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렬공 묘지문(묘갈문)데 대한 분석 2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8-09-09 16:40 조회1,924회 댓글0건본문
충렬공 묘지문(묘갈문)에 대한 분석2
벽오 이시발 선생께서 지으신 충렬공의 묘지문은 족보에도 실려 있고,
현재 능동 충렬공의 묘소 앞의 묘비의 뒷면에도 새겨져 있으며,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는 벽오유고(이시발 저)의 글에서도 볼 수 있으나
약간씩 틀린 부분이 있음을 항용 씨의 지적으로 상세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우선 벽오유고의 원본을 확인하여 보기로 하였습니다.
고전번역원 자료에 있는 한국문집총간의 자료부터 살펴보았습니다.
이 자료는 한국문집총간에 실려 있는 영인본의 글씨를 워드화하여 옮겨놓은 것이었습니다.
책으로 된 한국문집총간에 실려 있는 벽오유고의 저본은 필사본이었습니다.
이 필사본을 영인하여 발간한 것을 고전번역원에는 워드화한 것입니다.
책으로 된 한국문집총간에 있는 영인본과
고전번역원에 실려 있는 워드화된 것을 비교하여 한자 한자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아래에 실린 자료를 원본으로 봄이 타당하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金圻(김기)는 원본에는 분명히 金坼(김탁)으로 되어 있으니
이는 원본이 잘못된 것으로 보고 고쳐서 써야 할 것입니다.
충간위 카페에 실린 원문 자료도 같습니다.
인터넷 워드자료에는 大丘莩都護府使의 大丘府자가 大丘莩자로 잘못된 것도 있었습니다.
앞으로 다음의 글을 묘지(묘갈)문의 원본으로 이용해야 할 것입니다.
高麗宣忠協謀靖難定國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
고려선충협모정난정국공신。벽상삼한삼중대광。
上洛忠烈公金方慶墓誌。
상락충렬공김방경묘지
安東之金。系出新羅敬順王。公爲十五世孫。生麗代。仕高
안동지김。계출신라경순왕。공위십오세손。생려대。사고
元忠烈朝。勳業茂著。轟輵古今。載在國史及行狀。斑斑可
원충렬조。훈업무저。굉갈고금。재재국사급행장。반반가
攷。姑撮其表表者言之。則忠直信厚。得於天性。制行也勤
고。고촬기표표자언지。칙충직신후。득어천성。제행야근
儉寡默。立朝也竭忠奉國。至於行師有律。戰克攻取。珍島
검과묵。입조야갈충봉국。지어행사유률。전극공취。진도
之役。日本之征。此其大較也。厥後內外苗裔趾美舃赫。三
지역。일본지정。차기대교야。궐후내외묘예지미석혁。삼
百年于茲。豈非所謂德厚者流光歟。墓在禮安縣治西陵洞。
백년우자。기비소위덕후자류광여。묘재례안현치서릉동。
神道有麗王命立碑。世久無徵。姓孫禮生曾監此縣。豎碣爲
신도유려왕명립비。세구무징。성손례생증감차현。수갈위
標。今幷與此碣而破折。嗚呼。後之人何以知爲公之墓乎。
표。금병여차갈이파절。오호。후지인하이지위공지묘호。
參奉金圻,生員金坪。以外裔居墓下。與姓孫參奉慶建曁在
참봉김기,생원김평。이외예거묘하。여성손참봉경건기재
近諸孫。謀易他石以新之。且加封植。來語余。余於公。爲
근제손。모역타석이신지。차가봉식。래어여。여어공。위
母姓十三代孫。嘗拜公之墓。爲之助其資。仍識其梗曁云。
모성십삼대손。상배공지묘。위지조기자。잉식기경기운。
嘉善大夫慶尙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大丘府 都護府
가선대부경상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대구부도호부
使。巡察使李某。志。
사。순찰사이모。지。
충렬공 묘갈문 분석(항용씨 자료를 인용하여 원본(영인본)과 비교한 것임
족보= 대동보 , 탁본= 현 묘비 탁본 , 원본= 벽오유고 원본 영인본(활자본이 아니고 원본임.)
高麗宣忠協謀靖難定國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
上洛忠烈公金方慶墓誌。
安東之金(*주1)。系(*주2)出新羅敬順王。公爲十五世孫(*주3)。生麗代。仕高元忠烈朝。勳業茂著。轟輵古今。載在國史及行狀。斑斑可攷(*주4)。姑撮其表表者言之。則忠直信厚。得於天性。制行也勤儉寡默。立朝也竭忠奉國((*주5)。至於(*주6)行師有律。戰克攻取。珍島之役。日本之征。此其大較也(*주7)。厥後(*주8)內外苗裔趾美舃赫。三百年于茲。豈非所謂(*주9)德厚者流光歟。墓在禮安縣(*주10)治西陵洞(*주11)。神道(*주12)有麗王命立碑(*주13)。世久無徵。姓孫禮生曾監此縣。豎碣((*주14)爲標(*주15)。今幷與此碣而(*주16)破折。嗚呼。後之(*주17)人何以知(*주18)爲公之墓乎。參奉金圻(*주19),生員金坪。以外裔居墓下。與姓孫參奉慶建(*주20)曁(*주21)在近諸孫。謀易他石以新之。且加封植。來語余。余於公。爲母姓十三代孫。嘗拜公之墓。爲之助其資。仍識其梗曁云。
嘉善大夫慶尙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大丘(*주22)府(*주23)都護府使。巡察使李某((*주24)。志(*주25)。
(*주26) (*주27)
주1 |
安東金氏=족보 |
安東金氏=탁본 |
安東之金= 원본 |
주2 |
係=족보 |
系=탁본 |
系=원본 |
주3 |
18세손=족보 |
9세손=탁본 |
十五世孫=원본 |
주4 |
考=족보 |
考=탁본 |
攷=원본(攷=상고할 고, 攷는 考의 옛 글자) |
주5 |
公=족보 |
公=탁본 |
國=원본 |
주6 |
如=족보 |
於=탁본 |
於=원본 |
주7 |
也=족보 없음 |
也=탁본 있음 |
也=원본 있음 |
주8 |
后=족보 |
0=탁본 없음 |
後=원본 있음(后=임금후. 後=뒤 후. 근래에는 后=後로도 씀.) |
주9 |
所謂=족보 |
0=탁본 없음 |
所謂=원본 |
주10 |
縣=족보 없음 |
縣=탁본 없음 |
縣=원본 |
주11 |
知禮村=족보 |
知禮村=탁본 |
陵洞=원본 |
주12 |
神道碑舊=족보 |
神道碑舊=탁본 |
神道=원본 |
주13 |
王所立=족보 |
王所立=탁본 |
王命立碑=원본 |
주14 |
竭=족보 |
碣=탁본 |
碣=원본(竭=다할 갈, 碣=비 갈) |
주15 |
表=족보 |
表=탁본 |
標=원본(表=겉 표, 나타날 표, 標=우듬지 표. 사물의 발단.) |
주16 |
而=족보 |
0=탁본 없음 |
而=원본 |
주17 |
後之=족보 |
後之知=탁본 |
後之=원본 |
주18 |
知=족보 |
知=탁본 |
之爲=원본 |
주19 |
圻=족보 |
圻=탁본 |
坼=탁=원본[圻=경기(京畿)기, 坼=터질 탁) |
주20 |
慶建=족보 |
金慶建=탁본 |
慶建=원본 |
주21 |
旣아래에 木=족보 |
穊=탁본 |
曁=원본(墍=맥진할 기, 穊=밸 기, 빽빽할 기, 曁=및 기) |
주22 |
邱=족보 |
邱=탁본 |
丘=원본(邱=땅이름 구, 언덕 구, 丘=언덕 구, 무덤 구) |
주23 |
都=족보 |
都=탁본 |
莩=원본 / 활자본(府=원본 영인본) |
주23 |
000=족보 없음 |
000=탁본 없음 |
巡察使=원본 |
주24 |
李時發=족보 |
李時發=탁본 |
李某=원본 |
주25 |
識=족보 |
識=탁본 |
志=원본(識=알 식, 志=뜻 지) |
주26 |
조우인 서=족보 |
탁본 있음 |
원본 없음 |
주27 |
황명.....=족보 |
탁본 있음 |
원본 없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