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묘지 제도7 -조선초의 육각묘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김항용 작성일08-01-14 10:37 조회1,825회 댓글0건본문
Ⅴ. 조선 초의 육각형묘에 대하여 (경기 북부의 3개소에만 나타난 특이형식)
1. 경기도 파주시 미군 사격장의 내의 육각묘
출전 : 네이버 블로그-http://blog.empas.com/journl/2627728
블로그명 : 스토리사격장 문제많어
1) 위치 : 경기도 파주시 초리, 진동리, 용산리 일대 미군전용 스토리사격장 과 파주시 적성면 다그마노스 전차훈련장 내의 묘
2) 육각묘와 분묘 : 원주김씨 김거공, 김을신, 김연지, 진주유씨 유용생 등 분묘 6기(육각묘 2기), 묘비 8개, 상석 6개, 장명등, 문관석 등
3) 조성시기 : 육각묘는 세종 16년 서기 1434년에 만들어진 것
4)형식 : 호석은 3.3m, 높이 7cm, 가로 한 변이 340cm. 3단으로 구성. 상 석은 가로 1.2m 세로 0.7m로 육각석 둘레는 18m로 돼 있다.
5)평가 : <김우림 서울역사박물관 관장> “조선 초기에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진 전형적인 육각형 묘”이다.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김을신 묘소>
<유용생 묘소>
2. 월릉심씨 묘(경기도 유형 문화재) -6각형
사진자료 미상
3. 익원공(翼元公 휘 士衡) (문화재자료 제107호 (양평군)) 신효창 묘역
지 정 일 2001.09.17
소 재 지 경기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 49
설명 : 익원공 김사형(1333∼1407)의 묘역이다.
김사형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조선 초기에 중요한 활동을 한 역사적 인물이다. 그의 묘역은 봉분에 둘러진 3단의 둘레돌이나 창이 넓은 장명등, 홀을 들고 있는 문인석 등 조선 전기의 양식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익원공 휘 사형 묘소>
<신효창 묘소>
<자료 종합 분석>
1. 육각묘는 조선초 약 50년 간에 잠시 나타났던 특이형식이다. (김사형-1407, 김을신과 유용생-1434, 신효창-1450)
2. 경기 북부지방 3개소(파주, 양평, 월릉심씨묘 미상)에서만 나타났던 분묘형식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