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48회 정기산행(궁궐답사)보고_03 창경궁(끝)

페이지 정보

김발용 작성일08-03-01 11:55 조회1,826회 댓글3건

본문

 

48회 정기산행(궁궐답사)보고_03 창경궁 (끝)

                                                             글:상석    사진:발용                    

 종묘제례 시 악공들의 대기실이었던 악공청 위로 올라가 치적이 있는 조선조 임금들의 신주를 모신 정전과 두 단을 더 내려와 뜰아래엔 조선조에 마련한 고려 숭의전의 배신청에 해당하는 조선의 공신 83위를 모셔놓은 <공신당>의 담장에 나란한 참도를 따라 시선을 끌고 올라와 영녕전을 굽어본다.

 초겨울의 서늘한 햇살이 용마루에 부딪쳐 기왓고랑을 타고 흘러내리고 있었다. 연산군과 광해군이 비운 자리를 국운을 다 한 조선의 마지막 비운의 황태자 이은(李垠) 내외가 군왕은 아니었지만 영녕전의 마지막 남은 한 칸 묘실의 주인공이 되어 묘실은 가득 차 있었고 어긋난 문틈 사이로 열성조의 신음이 흘러넘쳐 와글거리다가 기왓장에서 떨어진 햇살에 부서지며 섬돌을 넘지 못하고 돌 틈으로 스며들어 잦아들었다.

48th_san106.jpg
종묘와 창경궁을 가로지른 도로

 오후가 되자 갑자기 날씨가 사나워진다. 언 손을 비비시며 구석구석을 해설 해 주신 고문준님을 따라 일제강점기 종묘와 동궐을 끊어 길을 낸 그 자리 위에 놓여진 다리를 건넌다. 1982년 봄, 밤 벚꽃놀이를 왔을 때 철망 안에서 울대를 요란하게 떨어대며 처절하게 울던 칠면조의 울음이 끼르륵-까루룩거리며 환청으로 들리다가 잠잠해진다.

48th_san105.jpg
▲ 동궐도(東闕圖) - 국보 제249호. 동궐도는 경복궁의 동쪽에 있는 궁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을 함께 그린 그림으로 현재 2점(고려대학교박물관 및 동아대학교박물관 수장)이 남아 있다. 도화서(圖畵署)화원이 그렸을 것으로 추측되면 비단에 채색하였고, 1826년 에서 1830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책의 화첩으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576cm, 세로 273cm이다. 입체감이 나도록 조감도식으로 그려 자연의 구릉과 능선, 계류와 원림, 궁담, 전각, 재실, 정자 등이 생생하며, 집과 물체마다 먹으로 이름이 쓰여 있다. 궁궐 안의 모습뿐만 아니라 조경과 궁궐 외곽의 경관까지 정밀하게 그렸다. 문자로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기록되어 있지만 설명이 불충분한 사례들이 동궐도의 그림에 의하여 파악되고 있다는 점에서 동궐도는 『궁궐지(宮闕志)』,『동궐도형(東闕圖形)』과 함께 궁궐 연구와 고증에 중요한 사료이다. 창경궁을 볼 때 동궐도(東闕圖)를 참조해 보면 당시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볼 수 있다.

궁궐이란? 궁궐이란 궁(宮)과 궐(闕)을 합친 말이다. '궁'은 커다란 방을 뜻하며, 임금과 신하가 함께 정무를 보고 거처하는 곳을, '궐'은 그 궁을 지키는 궁성과 성루와 성문을 가리키는 말이다.

 창경원은 복원되어 창경궁으로 새롭게 눈앞에 나타났다. 정문인 홍화문(弘化門)에서 고문준 해설사님과 작별을 하고 진정임 해설사님의 의견에 따라 궁 연못이었던 동남쪽의 춘당지(春塘池)에서부터 견학을 시작하기로 하였다.

48th_san107.jpg
▲ 종묘에서 넘어오며 바라본 창경궁.  양복에 짚신을 신은 형국이다.

48th_san108.jpg
▲ 관천대(觀天臺) - 보물 제851호.
관천대는 소간의(小簡儀)를 설치하여 천문을 관측하던 곳으로, 「書雲觀志」에 보면 숙종 14년(1688)에 조성된 것이다. 원래 창덕궁 금마문 밖에 있던 것을 일제 때 창경궁으로 옮겨 왔다.
높이는 2.2미터, 넓이는 2.4*2.3미터이며, 주위에는 돌난간을 돌렸다. 대의 중앙에는 높이 99센티미터의 관측기를 설치하는 작은 대가 있고, 그 위에 넓이 73.4*52.6센티미터, 두께 24.5센티미터의 또하나의 판석이 있다. 여기에 남북방향으로 관측기를 고정했던 5개의 구멍이 파여 있다.

48th_san109.jpg
 ▲ 창경궁에서 고문준 선생과 헤어지고...

 <성종태실비>로 가는 길엔 오백년 궁궐의 역사에서 치열하게 암투를 벌이던 궁중여인들의 웃음과 희열, 눈물과 한숨으로 숨바꼭질 하던 후궁과 나인 무수리들의 애환과 구질구질한 역사를 지켜보며 속이 탔는지 늙은 느티나무는 표피만 겨우 살아남아 잔가지를 달고 있었고 썩어가는 기둥은 자양분이 되어 그 끝에 엄나무가 기생하여 자라고 있었다.

48th_san110.jpg

48th_san111.jpg
 ▲ 춘당지(春塘池) - 춘당지란 이름은 옛날 이곳에서 활을 쏘고 과거를 보기도 하였던 춘당대 앞의 연못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48th_san112.jpg
 ▲ 춘당지(春塘池) 에서.. 재만님 내외분

48th_san137.jpg
 ▲ 느티나무 고목의 꼭대기에 뿌리내린 엄나무

 최근 SBS드라마 <왕과나>의 시대적 배경이 되고 있는 성종 때 연산을 낳은 폐비윤씨(구혜선분)가 어우동(어을우동,김사랑분)의 출현으로 가슴앓이를 하며 이 길을 걸었을 것이고 숙종조에는 장희빈이 갖은 교태를 부리며 나인들에게 어깃장을 놓았을 터이다.

 야트막한 계단을 넘자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있던 성종의 태실 석물을 경안에서 옮겨 와 태실비(胎室碑)와 함께 전시를 해놓았다.

48th_san113.jpg

48th_san114.jpg
 ▲ 성종태실(成宗胎室) - 성종태실은 성종의 태를 모시고 잇는 것으로 원래는 경기도 광주에 있었다. 1930년 5월 전국 각지에 흩어져있는 임금의 태실을 서삼릉으로 이전하면서 성종태실만 현재의 위치로 옮겨놓았다.

48th_san115.jpg
 ▲  해시계 앙부일구

48th_san116.jpg
 ▲ 풍기대(風旗臺) - 보물 제848호. 이 풍기대는 영조 8년(1732)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풍기대 위의 구멍에 깃대를 꽂고 그 깃대에 기를 달아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재던 것으로, 방향은 24방향으로 측정하였다.

 수강궁을 수리하여 창경궁을 만든 장본인이 성종이었고 이때부터 창경궁이 세조비인 정희왕후 이하 대비나 중전, 후궁들의 처소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장서각이 있었던 터를 지나 양화당(養化堂)으로 자리를 옮긴다. 해설사님으로 부터 양화당과 관련한 숱한 궁중비화를 들을 수 있었다.

48th_san117.jpg
 ▲ 양화당(養和堂) -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파천하였던 인조가 환궁하면서 이곳에 거처한 일이 있으며, 고종 15년(1878) 철종비 철인왕후가 이곳에서 승하하였다. 현판은 순조의 어필이다.

48th_san120.jpg
 ▲ 전각의 유래 및 궁중비화에 대하여 설명중인  진정임 선생

 통명전(通明殿)의 전각은 용마루가 없다는 게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무량각으로 월대를 갖춘 중궁전 으뜸 건물이며 이런 양식은 중국에는 많다는 것과 함께 서쪽에 있는 열천의 물맛이 차고 맵다는 설명이다. 장희빈이 마시던 물이 아직 마르지 않고 흘러내리고 있었다.

48th_san118.jpg
 ▲ 통명전(通明殿) - 보물 제818호. 통명전은 창경궁의 연조 공간으로 명정전 서북쪽에 있으며, 왕과 왕비가 생활하던 침전의 중심 건물이다. 창경궁 창건 때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재건이 되고, 다시 이괄의 난과 정조 때 화재를 입었다. 지금의 건물은 순조 34년에 중건된 것이다. 남향한 전면에는 월대를 두고 양모서리에는 청동제 드므를 놓고 그 북쪽에 외벌대 기단 한 단을 두어 건물을 세웠다.

48th_san119.jpg
 ▲ 양화당과 통명전 전경

 경춘전(景春殿) 동쪽의 환경전(歡慶殿)에서 소현세자가 죽었다 한다. 병자호란 후 볼모로 아우인 봉림대군(효종)과 함께 청나라 심양으로 끌려가 볼모생활 8년을 끝내고 돌아와 두 달 후에 원인모를 죽음을 맞이한 그는 조선조 최초의 왕실 의문사로 기록되고 만다. 세자빈 강씨 또한 죽음을 규명하려다가 다음 해에 죽었다. 왕조국가에서 국왕의 인가 없이 의문사의 진상을 규명하기는 어려웠을 것이기에 인조와 관련설, 독살설 등이 아직까지 인구에 회자되고 있음이다.

48th_san121.jpg
 
▲ 경춘전(景春殿) - 이 전각은 창경궁의 내전으로 성종 14년에 건립되었다. 그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광해군 8년에 재건하였으나, 순조 30년에 불탄 것을 그 34년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른다. 이 경춘전은 정조와 헌종이 탄생한 곳이며, 현판은 순조의 어필이다.

48th_san122.jpg
 ▲ 환경전(歡慶殿) - 이 건물은 성종 15년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광해군 8년에 중건하였다. 그 후 순조 30년(1830)의 큰 불로 소실되었던 것을 그 34년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곳은 창경궁의 한 내전으로 왕이 늘 거동하던 곳이며, 중종이 이곳에서 승하했고, 익종이 승하했을 때는 빈궁(殯宮)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미 청국이 무력으로 입국한 병자호란 중 인조는 삼전도 치욕을 치루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볼모로 보냈으면서도 오히려 명청교체기 양다리외교를 펼친 광해의 처신보다도 못한 반청 정서로 국정을 펼친 결과라 하겠다.

 필자의 10대조이신 안주공(휘 繁)께서는 선전관으로 볼모의 몸이 된 소현세자를 8년 간 모시고 환국하시었는데 결국은 제천으로 떠나시고 만다 - 돌아오시어 안주판관을 제수 받으셨으나 부임치 아니하시자 제천으로 귀양을 가셨다.

 소현세자가 심양에서의 볼모생활을 편년체로 기술한 그의 저서 <심양일기-1980년 중판, 대양서적간, 청주의 주회님께서 필자에게 주심>에 할아버님과 형님이신 참판공(휘 素)께서 세자관에 들르시는 장면이 기록되어 있는데 할아버님의 처사는 아마도 적장자인 ‘소현세자의 죽음에 따른 대의명분의 실추’와 ‘암살로 국정운영’을 한 것에서 기인하지 않았을까 감히 추측 해 본다.

 해설사 진정임님에 따르면 숙종조에는 궁녀만 6~700명에 달했다고 하니 비좁은 전각에서 중전과 후궁은 물론 상궁나인 무수리에 이르기 까지 구중궁궐에서 실권을 놓고 벌였을 권력투쟁, 시기와 질투 등으로 무풍지대에 흙먼지가 일고 시구문이 어수선 하였을 것이다.

48th_san123.jpg
 ▲ 함인정(涵仁亭) - 이곳에는 원래 성종 15년에 지은 인양전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인조 11년(1633)에 인경궁의 함인당을 이건하여 함인정이라 한 것이다. 이곳은 특히 영조가 문무과거에서 장원급제한 사람들을 접견하는 곳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48th_san124.jpg

48th_san125.jpg
 ▲ 숭문당(崇文堂) - 이 건물은 조선 경종 때 건립되었으며, 순조 30년에 큰 불로 소실된 것을 그해 가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崇文堂'의 현판과 '日監在玆'라 쓴 게판은 영조의 어필이다. 영조는 특히 학문을 숭상하고 영재를 양성하였는데, 이곳에서 친히 태학생을 접견하여 시험하기도 하고 때로는 주연(酒宴)를 베풀어 그들을 격려하기도 하였다.

 피의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이산>에서 주인공 정조의 아비인 사도세자는 영조조에 전당 앞마당에서 죽어갔다. 세자의 흐느낌으로 며칠간 뒤주가 간헐적으로 들썩거렸으나 궐 담장을 넘지 못해 민초들은 알지 못했고 곡학아세하는 자들이 잠시 숨을 죽이고 권력의 향방을 지켜 볼 뿐이었다.

 본전인 명정전(明政殿)은 동향으로 품계석과 삼도가 조정마당을 가로지르며 서있는데 답도와 드므를 갖추고 있는 신하들의 조하를 받던 창경궁의 주정전이다.

48th_san126.jpg
 ▲ 명정전(明政殿) - 국보 제226호. 창경궁의 두 번째 문인 명정문을 지나면 궁궐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법전인 명정전이다. 이곳에서는 왕의 즉위식과 신하들의 하례등이 거행되엇다. 명정전은 광해군 8년(1616)에 재건된 것으로 현존하는 궁궐의 법전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다른 궁궐과는 달리 동향이다.

48th_san127.jpg
 ▲ 명전전 내부의 어좌 - 변함없이 일월오봉병 병풍이 보인다.

 드므는 청동으로 만들어진 큰 물동이인데 목조건물과 함께 화재 시 후폭풍으로 인해 주변건물로 튀는 특성이 있는 지붕 소재가 기와이기 때문에 화재예방 차원에서 설치 된 시설물이다. 또한 큰 장식물로 인해 위엄과 함께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기도 한다.

48th_san128.jpg
 ▲ 명정전 '드므' - 건물 앞에 '드므'를 설치하여 물을 가득 채워 놓으면 침입해 오던 화마가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달아난다고 한다.

 품계석에서 단체사진을 찍고 명정문을 나오니 옥천교 아래로 명당수가 흐르고 있었다. 짧은 해는 떨어지고 이내 어둠이 궁궐지붕에 내려앉는다. 잡상들이 추녀 끝을 부여잡고 울다가 고스란히 어둠속으로 사라졌다.

48th_san129.jpg
 ▲ 명정전 앞 품계석

48th_san130.jpg
 ▲ 명정전 앞에서 기념촬영

48th_san131.jpg
 ▲ 명정전 전경

48th_san132.jpg
▲ 옥천교 위에서 본 명정문.

48th_san133.jpg
 ▲ 옥천교(玉川橋) - 보물 제386호. 옥천교는 명당수가 흐르는 어구(御溝) 위에 설치한 다리다. 조선 왕궁은 모두 명당수 위의 석교를 건너서 정전으로 들어가도록 만들어졌다. 중앙에 귀면(鬼面)이 조각되어 잡귀를 쫓고 있다.  이 다리는 성종14년(1483)에 조성되었다.

 일행들은 정문인 홍화문에서 해설사님과 아쉬운 인사를 나누며 공식적인 창경궁 견학을 모두 마치고 나옵니다.

48th_san134.jpg

48th_san135.jpg
 ▲ 홍화문(弘化門) - 보물 제384호. 창경궁의 정문으로 명정전과 마찬가지로 동향하였다. 조선 성종 15년에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광해군 8년에 재건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의 담벼락을 넘어 멀고 먼 여행에서 끝 모를 실마리를 안고 멀리 대구에서 오신 종친님들을 먼저 배웅하고 남은 분들은 서울대병원 언덕을 걸어서 넘기로 하고 가까운 역을 찾아 갑니다.

 끝으로 최근 안사연 정기산행 중 특히 왕릉과 궁궐나들이에 성심을 다하여 주신 고문준님과 진정임 해설사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 전해올리며 후일을 기약합니다.

48th_san136.jpg

 

댓글목록

김윤식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윤식
작성일

  두 분 대부님, 글과 사진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지막 사진 참 인상적입니다. 이 날 진 선생님의 창경궁 설명을 듣지 못해서 시간 내서 가 봐야겠습니다.

김항용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항용
작성일

  환상적이고 품격 높은 후기를 기록해 주신 상석대부님,
어디서도 감상할 수 없는 기막힌 사진 촬영과 해설을 해 주신 발용대부님께 감사드립니다.

행순님의 댓글

profile_image 행순
작성일

  답사를 다시 되짚어 보게 해주셔 감사합니다. 사진과 글 고이 간직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