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 1

페이지 정보

김상석 작성일10-09-08 17:20 조회2,696회 댓글2건

본문

신라왕실 후예의 고려조, 조선전기 왕실과의 혼맥 소략

[안동김씨를 위주로 주변 성씨들은 성씨, 본관별 가나다 순으로 고찰]

※범례(일러두기)

*모든 공칭과 별호, 휘자에 대한 존칭은 생략한다.

*안향(安珦), 안유(裕)처럼 개명 시, 먼저 다 쓰고 나중은 많이 알려진 이름(휘)을 쓴다. 김시언(言)을 김시양(時讓)으로, 김연(鍊, 練), 권렴(廉, 衡)등이 같은 용례다. 한자의 동자이의는 한글로 표기를 하거나 (괄호)로 별첨하여 씀. 예)대안군 김은열(說) - 은설로 쓰고 있기도 함.

*휘자나 지명 성씨 등은 두음법칙과 자음동화를 따르고 한자음을 표기한다.

용례- (良)간공, 전주(李)씨, 김(瑬, 인조반정), 김(紐, 雙溪齋)

*타성의 문중에서 혼동하거나 논쟁이 있는 계보는 원인을 간략히 밝히고, 생몰년이나 신도비문, 묘지명, 묘갈, 행장, 동시대 왕조실록으로 비교하여 실으며 개인적인 논조나 추정은 삼가한다.

- 탐진(강진)안씨와 순흥안씨, 광산김씨, 원주원씨 원관의 사위 관련 등의 문중이 분파하는 과정에서 파계나 항렬 등이 뚜렷하지 않을 때에는 가계를 만들지 않고 아래에 주요 인물만 나열한다.

*각 성의 혼맥을 살피고자 그 아래로 관련한 성의 가계도를 소략 부기하며 이는 계속해서 겹사돈이 되어 살피는 데 있어 용이하게 중복하였다.

*혼맥에 관계가 없는 자녀나 조졸(早卒), 남녀 역순 등의 이유로 명확하지 않을 때는 생략하고 배위가 여럿이거나 그 배위와의 후사가 없을 시에도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왕실에서의 정비, 계비, 적남, 서남의 구별은 기록에 의지하지 않고 대군, 군, 공주, 옹주, 빈(이하 숙원 등)은 실록을 위주로 한다(여기에도 생몰년이 정확하지 않다). 또한, 고려와 조선조의 배위는 ( * * 국, 부, 군, 주)부인, (* *)택주, 본관(관향 *)씨라고만 되어 있어 각 배위의 성씨에서 다시 살폈음을 밝혀둔다.

※고려시대 참고 묘지명 주요 찬자 일람

○이진(瑱, 1244-1321) - 김방경(1300), 권단(㫜)(1312), 홍규(1316)

○민지(漬, 1248-1326) - 원관묘지명(1316), 김순묘지명(1321)

○이숙기(叔琪) - 조연수(조인규의 자, 1325), 김승용(1329)

○최해(瀣, 1287-1340) - 김태현(1330), 박거실처원씨(1335), 원충(1337)

○이제현(1287-1367) - 민적(1336), 이조년(1344), 권부(1346), 김륜(1348)

○안진(졸 1360) - 김영돈(1348년), 김방경행장(발문 1350), 김광철(1351)

○이곡(穀, 1298-1351) - 최해(1340), 채홍철(1340), 유보발, 안축(1348)

○이달충(李達衷) - 민사평묘지명(1359)

○이색(穡, 1328-1396) - 민사평처김씨(1374), 김묘처민씨(1379)

※고려시대 참고 비문, 건축물의 찬자와 서자 일람

보경사원진국사비(寶鏡寺圓眞國師碑 - 1224) - 이공로 찬, 김효인(孝印) 書

月南寺址眞覺國師碑(1235) - 이규보찬, 김효인(孝印, 몰년 1253) 書

비의 음기는, 1250년에 최자가 찬하고 탁연이 서함

대구 동화사홍진국존비명(桐華寺弘眞國尊碑銘 - 1298) - 김순 서

金剛山高麗國大藏移安記(1306) - 민지 찬, 김순(恂, 1258-1321) 書

杭州高麗慧因寺大藏經喜捨記(1314) - 민지 찬, 김순(恂, 1258-1321) 書

합천 함벽루 - 김영돈 창건(1321),『함벽루기(涵碧樓記)』- 안진 찬

상주객관(상산館) - 김영후 중영(1327), 상주객관중영기-1343』안축 찬

俗離山法住寺慈淨國尊碑名序(1342) - 이숙기(叔琪) 찬, 전원발(全元發) 書

예천 청원정(淸遠亭) - 전원발 창건, 옆 암벽‘淸遠亭’음각 - 김구용

※사당과 서원 배향인물 소고

예천 물계서원(勿溪書院) - 김방경, 김구용, 김양진, 김응조 배향

남원 용장서원(龍章書院) - 양능양, 양주운, 김구용 외(4인)

오창 송천서원 - 김사렴, 최유경(김묘 사위), 이정간(김제 사돈), 이대건(김도 사위, 이시발 부), 이인혁(이시발 손자), 남구만, 박문수 외 배향

원주 충렬사(忠烈祠) - 원충갑, 김제갑, 원호 배향(3인)

충렬사 경내(충효열각) - 김제갑, 김시백 부자, 전주이씨(3인) 봉안

괴산 화암서원(花巖書院) - 이황(퇴계), 이문건(김제갑 고모부), 김제갑

괴산 충민사(忠愍祠), 진주 창렬사(彰烈祠)- 김시민(증 영의정, 시 충무)

철원 포충사(褒忠祠), 종성 행영사(行營祠 - 황보인), 경원 충렬사(忠烈祠)

, 선천 의열사(義烈祠), 창성 충렬사(忠烈祠) - 김응하(증영의정, 시 충무)

※고려 숭의전 배신청 배향인물(고려조 16공신)

신숭겸, 복지겸, 홍유, 유금필, 배현경, 서희, 강감찬, 윤관, 김부식, 김취려, 조충, 김방경, 안우, 이방실, 김득배, 정몽주.

※고려 무신정권의 흐름

이고(1170-1171)-이의방(-1174)-정중부(-1179)-경대승(-1184)-이의민(-1196)-최충헌(-1219)-최이(怡, 우瑀, -1249)-최항(-1257)-최의(-1258)-김준(-1268)- 임연(-1270)-임유무(1270) - 100년

※조선조 시호 충무(忠武) - 9 인 시대(몰년)별 소략

1. 조영무[趙英茂, 여말-1414]-한양, 우정승, 정몽주 격살.

2. 남 이[南 怡, 1441-1468]-태종 외손자, 의령, 이시애의 난, 병조판서

3. 이 준[李 浚, 1441-1479]-임영대군 자, 전주, 이시애의 난, 영의정

4. 김시민[金時敏, 1554-1592]-39세 졸, 안동 김방경 13세손, 조일전쟁,

진주대첩(진주목사, 경상우병사), 상락부원군, 증영의정

5. 이순신[李舜臣, 1545-1598]-덕수, 명랑대첩(삼도수군통제사), 증영의정

6. 김응하[金應河, 1580-1619]-40세 졸, 안동 김방경 12세손,

후금(청)전투[좌영장], (明諡)요동백, 증영의정

7. 이수일[李守一, 1554-1632]-경주이씨, 조일전쟁, 이괄의 난, 증좌의정

8. 정충신[鄭忠信, 1576-1636]-광주, 이괄의 난, 정묘호란(부원수)

9. 구인후[具仁后, 1578-1658]-인조 외종형,능성,인조반정,병자호란,좌의정

심 하 전 투(1618) - 도원수 강홍립, 부원수 김경서, 좌영장 김응하[應河]

이 괄 의 난(1624) - 도체찰사 이원익, 종사관 김시양, 부찰사 이시발

이상은 아래에 다시 부기하지 않는다.

경순왕 이후 파조까지는 항렬로 살피고 파조 이하는 파별로 고찰하고, 배위에 대하여 정확한 자료나 고증이 어려운 것은 삼가하였다.

경순왕(신라 끝 임금, 재위 927-935) ♡ 낙랑공주(왕건 ♡ 유긍달의 녀)

김은열, 석(의성김씨 시조) , 건(鍵 - 강릉김씨 시조), 선(언양김씨 시조), 녀 ♡ 고려 경종비(헌숙부인)

김은열 - 숙승(흥, 안동김씨 시조) - 일긍 - 이청 - 의화 - 민성 -

김민성 - 효공(창), 효인, 효구(緱), 효수(綬), 효조(組), 녀 ♡ 윤신(莘)

김창(敞, 孝恭, 몰년 1256, 시 文簡) - 녀 ♡ 윤온 父 - 이윤온(李允蘊)

이윤온 - 녀 ♡ 청주 이계감(季瑊) - 이방직(李邦直, 몰년 1384)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속 대전외손(帶傳外孫)은 김창(敞)의 외손계를 나열한 것인데 외손의 관직과 생몰년이 일치한다.

이계감은 조변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으나 일찍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다시 이윤온의 녀를 취함.

김창과 조변(김방경 서), 이계감(季瑊) - 이방직(邦直) 계의 대수를 확인.

김효인(孝印, 몰년 1253) ♡ 송기(宋耆)의 녀 - 방경(안동김씨 중시조),

지경, 현경, 유선, 녀 ♡ 강분(姜份), 녀 ♡ 권천(闡), 녀 ♡ 최문본

김방경(方慶, 1212-1300, 시 忠烈) ♡ 냉평국대부인 죽주박씨(박익정의 녀)

, 흔, 순, 론, 녀 ♡ 조변(趙忭), 녀 ♡ 김원충(元冲), 녀 ♡ 경수, 녀 ♡ 권윤명(允明), 녀 ♡ 평강 채홍철

냉평국대부인 죽주박씨(박익정의 녀)

냉평국대부인 이천신씨 - 손자 김영돈의 배위

마한국대부인 죽산박씨 - 현손 김사형의 배위

여러 문헌에 죽주, 죽산, 죽성, 음죽, 음평, 냉평 등은 현재 경기도 이천 남부와 안성, 충북 음성이 접하는 접경지역의 별칭으로 쓰인다. 같은 예로 안동, 복주, 고창 등의 관향 앞에 영가군부인 안동(복주)김(권)를 쓴다.

죽주 박익정(益旌) - 박휘(暉), 녀 ♡ 기홍석(奇洪碩), 女 ♡ 김방경

박익정 - 박휘 - 박전지(全之) - 박원(遠) - 덕룡(德龍, 광산 김진의 사위)

광산 김진(稹, 안동 권윤명의 사위) - 녀(화평군부인) ♡ 죽산 박덕룡

경원 이장용(1201~1272) ♡ 동주 최종준의 女 - 女 ♡ 죽주 박휘 - 박전지

이장용(李藏用, 1201-1272) - 1269년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하고, 서북면에서 최탄, 한신이 반란을 일으키자 몽골에서 몽가독으로 하여금 군대를 파견(1270)할 때 시중으로 세자(충렬왕)에게 김방경을 추천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김방경은 몽골군의 대동강 이남의 진출을 저지하여 국가의 변란을 수습하고 민심의 동요를 막았다(김방경의 외교술과 애민사상을 엿볼 수 있다).

행주 기윤숙(允肅) - 기홍영(기자오의 조부), 기홍석(洪碩) - 녀 ♡ 허정

행주 기자오(奇子敖) - 기철, 기원, 녀(기황후)

양천 허공 - 허정(程) , 관, 女 ♡ 김변(김취려 孫), 女 안동 김순(恂)

김지경(之慶, 밀직부사 동경유수) - 성(惺, 한림학사 문하시랑)

김성(惺) - 영유(永濡, 좌정승 계림군), 영수(永洙, 중서시랑 평장사)

현경(玄慶, 좌정승, 시 忠順) - 전(悛, 첨의찬성사) - 永星, 永奎, 永箕

김전(悛) - 영성(永星, 정당문학, 闔門祗侯) - 격(激) ♡ 야은 길재의 녀

김전(悛) - 영규(수성백, 시 文惠, 수성최씨 시조)

유선(惟善) - 녀 ♡ 울산 박보(朴保), 녀 ♡ 전의 이자원(子蒝)

울산 박돈화(敦和) - 박보 - 녀 ♡ 윤보(尹珤) - 윤안, 윤암

윤보(尹珤) - 윤안 ♡ 나윤(羅允)의 녀, 윤암 박지량(朴之亮)의 녀

박보 - 1274년 일본 원정당시 중국 동계(東界)에 파견돼 전함 조선을 지휘하고 우군(右軍) 지병마사로 일본 원정에 참여, 현재 중국 동북부 랴오닝성 등지에 그의 행적으로 보이는 박가구촌, 박보촌, 박씨촌에 후손 세거.

나주(금성) 나득황(羅得璜, 1205-1268) - 나유(羅裕), 나윤(允, 인認)

나유(羅裕) - 나익희(1271-1344) ♡ 민지의 녀, 녀 ♡ 홍융(홍규의 자), 녀 ♡ 조위(趙瑋, 조련의 아우)

나유(졸년 1292) - 김방경 휘하에서 진도와 제주에서 삼별초 진압, 1274년 1차 일본원정길에 병마지사(兵馬知事)로 종군.

박지량(朴之亮, 졸년 1292) - 1274년 일본 정벌 시 도독사(都督使) 김방경의 휘하에서 중군(中軍) 병마지사(兵馬知使)로 참전.

강분(姜份) - 박주수령(博州守令)

권천(權闡) - 연주수령(筵州守令)

최문본(文本, 1233-1276)

동주 최유청(崔惟淸, 1095-1174) - 최선(詵) - 최종재 - 최온 - 최문본

댓글목록

김항용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항용
작성일

  단편적으로 알고 있기는 하나 종합 정리 되지 않아 아쉬었던 부분이었는데 님께서 속 시원하게 처리해 주셨습니다. 또 이로 하여 많은 분들을 편하게 해주셨습니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 했습니다. 님께서 우리 문중의 무형의 보물 하나를 또 만들어 놓으셨습니다.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잘 공부하겠습니다.

김항용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항용
작성일

  첨언합니다.
더욱이 요즈음, 다른 곳의 자료는 최대한 활용하면서, 자신의 자료는 개인 블로그 속에 넣고 열쇠로 잠그어 남들이 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이상한 자료 이기주의 분위기로 흐르고 있는 이때,
이렇게 방대하게 정리한 자료를 모두의 공익을 위해 내 놓으신 님의 큰 德은 위대하기까지 합니다. 우리 모두 스스로를 반성하고 군자의 길을 가는 님의 실천궁행의 정신을 귀감으로 삼아야 하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