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하당공(휘 첨) 영정 제작 공개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09-10-19 09:09 조회2,149회 댓글0건

본문

 지난 2006년 서운광정공의 후손이신 하당공(휘 瞻)의 영정이 봉안되었습니다.

뒤늦게 확인되어 공개합니다.

 

 

<하당공 영정 소개>

  hadang04-1-1.jpg

  1. 제작 일시 : 2006. 12. 28(봉안식 거행)

 

  2. 봉안 장소(2개소) : 안양재실과 광주재실  

 

  3. 제작자 : 김진삼 화백(후암미술연구소 소장)

 

  4. 제작처 : 서운관정공파종회 주관

 

  5. 규모 (크기) : 65호(가로90cm, 세로130cm)

  6. 제작 과정

   가. 1985년 9월9일 중부고속도로공사로 공을 모셨던 기존묘역의 토지가 도로부지로 편입되면서 부득이 현재 문화재묘역으로 천묘하게 되었는데 천묘당시 ‘미이라’로 발견된 하당공의 사진과 후손의 얼굴모습 및 이사장(상호)이 선몽(先夢)한 자료를 토대로 그렸다.

   나. 9월에 ‘후암미술연구소(소장 김진삼)’을 제작업체로 선정, 계약을 체결하여 약 3개월간에 걸쳐 제작하였다. 제작기간 중에는 2회에 걸쳐 詳浩이사장, 在峻부이사장, 元永부이사장 및 喆浩사무국장이 합동으로 제작검증과 고증을 거쳐 역사적인 하자가 없도록 했다.
 영정의 크기는 65호로 가로90cm, 세로130cm로서 영인본과 표구는 基永이사가 수고를 하여 제작 완료하였다.  영정은 안양재실과 광주재실에 각각 봉안하기로 하였다.

   다. 봉안고유제는 전통제례에 의한 방법으로 거행하였으나 앞으로는 영정을 모시고 제를 올려야 하는 바 영정의 점안(點眼)과 광명(光明)을 부여하고 비교적 일찍이 졸하신 삶의 애환(哀歡)을 달래기 위하여 상호 이사장의 불교식 의례를 겸하여 엄숙하게 거행하였다.

 

------------------------------------

김 첨(金 瞻) 1542(중종 37)∼1584(선조17)--(서)


 자(字)는 자첨(子瞻), 호(號)는 하당(荷塘)·남강(南岡)·동강(東岡). 서운관정공(휘 수)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전한 홍도(弘度)이다. 1576년(선조9) 선무랑(宣務郞)으로서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79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고 그해에 유성룡(柳成龍) 등과 함께 이이(李珥)가 올린 상소에 대해 옳지 않다고 탄핵하였으며, 1581년 이조좌랑으로서 박근원을 이조참판에 등용할 것을 주청하였다.

 1582년 교리(校理)를 거쳐 고경명(高敬命)대신 경상도재상경차관(慶尙道灾傷敬差官)으로 나아갔다. 이듬해 종사관이 되어 중국에 다녀온 뒤 이이를 탄핵하다가 지례현감(知禮縣監)으로 좌천되었고 이듬해(1584년.선조17)에 43세로 졸하였다.  뒤에 도승지(都承旨)에 추증되었다. 묘는 경기도 광주군 초월읍 지월리 산29-5에 있다.

    seoun7.jpg seoun6.jpg

                                    <묘 소>                                                                  <묘비석>

 

<1985년 이장시 출토된 미이라 소개>

 1. 출토 일시 : 1985년

 2. 장소 :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지월리 경수산

 3. 이장 묘소 : 하당공 김첨, 김첨의 딸, 김성립, 원주원씨

 4. 내용 : 1985년 중부고속도로 공사로 인해 원래의 묘역을 동남쪽으로 약 300m가량 이장하는 과정에서 하당공(김첨)과 그의 따님이 미이라로 발견되었고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문화재청에 신고되고 수습되어 <중요 민속자료  217호>로 지정되었고 현재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고 있다.

 5. 출토 유물 : 많은 양이 나왔으나 상당량은 심한 부식으로 소각하였고 일부 수습된 것 19점임

   *하당공의 묘소에서 나온 유물 5점 : 장의(2), 바지(1), 이불(2)

  hadang03-1.JPG

<하당공 묘소 이장시 미이라 모습, 공개상의 문제로 작게 게시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