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 3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0-09-08 17:31 조회2,327회 댓글0건

본문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안동김씨를 위주로 주변 성씨들은 성씨, 본관별 가나다 순으로 고찰]

김흔(忻, 1251-1309) - 승고, 녀 ♡ 민적, 녀 ♡ 조련, 녀 ♡ 제주 양준

김승고(承固) - 녀 ♡ 의성 김태권(台權)

의성 김석(錫, 시조, 경순왕 자)―逸―弘術―國―景珍―彦美―襲光―公瑀―龍庇 - 龍庇 - 宜 - 瑞芝 - 김태권(台權) - 居斗 - 천(洊) - 永命 - 漢啓

김태권의 아들 김거두가 외가(外家)를 따라 안동으로 낙향하였으며 태권의 증손 金永命은 광주 이지유(之柔)의 딸, 광산 김무(務)의 딸, 안동 권전(專)의 딸 등과 3번 장가를 든다.(권전의 사위이니 문종과 동서간이다)

안동 김승용 - 김후 - 녀 ♡ 박거실 - 녀 ♡ 이지유(之柔) - 녀 ♡ 金永命

의성 金永命 ♡ 안동 권전의 녀 - 녀 ♡ 진성 이식(埴 - 퇴계 이황의 父)

민적(頔, 1270~1336) - 민사평 - 녀 ♡ 안동 김묘(昴)

안동 김묘 - 구용, 제안, 구덕, 녀 ♡ 안동 김사안, 녀 ♡ 김첨(瞻)

광산 김광철 - 김회조 - 첨(瞻), 녀 ♡ 안동 김간(侃), 녀 ♡ 안원형

조련(趙璉) - 덕유 - 조준[1346~1405] - 조대림[1387~1430] ♡ 경정공주

권렴♡ 조련의 녀 - 용 ♡ 김광철의 녀, 女(충숙왕비 壽妃), 女 ♡ 원송수

평양 조대림 - 女 안동 김중엄(仲淹 - 김구덕의 손자)

안동 김중엄 - 김뉴(紐), 女(신수근의 빙모, 중종비단경왕후의 외조모)

양준(梁遵, 1272-1342) - 처부는 안동 김흔(忻)이며 외조는 김취려.

제주 양숭보- 峻- 淳 ♡ 김취려의 녀 - 양준(遵) - 동재(棟材, 錦城君派祖)

김순-영돈, 영휘, 사순, 영후, 정책, 녀 백이정,별리가불화

김영돈(金永暾, 1285-1348, 좌정승, 시 文肅) ♡ 냉평국대부인 이천신씨

냉평국대부인 이천신씨 - 이천신씨로 아버지는 신여강(申岡)이다.

소국(國, 주, 군, 현, 川, 城, 山)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일부지역이 편입, 흡수, 통합되는 과정에서 안성 동부, 음성 북부, 이천 남부지역 일대를 죽산, 죽주, 음죽, 죽성, 음평, 냉평으로 표기하였다. 지금의 백암, 죽산면, 일, 모가면 등의 접경지대 지명이다.

이천 신진(申塡, 瑱, 頊, 尙書, 이천신씨 시조) - 申汝岡 - 녀 ♡ 김영돈

남양 홍진 - 녀 ♡ 유승, 녀 ♡ 신진, 녀 ♡ 최념(恬), 녀 ♡ 최문립

신진 - 여강(汝岡, 강 椌), 여춘(汝春), 녀 ♡ 동복 오기(吳祈, 潛)

오잠(1259-1336) ♡ 이천군대부인 신씨(신진의 녀) - 길(佶), 선(僐)

신진은 안동김씨 경진보에 신진()으로 남양홍씨 족보에는 신진(, 상서)으로, 동복오씨 기록에는 오잠(오기)의 처부가 신욱(申)으로 되어있다.

신여강은 안동김씨 경진보에 신여강(), 남양홍씨 족보에는 신여강(汝, 상서)으로 동주최씨 족보의 사위 홍진의 외손 기록에는 신여주(汝)다.

남양 홍진 ♡ 동주 최황(貺)의 녀 - 녀(문립의 6촌누이) ♡ 동주 최문립

동주 최유청 - 최선(詵) - 최종준, 최종재, 녀 ♡ 조충

최종준 - 영(英), (貺), 녀 ♡ 이장용(1201~1272)

최종재(宗榟, 宗杍) - 온 - 문본, 문립(文立), 녀 ♡ 우봉 최항(沆)

세계 비교 - 1. 남양 홍진(유승, 신진, 최념, 최문립의 빙장)의 가계

홍진(縉) - 홍규( 奎) - 홍융(戎) - 홍언박 ♡ 권준(權準)의 녀, 홍언유

홍예(裔) - 자번(子藩) - 홍경(敬) - 녀 ♡ 박원(박전지의 아들)

2유승, 신진, 최념, 최문립(형 최문본 1233-1276), 同行 홍자번(1237-1306)

3신진 사위 오 잠(1259-1336), 최 념 사위 박전지(1250-1325) - 박원(遠)

4신진 손婿 김영돈(1285-1348), 홍자번 손婿 박 원(졸년 1341)

김영휘(金永暉, 상서) ♡ 이씨(이성우의 녀)

처부는 이성우(成祐), 처외조는 검교(檢校) 합천 이계령(桂齡)이다.

족보의 그칠지(止) 아래 위터진입구 안의 쌀미(米)자를 쓴 령字는 이치(齒)부 령(齡)의 속자(俗字)다.

사순(思順) - 思順은 형제 항렬자인 영(永)자를 따르지 않고 기록된 점에서 법명(法名)으로 보인다. 안동김씨제학공파세보(임인, 1962)에는 [출가하여 慈惠(혜)宗大德이 되었고 승명(僧名)은 종자(宗慈)며, 문영공(김순)묘갈에 斯順今載祿 - 사순이라고 이제 다시 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2008년 5월 묘소에서 발굴한 묘지명 후면, 우측 구멍 뚫린 부분의 위아래 기록을 살피니 斯順은 확실하나 惠(혜)와 恩(은)은 명확하지 않다.

작성자도 발굴 당시 현장에 있었으나 불찰로 글자를 확인하지 못했다.

김영후(金永煦, 1292-1361, 좌정승, 시 貞簡) ♡ 상당군부인 청주한씨

청주 한란(蘭, 시조) - 영(穎) - 상휴(尙休) - 혁(奕) - 한희유(希愈) - 광윤(光胤) - 강(康, 文惠公) - 사기(謝奇), 사보(謝譜) - 녀 ♡ 안동김영후

한사기(謝奇) ♡ 이분희(李汾禧)의 녀 - 악(渥) ♡ 원주 원경(卿)의 녀 - 한공의(公義) - 한수(脩) - 한상질(尙質) - 한기(起) - 14세 한명회(明澮)

안동 김영후(永煦) - 김천(蕆) - 김사겸(士謙) ♡ 한공의(公義)의 녀

경주 이제현 - 이창로(彰路) ♡ 한공의(公義)의 녀, ♡ 김묘의 녀

이창로는 먼저 김사겸과 동서며, 나중은 김사안과 동서이다.

정책(㥽)

청주 정현(鄭儇) - 정해(瑎) - 정책(㥽) ♡ 김순(恂)의 녀 - 정오(䫨)

정오가 외가(外家)를 따라 안동 풍산 회곡(檜谷)으로 이거(移居)하였다.

남양 홍규(졸년 1316) - 홍융(戎) ♡ 나유의 女 - 女 ♡ 정오(鄭䫨)

백이정(白頣正)

남포 백문절 - 백이정 - 女 ♡ 경주 이달존

경주 이제현 - 이달존, 녀 ♡ 김희조(希祖)

언양 김취려 - 전(佺) - 변(賆) ♡ 허공(許珙)의 장녀 - 륜(倫)- 희조

별리가불화(別里哥不花) - 절강성 참지정사, 평장사(平章事)

아홀반(阿忽反, 원 승상) - 별리가불화(別里哥不花)

고려 시중 김방경은 1276년 어학 기관인 통문관을 설치하여 노걸대(老乞大), 박통사(朴通事) 등의 어학교재를 발간하였으며 이 교본들은 조선시대로 이어졌다(1998년 노걸대 원본 발굴).

안동 김방경 - 김순 - 녀 ♡ 別里哥不花

13 세기 당시 여몽(원)간의 관계는 인질로 독로화(禿魯花 - 뚤루게)를 보내야만 했고 왕과 재상들의 혼사 역시 같은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몽골 왕녀들을 다른 정복국가에게 시집보내어 부마국으로 하는 사례는 드물었다.

김영요(永曜, 금오위대장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