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숭례문축조를 총지휘한 최유경(문온공의 매부)

페이지 정보

솔내영환 작성일08-02-12 10:43 조회1,758회 댓글0건

본문

온국민을 슬픔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숭례문의 화재!

참으로 안타깝고 분통하기 그지 없습니다.

특히 숭례문은 당시 한성판윤으로 숭례문의 건립을 총 지휘했던 분은 바로 문온공(척약재)선조님의 매부인 최유경었습니다.

최유경 또 송천서원에 안렴사공(김사령)과 함께 배향되어 있는 분이기도 합니다.

 

최유경 [, 1343~1413]

본관 전주(). 자 경지(). 호 죽정(). 시호 평도(). 1372년(공민왕 21) 사헌부장령()이 되어 방자한 환관() 윤충좌()를 탄핵했다.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서북면전운사 겸 찰방(西使)으로서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을 신속히 보고하고, 최영()이 실각되자 밀직부사(使)에 올랐다. 1392년 조선 개국 후에 회군 고변 사실을 들어 반대하는 자가 있었으나, 이성계가 충의()에서 나온 행동이라 하여,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그 후 중추원부지사(使) ·개성유후사유후() 등을 역임하고, 1401년(태종 1) 참찬의정부사() 때 정조사(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04년 한성부판사()에 이르러 치사()했다. 태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청주() 송천서원()에 배향되었다.

 

 

 

최유경의 후손 대목장   최기영(중요무형문화재 74호)

 

 

숭례문 ‘폐허’ 찾은 최기영 대목장

지난해 9월 경복궁 광화문 복원공사를 총지휘할 도편수를 놓고 다른 대목장()들이 팽팽하게 맞섰을 때 중재자를 자처하고 나섰던 그의 우렁찬 목소리는 온데간데없었다.

blank.gif
blank.gif
“이 속상함을 어찌 말로 표현하겠습니까. 우리네 삶은 나이를 먹을수록, 세상을 알수록 오래된 그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싶은 게 인지상정입니다. 숭례문이 바로 그 의지하고 싶은 대상이었는데….”

국내 처음으로 백제5층목탑을 재현한 사원 건축의 대가로 꼽히는 중요무형문화재 74호 최기영(63·사진) 대목장의 목소리는 가느다랗게 떨리고 있었다.

최 대목장은 10일 밤 11시경 텔레비전 뉴스로 숭례문 화재 소식을 듣자마자 서울 강북구 수유동 자택을 뛰쳐나가 숭례문으로 향했다. 며칠 전부터 감기 기운으로 몸이 후들거렸지만 아랑곳하지 않았다.

불길로 무너져 내리는 누각을 봤을 때, 최 대목장의 가슴도 무너져 내렸다. 불길 속에 녹아내리는 숭례문 광경은 처참함 그 자체였다.

“내 선조가 우리 국민에게 가장 소중한 국보 1호 축조를 총지휘하셨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평생 자랑스러웠는데…. 우리 조상들이 당대 모든 지혜와 기술을 총동원해 남긴 문화유산을….” 그는 말을 잊지 못했다.

최 대목장의 20대조 할아버지는 조선 초기 판한성부사(지금의 서울시장 격)를 지낸 최유경(1343∼1413). 최유경은 판한성부사로 있으면서 숭례문 축조를 지휘했다. 최 대목장에게 숭례문의 전소는 고건축 전문가로서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을 잃은 슬픔에다 선조의 땀이 어린 유산을 잃은 안타까움까지 겹친 셈이다.

그는 우리 문화유산을 이렇게 훼손해선 안 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 전통 건축물을 해체, 보수하며 깜짝 놀랄 때가 많습니다. 건축물 어느 한 부분을 봐도 현대 건축기술이 따라가지 못할 경지에 이르렀으니까요.”

최 대목장은 11일 오전 열린 긴급 문화재위원회 회의에 신응수(66) 대목장과 함께 참석했다. 숭례문 복원에 함께하기로 한 것이다. 그는 “문화재청에서 연락 왔을 때 흔쾌히 수락했다”며 “복원 과정에서 문화재위원들이 파악하지 못한 부분을 우리 대목장들이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06년 정밀 실측한 도면이 있어 다행히 원형 복원이 가능합니다. 복원에 필요한 금강송도 강원도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겁니다. 안 된다고만 하지 말고 희망을 생각해야죠.”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