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김씨 계보연구회 방문기(9)-삼성연원보의 2가지 이본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8-04-28 08:55 조회1,487회 댓글1건본문
국립 중앙도서관에 있다는 <삼성연원보>는 2가지 본이 있는 것 같습니다. 즉 가칭 <계보연구회본>과 <김재철본>입니다.
<계보연구회본>은 계보연구회에서 199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견하여 2006년 영인본으로 발간한 것이며,
<김재철본>은 우리 문중의 원로 연구가이신 재철(일명 용진, 안렴사공파)께서 2005년 국립 중앙 도서관에서 발견하여 안사연에 소개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 두가지는 다음과 같은 같은 점과 다른 점이 있습니다.
1. 같은 점
1)금속활자본
2)전 체제 및 내용
3)뒷면 발간명 자료 내용
2. 다른 점
1)쪽수 매긴 것이 일부가 다름
2)내용은 같으나 편집 체제, 즉 좌우 배열이 약간 다른 부분이 있음.
3)<계보연구회본>은 전 편 각 쪽 마다 있는 간지 서명표시(각 면 좌, 우측 끝부분)를 <三姓淵源褓>라 했는데 <김재철본>은 김씨 부분은 <鷄林金氏淵源譜> 라 했음.
3. 판단
1)국립 중앙도서관의 <삼상연원보> 이본을 모두 조사할 필요가 있음
2)이본 사이의 내부 내용을 정밀 조사할 필요가 있음.
---------------------------------------------------
1. <김재철본>
<표지>
<신무왕----경순왕-佺,瑤,琨,英,奮,鎰>
<경순왕-金皇, 鍾, 鑑, 錫, 鍵, 鐥, 金垂, 德摯,>
<鑑(殷說)-淑(淑承)-元姜-文雄-日兢-利請-義華-敏成>
<敏成-孝印-方慶-선,흔,恂-承用,承澤,承祐,永旽,永暉,思順,永煦-厚,玖,昴,之衍,之瑞,神,荇,斤重,士謙,士廉,思安,思衡>
<책 뒷장>
<세부 자료>
<14p>
<15p>
<15p>
----------------------------------------------------------------
2. <계보연구회본>
<표지>
<47p>
<48p>
<59p>
<맨 뒷면>
<앞의 별지로 붙은 영인판>
<맨 뒤에 붙은 영인본 발문>
댓글목록
김항용님의 댓글
![]() |
김항용 |
---|---|
작성일 |
금일 이 문제를 <계보연구회>에 문의하니 다음과 같이 답변을 주시어 의문이 해결되었습니다.
1. 지난 1995년 최초 발견한 후 <계보연구회> 회원이신 김한경(2년 전쯤 작고)님이 이를 살펴 보니 일부 p수가 잘못 편집된 것이 확인되었음. 즉 이것은 최초 발견한 것인 위의 <김재철본>이었음
2. 김한경씨는 이 잘못 편집된 것을 P수만 바로 잡아 다시 영인함. 이것이 상기의 <계보연구회본>임.
3. 지난 몇 년전 송사문제가 일어나자 국립도서관의 원본은 일부 소송 제기자들의 변질, 훼손 염려로 폐가식 서고에 넣어 대출을 중지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복사한 복사본만 대출해 주도록 했으며, 2006년 이후는 <계보연구회>에서 신 편집한 영인본을 국립 도서관으로 보내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