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 9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0-09-08 17:51 조회2,288회 댓글0건

본문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안동김씨를 위주로 주변 성씨들은 성씨, 본관별 가나다 순으로 고찰]

※여흥민씨

민칭도(시조) - 세형 - 의 - 영모 - (湜), 공규(公珪) - 녀 ♡ 최종재

민 식 - 명화(命華) - 휘(輝) - 민지(漬, 1248~1326) 신사전의 녀

민공규 - 인균(仁鈞) - 황(滉) - 종유(宗儒) - 적(頔, 1270~1336)

민지 - 상정(祥正), 상백(祥伯), 녀 나익희, 녀 ♡ 김원상(元祥)

나유 - 나익희 민지(1248~1326)의 녀, 녀 홍융(홍규의 자)

민상백(祥伯) - 민근(瑾) - 민중리(中理) - 민의생(義生), 민인생(麟生)

민근(이색의 동서) ♡ 안동 권중달의 녀 - 중리 유지정(柳之淀)의 녀

유지정 - 안동 김승용김승택의 사위

민종유 유천우(兪千遇)의 딸 - 민적(頔) - 민사평, 민변

유천우(1209∼1276) - 賀元帥金公方慶攻下耽羅(하원수김공방경공하탐라) -

원수 김방경의 탐라(제주) 평정 축시가 동문선에 전한다.

민적 영가군부인[김흔의 女] - 민사평 ♡ 언양김씨(김륜의 녀)

김취려 - 전(佺) - 변(賆) ♡ 허공(許珙)의 장녀 - 륜 - 딸 ♡ 민사평

민적 ♡ 원주 원관의 女 - 민변 - 민제(閔霽, 1339~1408)

민사평(思平) - 女 ♡ 안동 김묘(昴) - 구용, 제안, 구덕, 김사안(졸년 1391, 김사형의 형), 녀 ♡ 김첨(瞻, 1354-1418, 김광철의 손자)

광산 김첨 - 김사안의 동서, 안동 김간(김사렴의 자)의 처남

민제 - 女(태종비), 무구, 무질, 민무회 안동 김익달의 女, 무휼

※여산(익산)송씨

송복원 ♡ 순천 김승주의 次女 - 송현수, 女 ♡ 영응대군(세종의 8남)

김승주는 순천김씨 22세손으로 김종서와 동항이다.

송현수 ♡ 여흥민씨(민소생의 女) - 女(단종 정순왕후)

※거창신씨

신승선 ♡ 임영대군의 녀 - 신수근, 신수영, 女(연산군비 폐비신씨)

신수근 ♡ (권람의 女)-무후, ♡ 청주한씨[김중엄의 외손녀] - 녀(중종비)

안동 권람 - 女 ♡ 남이, 女 ♡ 김수형(양녕대군의 외손), 女 ♡ 신수근

청주 한충인 ♡ 안동 김중엄의 녀 - 次女 ♡ 신수근(愼守勤, 1450~1506)

신수근 - 임영대군 외손, 연산의 처남, 중종의 빙장으로, 남이(태종의 외 손)와 안동 김수형의 손아래 동서.

신수영 ♡ 청주 한백륜(부원군, 예종비 안순왕후의 부)의 녀

※청송심씨

심덕부(沈德符) - 심온(溫) - 준(濬) - 치(緇) - 형(泂) - 달원(達遠)

회(澮) - 원(湲) - 순문 - 연원, 달원(출계)

심온(溫) - 장녀(세종비 소헌왕후), 준(濬), 회(澮)

심연원(連源, 영의정) - 강(鋼) - 녀(명종비 인순황후), 의겸, 예겸, 충겸

심의겸(義謙, 심홍에게 출계, 서인의 영수)

심예겸(禮謙) - 열(悅, 생부 忠謙, 영의정) - 희세(熙世) - 권(權) - 봉서

(鳳瑞) - 호(浩) - 녀(경종비 단의왕후)

심달원(生父순문) - 전(銓) - 녀 ♡ 안동 김대섭(金大涉), 서자 심우영

김대섭(大涉) - 확, 녀 ♡ 이수광(1563-1628, 지봉), 녀 ♡ 허균(교산)

안동 김구용 - 명리 - 맹헌 - 자양 - 예생 - 윤종 - 진기 - 대섭 - 확

심우영(沈友英) - 심전(銓)의 서자로 당시의 서얼차대를 원망, 장사를 하다가 같은 서자출신의 박응서, 서양갑, 이경준, 등과 어울렸다. 이이첨, 정인홍의 계략에 말려 박응서만 남고 모두 죽었다.

심달원(達遠, 생부 順文) - 자(鎡) - 우직(友直) - 간(諫) - 심기원(器遠)

심기원(器遠, 1587-1644, 좌의정) - 인조반정에 가담하였다.

반정을 앞둔 어느 날, 밤이 이슥해서 천문과 역학에 밝다고 장안에 소문이 자자한 선비를 찾아 용호(용산)로 가, 자신의 사주를 일러주었다. 선비가 이미 거사(반정)임을 알고 말하자 그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과연 선생께서는 소문 그대로라며 큰절로 예를 표했다. 이어 준비해 가지고 간 또 다른 사주를 내밀며 거사 날짜(3월 22일)까지 털어놓았다. 이에 선비는 이 사주의 주인공은 3월 12일에 기가 흥하니 거사 날을 바꾸라는 것이었다. 난감한 표정으로 돌아온 심기원은 동지들과의 밀회에서 선비의 묘책을 강력히 주장하여 결국 거사를 성공하게 되니 사주의 주인공은 바로 인조(능양군)였다.

거사가 끝나고 선비를 모셔 고명을 묻자, 김치(金緻)라고 했다고 한다.

- 왕조실록과 『청구야담(靑邱野談)』, 전설과 구전의 전말이다.

김치(金緻, 1577-1625, 안흥군) - 안동인으로 호는 심곡(深谷), 남봉(南峰)이며 시 충무 김시민의 아들이다. 저서로 심곡비결(深谷秘訣)』과 시인으로 유명한 아들 김득신이 엮은 유고집 『남봉집(南峰集)이 있다. 제주판관으로 있을 때 <유한라산기>의 명문 산행기가 전하는 것을 보면 남봉(南峰)은 우뚝한 한라의 영봉에서 나온 것이다.

※순흥안씨

안향 - 우기, 女 ♡ 광산 김사원 - 김(稹, 안동 권윤명의 사위)

안향(安珦, 1243~1306) - 초명은 유(裕), 뒤에 향(珦)으로 개명하였으나 조선조 문종의 이름과 같아 이를 피해 다시 유로 고쳐 부름.

안우기 - 안목 ♡ 광산 김태현의 녀 - 원숭 - 녀 ♡ 안동 김사렴

안원숭 ♡ 원선지의 녀 - 원(瑗),수(垂), 녀 ♡ 안동 김사렴, 녀 ♡ 성석린

원주 원선지 ♡ 언양 김변의 딸 - 녀 ♡ 유보발, 녀 ♡ 안원숭

언양 김취려 - 전(佺) - 김변(賆) ♡ 허공의 장녀 - 륜(倫), 女 ♡ 원선지

※탐진(강진)안씨(순흥계) 인물

이색의 축시 하죽계안씨삼자등과시서[賀竹溪安氏三子登科詩書]에 “문성공지손정당공유삼자우등과(文成公之孫政堂公有三子又登科)”가 전함.

안축(安軸, 1282~1348) - 죽계공이라 칭함

안우(祐, 졸년 1362) - 고려 숭의전 배신청 배향

안지(安止, 1377~1464) - 권제, 정인지와 함께 [용비어천가]를 지었다.

※원주원씨

원진(瑨) - 부(傅, 1220~1287) - 원관, 원경(元卿) ♡ 홍록준의 女

원관 곽여필의 女 - 女 ♡ 안동 김승용(承用)

원관 金信의 女 - 원충, 女 ♡ 박거실, 女 민적, 女 ♡ 광산 金光轍

김은열 7세손 김태서(台瑞) - 김경손(慶孫) - 김신(信), 김혼(琿)

김광철 - 회조 - 첨(瞻) ♡ 안동김씨(김묘의 女), 녀 ♡ 안동 김간(侃)

원충 남양 홍규의녀 - 女 ♡ 광산 김光利(권윤명의 사위 金稹의 자)

원경(元卿) - 선지 - 송수 ♡ 권렴의 녀 - 원상(庠)

원선지(元善之, 1281-1330) 김변의 딸 - 녀 ♡ 유보발, 녀 ♡ 안원숭

김취려 - 전(佺) - 김변(賆) ♡ 허공의 장녀 - 륜(倫), 女 ♡ 원선지

원송수(松壽, 1323~1366) - 원상, 녀 ♡ 광산 김약채(김철산의 조부)

김약채 ♡ 원송수의 녀 - 김문 ♡ 허응(허공의 현손)의 녀 - 철산

원상 - 女(태조 誠妃, 졸년 1449), 元衷(졸년 1444)

인물

원열 - 원윤적 - 원천석(중시조, 태종의 스승)

원충갑(1250-1321) - 합단적, 김제갑, 원호와 함께 원주 충렬사 배향

원홍필 - 광명 - 방보 - 원헌 - 원호(생육신)

※문화유씨

유차달(車達)- - -택(澤)-경(璥)-승(陞)-인기(仁奇)-보발(柳發, 1304-1340)

유승(陞) ♡ 홍진(縉)의 녀 - 인기, 女 ♡ 안동 권부 - 녀 ♡ 이제현

유인기(仁奇) ♡ 광산 김지숙(김鍊의 자)의 녀

유보발 원주 원선지의 딸 - 계고(繼高), 상좌(尙左), 녀 안동 김진

안동 김방경(시 충렬) - 김순(시 문영) - 김영돈(시 문숙) - 김진(상락백)

이제현 - 창로(彰路 - 김묘의 사위), 녀 ♡ 박동생(東生) - 녀 ♡ 김익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