문 外 일람

[제주기년, 건치연혁, 인물, 한라산, 삼별초, 제주목사, 제주판관(통판)을 살피다가 간략 정리함]

○『탁라가(乇羅歌)』선산인 점필재 김종직(1431-1492) 저

1465년, 육지(성환)에서 제주사람에게서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지은 시다.

「남사일록」과 「우암문집」에 실려 있다.

 

○『탐라시삼십오절(耽羅詩三十五絶)』- 탐진 최보(崔溥, 1454-1504) 저, 1487년, 최보가 제주경차관으로 와서 남긴 시다. 저자는 임무를 마치고 돌아가다가 남중국으로 표류되기도 하였다.

[13절]에 추자(후풍)도의 충렬공 유사가 있으며 「남사일록」과 「우암문집」에 실려 있다.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경주 김정(淨, 1486-1521, 호 冲庵) 저.

기묘사화로 지은이가 진도에서 제주도로 옮긴 1520년 8월부터 사형당한 1521년 10월까지의 기록이다.

 

○『남명소승(南溟小乘)』나주 임제(林悌, 1549-1587) 저,

1577년부터 1578년까지 임제가 제주를 여행하며 저술하였다.

 

○『남사록(南槎錄)』 후안동 김상헌(金尙憲, 1570-1652) 原著.

1601년, 김상헌이 제주어사로 갔다가 기록한 기행문이다.

국역 「남사록」- 김희동(金禧東) 역, 1992년 영가(永嘉)문화사.

 

○『유한라산기(遊漢拏山記)』안동 김치(金緻, 1577-1625) 지음.

1609년, 남봉공께서 제주판관으로 부임 후 한라산에 올라 지은 기행문이다.

「탐라지」와 「남사일록」, 「옛사람들의 등한라산기」등에 실려 있다.

 

○『제주풍토기(濟州風土記)』전주 이건(李健, 1614~1662) 저.

이건은 선조의 손자이며 이공(李珙)의 아들로 호는 규창(葵窓)이다.

1628년부터 1635년까지 제주도에 유배되어 남긴 기록이다.

17세기 제주의 풍속을 이해하는 데 많은 참고가 되고 있다.

저자의 아들에 의해 1712년 초간 된 「규창집(葵窓集)」에 실려 있다.

 

○『탐라지(耽羅志)』1653년 초간, 여주 이원진(李元鎭, 1594-1665) 저.

1651년, 이원진이 제주목사로 와서 기록한 것이다.

이원진이 읊은 ‘明月所[城中有客舍軍器庫射場]명월소[성 가운데 객사, 무기고, 활터가 있다]’라는 7언 율시 외 기년과 삼별초 관련 충렬공 자료가 많이 있다.

「역주 탐라지」- 2002년 7월, 푸른역사 간.

제주제영(題詠) 편(P212-220)에 김치의「유한라산기」가 실려 있다.

 

○『남사일록(南槎日錄)』전주 이증(增, 1628-1686) 저.

1679년, 이증이 제주순무어사로 파견되어 한양을 떠나 제주에 도착한 경위와 그 뒤의 행적, 귀경 과정을 일기체로 수록한 기록문이다.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발문]에 충렬공의 기록이 나온다.

국역「南槎日錄」2001년 11월 제주문화원 간, 김익수(태익) 역.

P188-194에 남봉공 김치의「유한라산기」수록.

역자소개 -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충익공(김시양) 후손.

 

저자 이증(增, 양녕대군 후손)과 안동 김치(緻, 양녕대군 외손)의 혼맥

안동 김익달(민무회 장인)-고(顧)-맹렴(孟廉)-철균(양녕대군 사위)-수형(壽亨)-언묵- 석(錫) - 충갑(- 시민- 치), 인갑(- 時訓, 시양)

여흥 민총(閔叢)-세주(世舟)-영(韺)-응협(應協, 좌랑공 김시훈 처남)-점(點, 충익공 김시양 사위)-종도(宗道, 이증의 매부)

전주 양녕대군(민무회 조카)-포(言布)-현(鉉)-수남(壽男)-희손(希孫)-세량(世良)-목(莯)-이만(曼, 민점과 사돈) - 이증(민종도 처남)

▼남봉공 김치는 이증의 매부 민종도의 외조부 김시양의 종형 충무공 김시민의 아들이다.

 

○『지영록(知瀛錄)』연안 이익태(李益泰, 1633-1704) 저.

1694년, 이익태가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기록한 문집이다.

국역「知瀛錄」- 1997년 간행, 2007년 재간(제주문화원), 김익수 역.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전주 이형상(李衡祥, 1653∼1733)이 1702년에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화공 김남길(金南吉)을 시켜 그린 40폭의 화첩으로 국가지정 보물 제652-6호(1979년)다.

 

○『우암문집(寓菴集)』1860년 초간, 영양 남구명(南九明, 1661-1719) 저.

1712년 10월, 남구명이 제주판관으로 부임하여 1715년 5월까지의 기록이다.

「국역 우암선생문집(國譯 寓菴先生文集)」2010년 제주교육박물관 간.

추자(후풍도)도와 관련한 충렬공 유사가 [書事(사실을 쓰다)]에 있다.

김종직의「탁라가」를 차운하여 남구명이 14수를 더하였는데 우보탁라가(又補乇羅歌)라 한다.

 

○『규창집(葵窓集)』전주 이건(李健, 1614~1662) 저.

국역「규창집(葵窓集)」2010년 제주문화원 간, 김익수(태익) 역.

[잡저]에「제주풍토기(濟州風土記)」가 있다.

 

○『탐라기년(耽羅紀年)』- 1918년 초간본, 김석익(金錫翼) 저.

국역본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