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갑제(전 월간조선 대표)의 김방경
페이지 정보
김주회 작성일09-12-18 09:55 조회1,860회 댓글2건본문
母子중 하나는 빼야
조갑제 조갑제닷컴대표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작성시간 : 09.12.16 05:38
프린트 화폐 도안에서 신사임당과 이율곡 母子중 한 사람은 빼야!
그 자리에 李承晩 건국 대통령을 넣어야 우리가 쓰는 돈이 조선조 것이 아니란 증표가 될 것이다.
지구상의 200개가 넘는 공화국 중에서 화폐도안에 그 공화국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을 한 사람도 넣지 않는 유일한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한국의 화폐 도안엔 다섯 명의 얼굴이 들어가 있다. 世宗대왕, 신사임당, 이퇴계, 이율곡, 李舜臣이다. 모두 조선조 인물들이다. 대한민국을 자유민주주의의 이념 위에 세운 李承晩, 富國强兵의 길을 연 朴正熙, 한국 자본주의의 개척자 李秉喆과 鄭周永 같은 大인물들이 들어갈 틈이 없단 말인가?
외국인들은 화폐만 보고는 이 나라가 조선조의 연장이라고 생각할지 모른다(더구나 대한민국의 중심광장엔 조선조 사람의 동상 두 개만 서 있다). 혹은 국민들이 祖國을 수치스럽게 생각한다고 오해할지 모른다. 다섯 種의 화폐에서 母子(모자)가 다 들어 있는 것은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2000년 韓民族의 역사속에서 신사임당과 이율곡이 그처럼 압도적인 位相인가? 태종무열왕, 김유신, 문무왕, 왕건, 김방경, 이성계, 원효 같은 사람은 그 母子보다 못한 인물인가?
우선 이율곡과 신사임당 중 한 사람을 빼고 그 자리에 李承晩 건국 대통령의 얼굴을 넣는 게 맞다. 그 정도라도 성의를 보여야 "이 돈은 대한민국 화폐이지 조선조의 화폐가 아닙니다"라는 證標(증표)가 될 것이 아닌가?
조선조의 세계적 위상은 끝에서 헤아리는 게 빨랐을 것이다. 대한민국의 세계적 位相은 경제력과 군사력 및 과학 기술력에선 10위권, 삶의 질에선 약200개 국가중 26위권이다. 세계의 우등생이다. 그런 대한민국을 "태어나선 안될 정권이었다"고 저주하고 自虐하는 인간들이 밀실에 모여 "화폐 도안에서 대한민국 사람을 모조리 빼자"고 결의한 적이 없다면, 우선 母子 중 한 사람을 빼고 오늘의 번영과 자유를 가능하게 하였던 세기적 지도자인 李承晩 얼굴을 화폐 도안으로 넣어야 한다.
偉人과 恩人을 알아보지 못하는 사람들이 누리는 번영과 자유는 일시적일 것이다.
참고로 터키 공화국의 7種 화폐는 앞면이 모두 建國의 아버지인 케말 파샤의 얼굴이고, 뒷 면엔 공화국 사람이 6명, 오스만 터키 시절 사람이 1명이다. 이스라엘은 7種의 화폐중 6種에 공화국 사람(골다 메이어, 레비 에슈콜 등)이 들어 있고 한 種에 중세 시절 유태인 학자의 얼굴이 있다. 대만 화폐에는 孫文과 蔣介石이 들어가 있다.
민족사 2대 쾌거, 신라통일·대한민국 건국
김필재 기자 기자, 2008-02-24 오후 12:14:44
조갑제 대표(조갑제닷컴. 전 월간조선 대표 )의 월례 부산 시국강연 '민족사의 2대 쾌거: 신라의 삼국통일과 대한민국 건국'이 23일 오후 부산 동구 소재 부산일보사 10층 대강당에서 진행됐다.
---
개인적으로 한국의 10대 인물을 순위를 매긴다면 김유신·태종무열왕·문무왕이 공동 1위고, 이승만·박정희·세종대왕이 공동 2위다. 그 다음으로 이순신, 김방경(고려 장수), 이병철, 원효대사, 왕건, 이성계, 유성룡, 각각 3~9위고, 공동 10위가 광개토대왕과 근초고왕이다.
---
댓글목록
김항용님의 댓글
![]() |
김항용 |
---|---|
작성일 |
충렬공을 한국의 10대 인물에서 4위로 본 전 월간조선 조갑제 대표님의 글, 잘 읽었습니다.
대한민국의 위인 순위를 민족사 전체에서 살피는 통찰적 판단을 강조하신 것 같습니다. 그러고 보니 현재 우리 화폐의 인물들은 조선초의 1분과 중기에 집중되어 있네요.
--퇴계(천원권). 이이(오천원권). 세종(1만원권), 신사임당(5만원권).
다시한번 깊이 생각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충렬공은 4위라---
감사합니다.
김영채님의 댓글
![]() |
김영채 |
---|---|
작성일 |
우선 홈 관리자님의 좋은 자료, 대단히 고맙게 생각합니다.
이 자료를 읽음으로 그 내용의 타당성은 불문하고 우리 할아버지의 위상을 제3자의 시각으로 표현 되었다는 사실이 제 마음을 쁘듯하게 하네요. 정말 기분좋은 마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