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11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0-09-08 17:57 조회3,661회 댓글3건

본문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안동김씨를 위주로 주변 성씨들은 성씨, 본관별 가나다 순으로 고찰]

※청주한씨

한란(蘭, 시조) - 영(穎) - 상휴(尙休) - 혁(奕) - 한희유(希愈) - 광윤(光胤) - 강(康, 文惠公) - 사기(謝奇), 사보(謝譜)

한사기(謝奇) ♡ 이분희(李汾禧)의 녀 - 악(渥), 영(泳), 준(浚)

한사기(謝奇) - 악(渥) ♡ 원주 원경(卿)의 녀 - 공의(公義), 방신(方信)

한사보(謝譜) - 녀 ♡ 안동 김영후(永煦) - 김천(蕆) - 김사겸(士謙)

한공의(公義) - 한수(脩) - 한상질(尙質) - 한기(起) - 14세 한명회(明澮)

한공의(公義) - 녀 안동 김사겸(士謙), 녀 ♡ 이창로(彰路, 김묘의 사위)

안동김영후(永煦) - 김천(蕆) - 김사겸(士謙) ♡ 한공의(公義)의 녀

한방신(方信) - 한휴(休), 한녕(寧)

한휴(休) - 계복(季復) - 창(昌) - 한백륜(伯倫) - 녀(예종비 안순왕후)

한녕(寧) - 영정(永矴) - 확(確), 전(磌), 女[麗妃] ♡ 명 成祖

한수(脩, 1333~1384) ♡ 안동 권적의 녀 - 한상질, 상경(尙敬)

한수 - 「노국대장공주묘비」, 여주 「신륵사보제선사사리석종비」등에 필적이 있다. 이색(李穡)과 두터운 교분이 있었다.

한백륜(伯倫) - 녀(예종비 안순왕후), 녀 ♡ 이준(浚, 임영대군의 자), 녀 ♡ 남효원(南孝元), 녀 ♡ 신수영(신수근 제)

한전(磌) - 한충인(忠仁, 1433~1504) ♡ 안동 김중엄의 녀

한명회(明澮) - 녀(예종비 章順王后), 녀(성종비 恭惠王后)

한확[1403~1456] - 녀[소혜왕후 昭惠王后, 1437~1504, 인수대비(仁粹大妃)]

한전[1408~1447] - 한충인 - 次女 ♡ 신수근(愼守勤, 1450~1506)

한충인 - 성종 母(인수대비)의 사촌이며 중종비 단경왕후의 외조부로 묘는 고양시 내유동에 부인과 상하 묘로 조성되어 있다.

※공암(양천)허씨

許宣文(시조) - 현(玄) - 원(元) - 정(正) - 재(載) - 순(純) - 이섭(利涉) - 경(京) - 수(遂) - 허공(珙) - 관(冠) - 백(伯) - 경(絅) - 금(錦) - 기(愭) - 비(扉), 추(樞) - 허창(菖) - 허담(聃) - 허한(澣) - 허엽(許曄)

허비(扉) - 허훈(薰) - 허원(瑗) - 허자(磁) - 허자 4세손 허목(穆, 미수)

허공(許珙, 1234-1291) ♡ 윤극민의 녀 - (冠) 송분(1239-1318)의 딸

윤극민 - 녀 ♡ 허공, 녀 ♡ 동주 최징(澄) - 녀(허공의 처제 딸) ♡ 허공

여산 송송례(松禮, 1207-1289) - 임유무 처단, 아들은 송분(宋玢).

허공 - 정, 관, 女 ♡ 언양 김변(김취려 孫), 女 안동 김순(김방경 子)

언양 김변(賆) - 김륜(倫, 1277-1348) ♡ 최서의 녀, 女 ♡ 원선지

김륜 - 희조(希祖) ♡ 이제현의 녀, 딸 민사평 - 女 ♡ 안동 김묘(昴)

허공 ♡ 동주 최징(澄)의 녀 - 부, 녀(충선왕비 順妃), 녀 ♡ 평양 趙璉

허정(程) ♡ 행주 기홍석(奇洪碩 - 김방경의 동서)의 녀

허정(程) -허선(瑄) - 유(儒) - 허호(灝) ♡ 안동 김묘의 녀

허관(冠) - 허백(許伯, 시 文正) - 허강(許綱) ♡ 안동 김천(蕆)의 녀

허관 - 교(僑) - 허응 - 女 광산 김문 - 김철산 안동 김명리의 녀

허부(富) - 순(順, 陽川君) - 허의(許誼) ♡ 안동 김묘의 녀

허엽(許曄, 1517-1580, 호 草堂, 시 文簡)- 성(筬), 봉(篈), 초희, (筠)

초당(草堂)두부 - 허엽이 바닷물을 간수로 두부를 만들기 시작(유래)함.

허초희 난설헌(蘭雪軒, 1563-1589) ♡ 안동 김성립(1562-1592)

蘭雪軒集』,『廣寒殿白玉樓上樑文 - 韓濩(석봉) 書』- 판본(板本)

안동 김방경 - 김순 - 김영후 - 장(萇) - 수(綏) - 수의 9세 김성립(誠立)

허균(1569-1618) ♡ 안동 김대섭의 녀

허균은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을 지음.

안동 김구용 - 명리 - 맹헌 - 자양 - 예생 - 윤종 - 진기 - 대섭 - 확

김대섭(大涉) - 확, 녀 ♡ 이수광(1563-1628, 지봉), 녀 ♡ 허균(교산)

※남양홍씨

홍사윤(洪斯胤) - 홍진(縉), 홍예(裔)

홍진(縉) - 홍규(奎) - 홍융(戎) - 홍언박 ♡ 권준(權準)의 녀, 홍언유

홍예(裔) - 자번(子藩, 1237-1306) -홍경(敬) - 녀 ♡ 박원(박전지의 아들)

홍진 ♡ 김숙화(叔和)의 녀 - 홍규(奎)

홍진 ♡ 동주 최황(貺)의 녀 - 녀 ♡ 문화 유승, 녀 ♡ 이천 신진, 녀 ♡ 해주 최념, 녀 ♡ 동주 최문립

문화 유승(陞) - 유인기(仁奇 ) - 유보발 - 녀 ♡ 안동 김진 - 김익달

문화 유승(陞) - 인기, 女 ♡ 안동 권부 - 녀 ♡ 이제현

이제현 - 창로(안동 김묘의 사위), 녀 ♡ 박동생(東生) - 녀 ♡ 김익달

이천 신진(申瑱, 尙書) - 신여강(申汝椌) - 녀 ♡ 안동 김영돈

해주 최념(崔恬) - 녀 ♡ 죽산 박전지(1250-1325) - 박원(遠)

남양 홍진 - 녀 ♡ 유승, 녀 ♡ 신진, 녀 ♡ 최념(恬), 녀 ♡ 최문립

동주 최유청 - 최선(詵) - 최종준, 최종재, 녀 ♡ 조충

최종준(宗峻) - 영(英), (貺), 녀 ♡ 이장용(1201~1272)

최종재(宗榟) - 최온 - 문본, 문립(文立), 녀 ♡ 우봉 최항(沆)

홍규 ♡ 광산김씨(김연의 女) - 女 ♡ 정해(鄭瑎), 女(충선왕비 順和院妃),

                녀 ♡ 원충(광산 김광리의 빙장), 女(충숙왕비 明德太后)

홍규 ♡ 진천임씨(임연의 녀)

청주 정해(瑎) - 정책(㥽) ♡ 김순(恂)의 녀 - 정오(䫨) ♡ 홍융(戎)의 녀

정오는 외가(外家)를 따라 안동 풍산 회곡(檜谷)으로 이거(移居)하였다.

홍규(奎, 졸년 1316) - 원종의 명으로 송송례와 함께 처남인 임유무를 척살하여 왕정 복고.

홍융 ♡ 나유의 女 - 언박, 언유(안동도호부사), 女 ♡ 정오(鄭䫨)

홍언박 ♡ 권준(權準)의 녀

인물

홍대선(大宣) - 홍복원(福源), 백수(百壽) - 선(詵) - 홍탁(洪鐸)

홍복원 - 1233년, 필현보(畢賢甫)와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몽골군에 투항한 후 몽골로 들어가 원나라 동경총관(東京摠管)으로 있었다.

홍복원 - 홍다구, 홍군상

홍다구(洪茶丘, 1244-1291) - 홍복원의 아들로 고려 원종, 충렬왕 때의 부원(附元) 분자로 원나라의 장수이다.

홍탁(洪鐸, 몰년 1356, 경상도진변사) - 녀(충혜왕비 和妃)

※안동김씨와 타 성씨와의 세계 비교

○경순왕(재위 927-935)과 권행(고창전투 930년)을 기준한 양성 세계표

안김 경순왕- - - - 9세 김방경(1222-1300) - ♡ 권윤명 경순왕 10세

안권 권 행- - - - - - - - - - - - - - - - - -13세 권윤명 권 행 13세

경순왕(897-978)의 생몰년 기록과 권행(생몰미상)의 생몰년은 유사시기.

○문성왕과 김흥광을 기준한 양김 세계표(문성왕과 김흥광은 형제)

안김 문성왕 -14세 김방경 - 선 - 승택( -1358)- ♡ 광재 문성왕 17세

광김 김흥광 -11세 김위- 15세 김태현 -  김광재(졸년 1363) 김흥광 16세

안김 문성왕 -14세 김방경 - 선 - 승택 - 김묘 - ♡ 김첨 문성왕 18세

광김 김흥광 -11세 김위- 16세광철 - 회조 - (1354∼1418) 김흥광 18세

○신무왕과 헌안왕을 기준한 양김 세계표(신무왕과 헌안왕은 이복형제)

신무왕(45대, 졸839년)-문성왕(46대, 졸857년)-헌안왕(47대, 졸861년)

안김-균정-신무왕-문성왕-19세 김사형- - 김종준(1390-1465) 신무왕 21세

순김-균정-헌안왕-궁 예-신광-김총(시조)- 김종서(1390-1453)헌안왕 25세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댓글목록

솔내영환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영환
작성일

  한수=청주한씨= 호는 유항. 척약재선조님과는 매우 각별한사이며 척약재집에도, 유항집에도 관련시가 있습니다.
한확=청주한씨, 인수대비의 친정아버지- 문온공의曾孫(김구용-명리-중서-자완)婦도 한확의 따님. 인수대비의 언니임

솔내영환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솔내영환
작성일

  어렵게 만드신 귀한 자료 편안히 잘 보았습니다.  노고에 치하드립니다. 솔내

김상석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상석
작성일

  제가 집안에 대동보가 없어 잘 살피지 못했습니다. 그런 이유로 경진보 수록 이하의 배위가 생략되었습니다. 또한, 타 성씨의 족보에 접근하기도 어려웠으며 특히 배위(배우자)나 사위와 관련하여 자료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고려조 여러 성씨들이 분관하는 과정에서 본관을 명기하지 않고 관직과 성씨만 기록되어 있는 사례, 동명 이인, 생졸년미상, 관향의 고명과 당시의 지명 등의 혼기 등 여러가지의 사유로 혼란이 많았습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고려후기, 조선전기의 묘지명과 묘지에 기록들이 남아 전하니 기록문화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실감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