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충렬공실기 목차(안)

페이지 정보

김윤식 작성일08-07-05 05:22 조회1,879회 댓글2건

본문

충렬공실기 목차(안)

- 편집과정에서 목차(안)를 더욱 정밀하게 다듬어 나갈 예정입니다. 바뀐 목차는 일정 기간을 두고 공고하겠습니다. - 목차에 대한 수정, 추가, 삭제 등에 관한 의견을 적극 반영토록 노력하겠습니다. 일가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도편달을 바랍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제호 : 충렬공 김방경 실기(忠烈公 金方慶 實記) - 가칭, 미정

■ 속표지

■ 영정 : 충렬공 영정 - 새로 제작 중인 영정(현 영정과 화수록 및 대동보, 파보에 게재된 영정 포함)

■ 묘소 : 능골 묘소

■ 묘도(墓圖) : 역대 족보 중에서 발췌

■ 묘지석 : 충렬공 묘지석

■ 묘비 : 묘비문 포함

■ 신도비 : 신도비각 포함

■ 음수재

■ 유허비 : 유허비각 및 옛 유허비 좌대, 유허도 포함

■ 상락재 : 냉평국대부인 죽주박씨 할머니 묘소 포함

■ 숭의전

■ 물계서원

■ 화보 : 충렬공 관련 주요 유적 - 장군샘, 상락대, 고산정(추정지), 강화도 해령당 등

■ 계대 : 대보공(휘 알지) 이후 충렬공까지 계보도

■ 파계도 : 충렬공 이하 15분의 파조(派祖) 할아버지까지 파계도

■ 행장 : 충렬공 행장

■ 충렬공의 가족 : 충렬공의 직계 가족 관계(사위 포함)

■ 충렬공에 관한 역사 기록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원사(元史), 신원사(新元史), 동사강목, 동국통감,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각종 사서류 기록

◇고전번역서 -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활용

고려사절요 제34권 공양왕 1(恭讓王一) 기사 원년(1389)

고려사절요 제23권 충선왕(忠宣王) 신해 3년(1311)

고려사절요 제23권 충렬왕 5(忠烈王五) 병오 32년(1306)

고려사절요 제22권 충렬왕 4(忠烈王四) 경자 26년(1300)

고려사절요 제22권 충렬왕 4(忠烈王四) 무술 24년 (1298)

고려사절요 제21권 충렬왕 3(忠烈王三) 정유 23년(1297)

고려사절요 제21권 충렬왕 3(忠烈王三) 을미 21년(1295)

고려사절요 제21권 충렬왕 3(忠烈王三) 경인 16년(1290)

고려사절요 제21권 충렬왕 3(忠烈王三) 무자 14년(1288)

고려사절요 제20권 충렬왕 2(忠烈王二) 계미 9년(1283)

고려사절요 제20권 충렬왕 2(忠烈王二) 임오 8년(1782)

고려사절요 제20권 충렬왕 2(忠烈王二) 신사 7년(1281)

고려사절요 제20권 충렬왕 2(忠烈王二) 경진 6년(1280)

고려사절요 제20권 충렬왕 2(忠烈王二) 기묘 5년(1279)

고려사절요 제20권 충렬왕 2(忠烈王二) 무인 4년(1278)

고려사절요 제19권 충렬왕 1(忠烈王一) 정축 3년(1277)

고려사절요 제19권 충렬왕 1(忠烈王一) 병자 2년(1276)

고려사절요 제19권 충렬왕 1(忠烈王一) 을해 원년(1275)

고려사절요 제19권 원종 순효대왕 2(元宗順孝大王二) 갑술 15년(1274)

고려사절요 제19권 원종 순효대왕 2(元宗順孝大王二) 계유 14년(1273)

고려사절요 제19권 원종 순효대왕 2(元宗順孝大王二) 신미 12년(1271)

고려사절요 제18권 원종 순효대왕 1(元宗順孝大王一) 경오 11년(1270)

고려사절요 제18권 원종 순효대왕 1(元宗順孝大王一) 기사 10년(1269)

고려사절요 제18권 원종 순효대왕 1(元宗順孝大王一) 무진 9년(1268)

고려사절요 제18권 원종 순효대왕 1(元宗順孝大王一) 을축 6년(1265)

고려사절요 제18권 원종 순효대왕 1(元宗順孝大王一) 경신 원년(1260)

고려사절요 제16권 고종 안효대왕 3(高宗安孝大王三) 무신 35년(1248)

동문선(東文選) 동문선 제20권 칠언절구(七言絶句) 원수 김방경이 탐라를 쳐서 평정함을 축하하며[賀元帥金公方慶攻下耽羅]

동문선(東文選) 동문선 제40권 표전(表箋) 알리는 글[告奏表]

동문선(東文選) 동문선 제20권 칠언절구(七言絶句) 복주(福州)

동문선(東文選) 동문선 제62권 서(書) 상 정동성 서(上征東省書)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하 계미년 충렬왕 9년(원 세조 지원 20, 1283)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하 무술년 충렬왕 24년 (원 성종 대덕 2, 1298)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1하 갑술년 원종 15년(송 도종 함순 10, 원 세조 지원 11, 1274)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상 경진년 충렬왕 6년(원 세조 지원 17, 1280)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3하 을축년 충숙왕 12년(원 진종 태정 2, 1325)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1상 기미년 고종 46년(송 이종 개경(開慶) 원년, 몽고 헌종 9, 1259)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하 임진년 충렬왕 18년(원 세조 지원 29, 1292)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1상 계해년 원종 4년(송 이종 경정 4, 몽고 세조 중통 4, 1263)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3상 기유년 충선선효왕(忠宣宣孝王) 원년 (원 무종 지대 2, 1309) 안정복(安鼎福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상 병자년 충렬왕 2년(송(宋)(端宗) 경염(景炎) 원년, 원(元) 세조(世祖) 지원(至元) 13, 1276)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상 기묘년 충렬왕 5년(송 상흥 2-이 해 송이 망하였다-원 세조 지원 16, 1279)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4상 임진년 공민경효왕(恭愍敬孝王) 원년 (원 순제 지정 12, 1352)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1하 경오년 원종 11년(송 도종 함순 6, 몽고 세조 지원 7, 1270)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상 신사년 충렬왕 7년(원 세조 지원 18, 1281)

동사강목(東史綱目) 범례(凡例) 범례(凡例) 인사(人事)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하 무자년 충렬왕 14년(원 세조, 지원 25, 1288)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1하 계유년 원종 14년(송 도종 함순 9, 원 세조 지원 10, 1273)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2하 을미년 충렬왕 21년(원 성종(成宗) 원정(元貞) 원년, 1295)

동사강목(東史綱目) 동사강목 제11하 신미년 원종 12년(송 도종 함순 7, 몽고 세조 지원 8, 1271)

 

◇조선왕조실록 -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활용

세종 지리지 세종 지리지 / 경상도 / 안동 대도호부

세종 지리지 세종 지리지 / 경상도 / 진주목 / 창원 도호부

세종 지리지 세종 지리지 / 전라도 / 제주목

태종 7년 정해(1407) 7월 30일(신사) 상락 부원군 김사형의 졸기

태종 13년 계사(1413) 9월 20일(병신) 대신들이 임금의 임실에서 사냥하는 것을 말리다

단종 즉위년 임신(1452) 12월 13일(신축) 고려의 공신·충신·명장 등을 왕씨의 제사와 함께 제사하도록 하다

세조 2년 병자(1456) 3월 28일(정유) 집현전 직제학 양성지의 춘추 대사·오경·문묘 종사·과거·기인 등에 관한 상소①

중종 15년 경진(1520) 10월 18일(임인) 대신은 나라을 위하여 집을 잊고 공을 위하여 사를 잊어야 함을 이르다

중종 38년 계묘(1543) 4월 21일(을미) 정부가 왜인 사신의 요청을 거부하고 읍호는 현재대로 하라고 아뢰다

선조(수정실록) 24년 신묘(1591) 3월 1일(정유) 전 교수 조헌이 일본의 침략에 대비할 것을 아뢴 소장과 첩황②

선조 28년 을미(1595) 3월 11일(갑신) 삼성이 죄인 황정욱을 추국한 공초 내용

선조 34년 신축(1601) 8월 17일(임오) 제주 읍호 강등과 관련하여 의논하다

선조 36년 계묘(1603) 9월 9일(임술) 전대 임금의 능묘의 일을 의논하다

선조 40년 정미(1607) 4월 13일(을사) 겸 선전관 한빈의 파직, 죄수를 방면한 관계자 추고, 수령의 제배는 법전에 의거하다

영조 6년 경술(1730) 12월 17일(신해) 북경의 재변으로 인한 우리 북방 지역의 대비책을 강구할 것에 대한 이종성의 상소

정조 3년 기해(1779) 8월 7일(무오) 수어사 서명응에게 남한 산성에 대해 물으시다

정조 18년 갑인(1794) 3월 8일(을미) 제주 목사 심낙수가 낙향할 것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일성록 -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활용

정조 3년(1779) 8월 7일(무오) 남한산성의 행궁에서 수어사 서명응과 광주 부윤(廣州府尹) 송환억을 소견(召見)하였다.

해동명장전 등 고서적 기록

개인 문집 기록 - 한국고전번역원(옛 민족문화추진회) 홈페이지 활용

◇한국문집총간 -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활용

갈암집(葛庵集) 葛庵先生文集卷之二十五 墓誌銘 近始齋金先生墓誌銘

금남집(錦南集) 錦南先生集卷之二 [東國通鑑論] 王不知金鏞殺鄭世雲 又以鏞殺安祐,李芳實,金得培 爲祐等有罪 최부(崔溥)

기언(記言) 記言別集卷之九 記 書李員外耽羅日記

기언(記言) 記言別集卷之二十四 丘墓文 贈左贊成趙公墓碣銘

기언(記言) 記言卷之四十八 續集 四方 耽羅誌

눌재집(訥齋集) 訥齋集卷之二 奏議 便宜二十四事

동명집(東溟集) 東溟先生集卷之三 詩 喚仙亭卽事

동토집(童土集) 童土先生文集卷之六 雜著 睡隱姜公行狀

목재집(木齋集) 木齋先生文集卷之十 [雜著] 刑法志

목재집(木齋集) 木齋先生文集卷之十 [雜著] 兵志

목재집(木齋集) 木齋先生文集卷之五 序 送嶺伯李國賓 序

무명자집(無名子集) 無名子集詩稿册六 [詩] 詠東史

백담집(栢潭集) 栢潭先生文集卷之五 七言古詩 車駕視學祗謁先聖 敬聞而贊嘆

백암집(柏巖集) 栢巖先生文集卷之五 呈文 上方伯文

벽오유고(碧梧遺稿) 碧梧先生遺稿卷之五 墓誌 高麗宣忠協謀靖難定國功臣 壁上三韓三重大匡 上洛忠烈公金方慶墓誌 이시발(李時發)

사류재집(四留齋集) 四留齋集卷之十 [倭變錄] 倭變錄

서당사재(西堂私載) 西堂私載卷之二 詩 挽魚僉正

서애집(西厓集) 西厓先生文集卷之七 啓辭 嚮導天將啓

서애집(西厓集) 西厓先生別集卷之二 箚 辭職箚

성담집(性潭集) 性潭先生集卷之二十 墓碣 睡隱姜公墓碣銘 송환기(宋煥箕)

소재집(穌齋集) 穌齋先生文集卷之十 碑碣 有明朝鮮國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同知經筵成均館事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神道碑銘守愼)

송자대전(宋子大全) 宋子大全隨箚卷之二 [隨箚] 卷之十二疏箚

수산집(修山集) 修山集卷之十三 高麗史志 禮志

수은집(睡隱集) 睡隱集附錄 [行狀] 承義郞守刑曹佐郞睡隱姜公行狀

수은집(睡隱集) 睡隱集卷四 [行狀] 祖考行狀

수촌집(水村集) 水村文集卷之五 疏箚 箚記

식산집(息山集) 息山先生續集卷之一 詩 南風

약천집(藥泉集) 藥泉集第二十九 雜著 嶺南雜錄

역천집(櫟泉集) 櫟泉先生文集卷之三 詩 華陽洞 別成生汝良 ,敬叟

용주유고(龍洲遺稿) 龍洲先生遺稿卷之二十 神道碑 判中樞府事荷潭金公神道碑銘

용주유고(龍洲遺稿) 龍洲先生遺稿卷之十六 墓碣 廣州牧使梳翁趙公墓碣

월사집(月沙集) 月沙先生集卷之四十七 墓碣銘 洪上舍就夫墓碣銘

월사집(月沙集) 月沙先生集卷之四十八 墓誌銘 贈領議政行連原察訪趙公墓誌銘

월정집(月汀集) 月汀先生集卷之六 墓誌 贈左贊成趙公德源墓誌銘

은봉전서(隱峯全書) 隱峯全書卷三十六 抗義新編 第二封事

은봉전서(隱峯全書) 隱峯全書卷十六 己卯遺蹟附錄 神道碑

익재난고(益齋亂藁) 益齋亂稿卷第九 世家 有元贈敦信明義,保節貞亮,濟美翊順功臣太師,開府儀同三司,尙書右丞相,上柱國忠憲王世家

익재난고(益齋亂藁) 益齋亂稿拾遺 拾遺 上征東省書

인재집(訒齋集) 訒齋先生文集卷之十二 墓碣 處士姜君墓碣銘

입재유고(立齋遺稿) 立齋先生遺稿卷之十 雜著○東史評証 高麗

자저(自著) 自著卷之一 賦 廣韓賦

자저(自著) 自著卷之十三 律詩 送瀛州尉之任

점필재집(佔畢齋集) 佔畢齋集卷之三 詩集 書守山會軸

정암집(靜菴集) 靜菴先生文集附錄卷之六 [碑誌] 神道碑銘

정암집(靜菴集) 靜菴先生文集世系之圖 [世系圖] 靜菴先生世系之圖

졸옹집(拙翁集) 拙翁集卷之十 慕遠錄 十代祖麗朝奮策扶危安社功臣 壁上三韓三重大匡 都僉議中贊 上護軍判典理司事 益城府院君匡定公洪公

중봉집(重峰集) 重峯先生文集卷之八 疏 請斬倭使二疏

지천집(芝川集) 芝川集卷之三 箋五首 謝蒙恩箋幷序

지포집(止浦集) 止浦先生文集卷之二○應製錄 表箋 還國謝恩表

지포집(止浦集) 止浦先生文集卷之二○應製錄 表箋 告奏表

지포집(止浦集) 止浦先生文集卷之二○應製錄 表箋 迎主敎坊致語

지포집(止浦集) 附錄 年譜 年譜

창석집(蒼石集) 蒼石先生續集卷之八 行狀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趙公行狀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靑莊館全書卷之二十三 編書雜稿[三] 宋史筌蒙古列傳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靑莊館全書卷之二十六 紀年兒覽[下] [高麗]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靑莊館全書卷之六十五 [蜻蛉國志] 兵戰

퇴계집(退溪集) 退溪先生續集卷之一 詩 三月十六日 謁權判書江亭

한수재집(寒水齋集) 寒水齋先生文集卷之三十四 行狀 僉正贈參判姜公 行狀

휴옹집(休翁集) 休翁集卷之三 海東樂府 別抄叛

■ 충렬공 시문

東征過次福州登映湖樓吟詩

요요암 신화상에게 보낸 충렬공의 편지

이승휴의 단모부와 충렬공의 답장

■ 충렬공 묘소 수호과정 - 충렬공 장례 기록(고려사) 및 묘소 실전과 수호

고려사, 고려사절요, 족보 기록 및 광산김씨 예안파 기록 등

안동김씨종약소 기록 등

■ 충렬공의 대몽 항전 : 몽고 침입 직후부터 강화(講和) 이전까지 충렬공의 대몽항전

고려사, 고려사절요, 원사, 신원사 등 각종 사서류

■ 삼별초의 난 평정 : 몽고와의 강화조약 체결 이후 삼별초 평정 과정

고려사, 고려사절요, 원사, 신원사 등과 일본 사서류

■ 삼별초의 난에 대한 역사적 평가 :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 각종 사서류 및 현대 사학자들의 새로운 평가 및 견해

■ 일본 정벌과 충렬공 : 여몽 연합군의 일본 정벌 기록

고려사, 고려사절요, 원사, 신원사 등과 일본 사서류

현대 사서류

현 각급 학교(초중고교) 역사책

일본 정벌 관련 충렬공 유적지(검모포, 천관산 등)

■ 충렬공의 치수 및 간척사업

위도, 강화도, 제천 의림지, 수산제 등

■ 충렬공 관련 서적 및 기고문

◇논문류

<고려후기 김방경의 정치활동과 그 성격>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류선영

<김방경 연구-그의 군사활동을 중심으로>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윤애옥

<김방경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이상철

<우리나라의 海戰事例 考察> 강영오 2001 軍事세계 71(2001. 3)

<高麗 忠烈王代 金方慶 誣告사건의 전개와 그 성격> 권선우, 인문과학연구5(1999.2)

<高麗 忠烈王代 政治勢力의 動向-忠烈王 初期 政治勢力의 變化를 中心으로> 金光哲

<高麗後期 勢族層과 그 動向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金光哲

<蒙古軍․金方慶․三別抄> 한국사시민강좌 閔賢九

<고려시대 안동의 인물1 - 충렬공 김방경> 안동시

등의 충렬공 관련 논문류

◇소설류

<김방경 일본을 정벌하라> 김봉석, 시간의물레

<여몽연합군의 일본정벌> 정순태, 김영사

<검푸른 해협>(원제<風濤>) 이노우에 야스시

등 충렬공 관련 소설류

◇단행본류(어린이 위인전 포함)

<63인의 역사학자가 쓴 한국사 인물열전-김방경> 박재우

<한국사의 주체적 인물들> 이이화

<왕의나라 신하의 나라> 이이화

<소년소녀 한국전기전집> 계몽사

<삼별초의 난을 진압한 김방경>

등 단행본 및 어린이 위인전

◇국방부 발행 도서류의 충렬공 관련 기록

<水軍名將傳>, 海軍本部 政訓監室 등 각군에서 발행된 도서류

◇근현대 신문, 잡지 등의 보도기사 및 기고문

■ 충렬공 관련 설화 및 구전 - 한국구비문학대계 및 각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활용

상락대 전설, 금성산신 설화 등

■ 충렬공 관련 언론매체 보도 내용 및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록

각종 동영상 자료 및 음향 자료(KBS 역사스페셜 등)

■ 충렬공 연보

■ 발문 : 발간사 및 편찬후기

■ 충렬공실기 편찬과정 : 약술(일지형식 등)

■ 부록1 : 능골 인근 현대 지도 및 안내도, 회곡동 인근 현대 지도 및 안내도

■ 부록2 : 충렬공실기 CD-ROM

■ 충렬공실기간행위원회 조직도 및 명단

■ 판권

 

댓글목록

김우회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우회
작성일

  그바쁜 분이 방대한 계획된 정리에 놀랠뿐입니다.우리 안김에 또다른 큰
별을 본것 같습니다. 고생시키는 분투 노력과 전진에 항시 감사의 뜻을
전하며...
일본에 심부름은 언제든 연락주세요 걱정마시고 경비는 자비로 할것
이니까. 항시 스탠바이 하고 있습니다.

김윤식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윤식
작성일

  아이쿠, 대부님. 아닙니다. 지금 목차가 많이 부족합니다.
그나마 지난 여러 해 동안 우리 종친들께서 열과 성을 다해 귀한
자료를 게시판에 공개해 주시고, 후원해 주셨기에 만들 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 말씀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