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장서원 춘향제(龍章書院春享祭)
페이지 정보
김태영 작성일09-04-26 07:29 조회3,292회 댓글3건본문
용장서원 춘향제(龍章書院春享祭)
2009. 4. 12(음3. 17)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
▲문온공 척약재 김선생 위패함(文溫公 惕若齋 金先生 位牌函)
▲집례를 맡으신 최경렬(崔敬烈)님이 홀기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좌로부터 초헌관 이상우(李相雨), 아헌관 방해원(房海源), 종헌관 김광도(金光道)
▲제수(祭需)를 확인하며 제품단자(祭品單子)에 표점을 합니다.
▲헌관이하 제관들이 제품단자(祭品單子)를 확인하는 절차에 임합니다.
▲전사(典祀)가 참석한 제관 앞을 돌며 황률(黃栗)이요, 하고 외칩니다. 모든 제수를 그렇게 확인 시킵니다.
▲검수(檢受)를 받은 제수(祭需)는 사당으로 옮겨집니다.
▲제품단자에 이상이 없다는 초헌관의 수결(手決)입니다.
祭品單子(제품단자)
黃栗(황률) 밤. 호도, 乾棗(건조) 대추. 은행, 榛子(진자) 개암, 鹿脯(녹포) 육포, 鹿醢(녹해) 소간, 菁菹(청저) 무우,
芹菹(근저) 미나리, 魚醢(어해) 조기, 魚鱐(어숙) 건명태. 건상어. 건오징어, 稻簋(도궤) 쌀, 黍簋(서궤) 서슥,
羊腥(양성) 소고기, 豚腥(돈성) 돼지고기, 幣篚(폐비) 비단, 黃燭(황촉) 초, 丹香(단향) 향, 祭酒(제주) 술
▲종헌례를 올리기 위한 김광도 문온공 종손의 세수(洗手).
▲양한식(梁漢植)씨의 직일평(直日評) (제례를 마치고)
▲기념촬영 좌로부터(존칭생략)
재호(문). 태영(군). 태욱(제). 천회(문). 양기환(남원). 영환(문). 광도(문). 봉회(도). 운식(제). 영국(문)
1. 명 칭 : 용장서원(龍章書院)
2. 문화재 : 전북 지방문화재 제53호(1984. 4. 1지정)
3. 위 치 : 전라북도 남원군 주생면 상동리(구 이언) 644번지
4. 연 혁 및 개요
고려 충렬왕(忠烈王) 28년(1302) 남원부(南原府) 사림(士林)이 사우(祠宇)를 수지면(水旨面)용장동(龍章洞)에 세우고 용장사(龍章祠)라 칭하였다.
태종(太宗) 2년(1402)에 사우(祠宇)를 다시 세우고 편액을 용장사(龍藏祠)로 고쳤다.
선조(宣祖) 30년(1597) 정유란(丁酉亂)에 소실(燒失)되었다.
정조(正祖) 17년(1792)에 남원부 이언방 충장공(南原府 伊彦坊 忠壯公 옛터) 주생면 상동리 현 위치로 이축(移築)하고 제향(躋香)케 하였다.
고종(高宗) 8년(1871)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그후 1948년에 사림의 발의로 강당을 세우고, 1962년에 사당을 세워 四先生 위패를 모시고 예성(禮成) 하였다.
5. 사선생행력(四先生行歷)
가. 양능양(梁能讓) 고려 성종대(成宗代) 병부랑중(兵部朗中), 호는 돈암(遯菴)으로 눌재 양성지의 조상이다. 공민왕(1354년)에 제향하였다.
나. 양주운(梁朱雲) 고려 원종시(元宗時) 삼별초란(三別抄亂) 평정 공으로 용성군(龍城君)을 봉하고 남원부(南原府)를 식읍(食邑)을 하사(下賜)받았다. 호는 삼강(三江)이다.
다. 김구용(金九容) 고려말 대사성(大司成), 상락공 김방경의 현손으로 일찍이 남원부사로 청백리로 선정하였다. 호는 척약재(惕若齋)이며, 시호는 문온(文溫)이다. 태종6년(1405)에 배향되었다.
라. 梁大樸 임진왜란(壬辰倭亂)시 공훈으로 증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제수 되었다. 호는 청계(靑溪)이며 시호는 충장공(忠壯)이다. 정조17년(1793)에 배향되었다.
6. 건물배치
서원의 배치는 산을 깎아 계단식으로 두고 건물 외곽에는 토석담장으로 둘렀다. 서원 입구에 관리사가 있고 외삼문을 지나 좌측면에 정몽재(正蒙齋)가 있고, 경의당(敬義堂)은 정면으로 4칸, 측면 1칸에 전후로 퇴칸을 두었다. 경의당(敬義堂) 배면에 높은 견치석 석축과 12계단위에 내삼문이 있고 정면 3칸, 측면 1칸의 숭덕사(崇德祠) 건물이 있다.
댓글목록
김발용님의 댓글
![]() |
김발용 |
---|---|
작성일 |
귀한 사진 감사합니다.
강진 시향 길에 두어번 용장서원에 들러보았지만 제례 모습은 사진으로 처음 봅니다.
김상석님의 댓글
![]() |
김상석 |
---|---|
작성일 |
시향길에 서원의 춘향이 거행되어 매우 뜻깊은 자리가 되었네요. 남도의 제례절차와 제물, 진설 등 잘 살펴 보았습니다.
관리자님의 댓글
![]() |
관리자 |
---|---|
작성일 |
감사합니다. 역사적 인물 김구용란에 올렸습니다. 늦어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