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효헌공(孝獻公) 눌암(訥菴) 휘 찬(瓚) 교지 54매

페이지 정보

김발용 작성일09-07-18 18:43 조회1,743회 댓글1건

본문

김찬(金 瓚)1543(중종38)∼1599(선조32)

  조선의 문신. 자는 숙진(叔珍), 호는 눌암(訥菴). 익원공(휘 사형)의 후손으로 형조참의(刑曹參議) 언침(彦沈)의 아들. 1567년(선조즉위) 진사(進士)가 되고, 1568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갔다.

 1570년에 검열이 되고, 이후 대교·봉교·전적·형조정랑·검상·사인·이조정랑 등의 관직과 지평·집의·정언·헌납·사간·수찬·교리·응교 등 삼사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1573년 평안 삼도사로 나가 군적(軍籍)을 정리하였으며, 다음해에는 평안도 순무어사로 활약하였다. 1584년 이후로는 전한·직제학·승지·좌참찬·동지중추부사·대사헌·대사간·대사성·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임금의 파천을 반대하였으며, 대사헌으로서 선조를 호종(扈從)했다. 임금 일행이 개경에 이르자 동인(東人) 이산해(李山海)의 실책을 탄핵하여 영의정에서 파직시키고, 백성들의 원성을 사고 있던 김공량(金公諒)을 공격하는 데 앞장섰다.
 뒤에 정철(鄭澈) 밑에서 체찰부사(體察副使)를 역임하고, 양호조도사(兩湖調度使)로 전쟁의 뒷바라지를 하였으며, 1594년 접반사(接伴使)로서 명나라  지원군을 인도(引導)하고 일본군과 강화회담을 하는 등 크게 활약했다.
 또, 일본과 강화회담을 벌일 때 이덕형(李德馨)과 함께 공을 세웠다. 1597년 정유재란 때부터 예조판서·지의금부사·대사헌·이조판서를 연이어 지냈고, 1596년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거쳐 우참찬(右參贊)까지 승진하였다. 대사헌 때 가족을 멀리 피난시켰다고 탄핵을 받고 체직되는 등 소소한 정치적 부침을 겪기도 하였지만, 문장가로도 이름이 높았으며, 경제문제에 밝고 외교적 수완이 능숙한 명신이었다.

   임진왜란 수습의 막후 인물로서 3국간의 외교적인 절충을 성공시킨 명신으로 특히 경제정책의 전문가이자 명문장가였다. 임진왜란 뒤 전쟁의 수습과정에서 죽자, 선조는 조회를 정지하여 추모의 뜻을 표했다. 시호는 효헌(孝獻)이다.

배위는 증 정경부인(贈 貞敬夫人) 양성이씨(陽城李氏. 1549~1636. 8.29)이며 부는 용(墉)이다.  묘소는 현재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 42-1이며 승지골(勝地고을:성죽골로 잘못 불리어짐)로 불리운다.

nulam0001.jpg

nulam0002.jpg

nulam0003.jpg

nulam0004.jpg

nulam0005.jpg

nulam0006.jpg

nulam0007.jpg

nulam0008.jpg

nulam0009.jpg

nulam0010.jpg

nulam0011.jpg

nulam0012.jpg

nulam0013.jpg

nulam0015.jpg

nulam0016.jpg

nulam0017.jpg

nulam0018.jpg

nulam0019.jpg

nulam0020.jpg

nulam0021.jpg

nulam0022.jpg

nulam0023.jpg

nulam0024.jpg

nulam0025.jpg

nulam0026.jpg

nulam0027.jpg

nulam0028.jpg

nulam0029.jpg

nulam0030.jpg

nulam0031.jpg

nulam0032.jpg

nulam0033.jpg

nulam0034.jpg

nulam0035.jpg

nulam0036.jpg

nulam0037.jpg

nulam0038.jpg

nulam0039.jpg

nulam0040.jpg

nulam0041.jpg

nulam0042.jpg

nulam0043.jpg

nulam0044.jpg

nulam0045.jpg

nulam0046.jpg

nulam0047.jpg

nulam0048.jpg

nulam0049.jpg

nulam0050.jpg

nulam0051.jpg

nulam0052.jpg

nulam0053.jpg

nulam0054.jpg

댓글목록

관리자님의 댓글

profile_image 관리자
작성일

  눌암공의 귀한 교지류 사진 자료 잘 감상하였습니다.
본 홈 역사적 주요 인물 <김찬>란에 추가하여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