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충간위 자료-국사 교과서에 기술된 충렬공 관련 자료 조사서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9-02-22 11:25 조회1,685회 댓글0건

본문

 

충간위 자료 -초중고 국사 교과서에 기술된 충렬공 관련 자료 조사서

 

<초중고 국사 교과서에 기술된 충렬공 관련 자료 조사서> (김항용)

구분

항목

초등학교국사

중학교국사

고등학교국사

1.발행일

2002. 3. 1. 초판.  2009. 3. 1. 8쇄발행

2002. 3. 1.초판.  2008.3.1. 7쇄 발행

2002년 초판 발행. 2007. 3. 1. 2쇄 발행

2.저작권자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3.편찬자

한국교원대학교. 국정도서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국정도서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국정도서편찬위원회

4.발행인

(주)두산

(주)두산

(주)교학사

5.충렬공 인명 기록

없음

없음

없음

6.삼별초기록

없음

113p-무신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던 삼별초는 개경 환도에 반대하여 대몽항쟁을 계속하였다. 이들은 강화도에서 멀리 진도로 내려가 여․몽 연합군과 싸웠다. 진도가 함락되자 그 일부는 다시 제주도로 근거지를 옮겨 항쟁을 계속하였으나 결국 진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삼별초의 대몽 항쟁은 고려인의 자주 정신을 보여 준 것이었다. 이로써 40여 년 간에 걸친 몽골과의 전쟁은 끝났다.

*사진-항파두리 항몽유적지 : 제주 애월. 삼별초가 여․몽연합군에게 마지막까지 항전한 곳이다.

73p-고려 정부가 개경으로 환도하자 대몽항쟁에 앞장섰던 삼별초는 배중손의 지휘 아래 반기를 들었다. 이들은 장기 항전을 계획하고 진도와 제주도로 근거지를 옮기면서 대몽 항쟁을 계속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이들의 항쟁은 몽골에 굴복하는 것에 반발하는 민중의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7.려원연합군 일본 정벌

없음

114p

원은 일본 원정을 계기로 고려에 설치한 정동행성을 통해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였다.

74p

1)몽골과 강화한 이후, 고려는 두 차례 실시된 원의 일본 원정에 군대와 물자의 제공을 강요받았다.

2)원은 일본 원정을 준비하기 위하여 설치했던 정동행성을 계속 유지하여 내정 간섭 기구로 삼았고, 군사적으로는 만호부를 설치하여 고려의 군사 조직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다루가치라는 감찰관을 파견하여 내정을 간섭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